-
-
미당 서정주 시선집
서정주 지음 / 큰나(시와시학사) / 2001년 10월
평점 :
절판
누가 나에게 가장 좋아하는 시인이 누구냐고 묻는다면 단연코 서정주라 하갰다. 그의 친일, 친독재 경력에도 불구하고 그의 작품들을 읽노라면 저절로 감탄과 찬사가 나오게 된다. 또한 가장 좋아하는 시를 두어개 꼽아보라 한다면 서정주의 <밀어>, <석굴암 관세음의 노래>, <꽃밭의 노래>정도를 꼽을 수 있겠다. 더욱이 나는 그의 시를 10편 정도는 통채로 외우고 있을 정도로 그의 시에 매료되어 있다.
서정주의 시를 더 많이 읽고 싶다는 생각을 늘 가져 오다가 본격적으로 접하게 된것이 바로 이 시집이다. 이 책에는 그의 14권의 시집에서 대표작만을 뽑아 그 당시 발표되던 그대로의 문자로 써놓았다. 그래서인지 한자와 연음 그대로 써놓은 시들이 굉장히 많다. 예를 들어 '밤이기퍼도 오지않었다'라고 시집에 적혀 있는데, 이는 그 당시의 맞춤법과 현재의 그것과는 차이가 있어서 그럴 것이다. 또한 시집인 것을 감안하면 책값이 너무 비싼데, 아마도 양장본이라서 그럴것이다.
서정주의 시들을 평가하는 평론가들의 대체적인 평가는 그의 시의 주제를 영원지향성과 떠돌이 정신이라고 한다. 그의 저 유명한 구절 '스믈세햇동안 나를 키운건 팔할이 바람이다'라는 부분에서 보이듯, 그의 떠돌이 정신은 그의 시들의 한 축을 이루고 있으며, 신라 정신이라고 표현되는 그의 영원 지향적인 시들은 나에게 시의 맛을 가르쳐 주었다.
특히 그가 꽃을 소재로 쓴 시들 치고 수작이 아닌것이 없다. <꽃밭의 독백>, <목화>, <밀어>, <꽃> 등등 꽤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거기서의 꽃들의 생명을 은유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그의 첫번째 시집인 <화사집>에 나오는 몇몇 작품들은 인간의 육체적 관능성을 그려내고 있다. 거의 에로 비디오 수준인데, 그래도 그 시집의 작품들도 나름의 성찰을 담고 있는 수작들이다.
서정주의 대표작들을 원형 그대로 읽고 싶다면 이 책을 권하고 싶다. 물론 한자 실력이 있어야 읽기가 편하다는 단점이 있기는 하다. 외울만한 시들이 굉장히 많으며, 운문성이 뛰어나서 외우다 보면 시의 아름다운 맛이 더욱 살아난다. 언젠가 <푸르른 날>이라는 시를 생맥주 피처(pitcher)에다 적어 놓은 일이 있는데, 많은 이들이 읽고 같이 느낄 수 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