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름 뒤에 숨은 사랑
줌파 라히리 지음, 박상미 옮김 / 마음산책 / 2004년 2월
평점 :
이 책의 원제인 'the namesake'은 (어떤 사람의) 이름을 받은 사람으로 해석이 된다. 미국에서 인도인 부모로부터 태어나 Gogol이라는 이름을 갖게 된 화자는 인도이름도 아니고 미국식으로 줄여부를 수도 없는 러시아 작가의 이름을 딴 자신의 이름때문에 매사에 자신의 이름이 불려지는 것을 두려워 한다. 어렸을 때의 예명과 공식적인 이름을 두 가지 갖고 있는 인도인들의 문화가 미국에서 공적인 절차와 상충하게 된 탓에 예명이 공식적인 이름으로 등록이 되었는데 이 사연을 알지못하는 화자는 자신에게 그런 이름을 붙여준 부모를 탓하는 마음을 갖고 자란다.
이 책은 미국에서 이민자로 살아가는 Gogol의 가족을 둘러싸고 Gogol을 중심으로 그들이 어떻게 미국사회에 동화되는지 그 과정에서 어떤 갈등을 겪는지가 일련의 사건을 통해 그려지고 있다. Gogol의 엄마 Ashima는 이민자로 살아가는 것을 임신한 것에 빗대어 말하기도 한다.
"For being a foreigner, Ashima is beginning to realize, is a sort of lifelong pregnancy- a perpetual wait, a constant burden, a continuous feeling out of sorts. It is an ongoing reponsibility, a parenthesis in what had once been ordinary life, only to discover that that previous life has vanished, replaced by something more complicated and demanding. Like pregnancy, being a foreigner, Ashima believes, is something that elicits the same curiosity from strangers, the same combination of pity and respect.
이 책의 주 내용은 이민자가 그리는 삶의 모습이겠지만 나에겐 인도의 문화를 조금이나마 접할 수 있는 창구가 되었다. 예전에 인도를 여행할 때 'What is your good name?'이란 질문을 받고 그게 뭐지? 어리둥절하다가 내가 믿는 신의 이름(god name)울 묻고 있는가보다라고 생각하고 나는 god name이 없다고 대답했던 기억이 났다. Gogol의 첫번째 생일파티에서 흙, 돈 또는 볼펜을 잡으면 커서 지주나, 학자가 된다고 믿어지고 Gogol에게 그 무엇을 잡도록 하는 장면은 흡사 우리의 돌잔치를 떠올리게 했다.
Gogol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여정은 그가 만나는 세 명의 여자친구에 의해 다양한 모습으로 그려지는데 자신이 그렇게 부정하고 싶어했던 그 이름은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과정에서 그가 기댈 수 있는 유일한 구실이었던 것이다.
이 소설은 2006년 동명의 이름으로 영화화 되었다고도 하는데 어떤 식으로 각색되었는지 궁금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