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딴방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199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게 된 건 고등학교 2학년 때였다. 대한민국에서 평범한 고등학생으로 살아가던 나에게 주인공(신경숙)의 삶은 낯설음 그 자체였다. 그녀의 자전적인 기록이기도 한 이 소설을 읽는 내내 지금의 내가 생각하지 못했던 시대의 어려움을 보는듯 해 마음이 아팠다. 곳곳에서 민주화를 외치던 그 때, 볕도 들지 않는 단칸방에서 낮에는 공장에서 일하고 밤에는 산업체특설학교에 다니며 문학에의 하얀 꿈을 마음속으로 키워야만 했던 한 소녀의 이야기가 있다.

지금은 열사로 남았지만 거리 한 복판에서 노동자의 권리를 외롭게 외치며 분신한 전태일도 그 소녀들에겐 역사의 인물이 아닌 하루에 쪼그리고 앉아 15시간 이상을 일해야 했던 그들 옆자리에의 '오빠' 였을 것이다. 공장의 컨베이어 벨트 위에서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공'을 공책에 한 장 한장 베끼던 그녀는 문학의 꿈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결국 그녀의 바람대로 작가가 되었다. 그것도 문단에서 알아주는 작가말이다.

그러나 아직도 그녀가 안쓰러운 건 이 소설이 그녀 뼛속에 새겨진 상처를 꺼낸 댓가라는 것이다. 또, 이 소설은 그녀의 일기이자 암울했던 그 시대를 거친 산 증인의 회고록이기 때문이다. 마음이 아팠다. 시간이 흘러도 무시무시했던 그 시대는 15살 소녀의 가슴에 깊은 상처를 남겼기에.. 또한,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될 수 밖에 없었던 그 소녀들은 바로 우리네 고모, 이모의 모습이었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