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이 하는 일
조지프 엡스타인 지음, 권진희 옮김 / 사람in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20쪽의 짧은 책임에도 불구하고 책을 다 읽는 데에 반나절이나 걸렸다. 그 이유는 독서하는 내내 저자의 말에 격렬하게 반발을 하게 되었기 때문에…ㄱ- 저자 엡스타인이 문화적 엘리트주의에 젖어있는, 고루하고 경직된 보수적인 백인 남성이라고 느껴졌다. 책을 완독하고 난 다음 위키피디아에서 엡스타인의 정보를 찾아봤는데, 그는 실제로 우리 할아버지랑 비슷한 연배의 노인이었고, 노골적인 호모포비아에 인종차별주의자이자 여성혐오자였다. 예컨데 엡스타인은 1970년대 발표한 어느 에세이에서 ‘동성애가 지구상에서 사라졌으면 좋겠다 I would wish homosexuality off the face of the earth’ 라고 써서 논란을 일으켰고, 비교적 최근인 2020년에는 질 바이든 여사를 ‘꼬맹이kiddo’ 라고 부르며 그녀의 박사학위를 조롱하는 기고문을 월스트리트저널에 발표했다. 그 결과는? 그가 1974년부터 2002년까지 강의했던 노스웨스턴 대학이 그의 여성혐오적인 시각에 동조하지 않는다는 공식성명을 발표했고, 대학 홈페이지에서 엡스타인의 페이지도 사라졌다고 한다. 엡스타인은 자신이 오랫동안 편집인으로 있던 잡지 <american scholar>에서 페미니즘 학자들을 핏불이나 레즈비언dykes on bikes이라며 경멸조로 호칭했고, 결국 1991년엔 조이스 캐롤 오츠가 엡스타인의 사임을 요구하는 글을 발표하기도 했다. (출처 : https://en.m.wikipedia.org/wiki/Joseph_Epstein_(writer) )

이 부분이 재밌게 느껴지는 이유는, 엡스타인이 이 책에서 좋은 소설의 조건으로 ’정치적 편향성이 없을 것’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사실 나는 소설을 비롯한 예술 분야의 창작자들에게 ’정치적 중립성‘을 요구하는 사람들이 정말로 기만적이라고 생각한다. 예술 작품은 하늘에서 갑자기 툭 떨어지는 게 아니고, 예술가들 역시 현실 세계와 유리되어 구름 위에서 사는 사람들이 아니다. 모든 예술 작품은 특정한 시대적 조건 아래, 특정한 사건들의 영향을 받아, 특정한 의도를 갖고 창작된다.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창작물은 없으며, 예술가에게 정치적으로 중립적이기를 요구하는 행위 자체가 이미 정치적으로 편향적이다.

또한 그는 pc함에 대한 21세기 독자들의 요구가 창작자들의 자유를 심각하게 제한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Pc함에 집착하는 독자들의 논리에 따르면, 예컨데 백인 남성 작가가 흑인 여성 인물에 대해 쓰는 것이 불가능해진다고 말이다. 사실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들은 한국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데, 그들 중 대다수가 자신이 속한 문화권의 주류 집단에 속해있다는 점이 재밌다. 내가 이해하기로는, 창작물에서 정치적 올바름을 추구하는 움직임은 ’모든 창작자는 자신이 속한 계급과 젠더와 인종의 경험만 다뤄야만 한다’고 주장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다만 소수자성을 가진 인물을 재현하고 묘사하는 데 있어서 창작자에게 더 많은 윤리와 책임감을 요구할 뿐이다. 이는 소설의 작품성을 해치는 요소가 아니라, 오히려 강화하는 요소이다.

흥미롭게도 (하지만 놀랍진 않게도) 그는 여기서 j.k. 롤링의 사례를 언급한다. “(…) 결국 그녀는 ‘성전환을 포용하지 않는 급진 페미니스트’, 트랜스젠더 여성을 진짜 여성으로 간주하지 않는 사람, 그래서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는 사람으로 표현되면서 사람들의 비난을 받았다.” 물론 롤링은 많은 이들에게 비난을 받고 있다. 왜냐면, 롤링이 정말로 트랜스여성을 진짜 여성으로 간주하지 않는 차별적인 사람이기 때문이다. 여러 공적 매체를 통해 혐오 발언을 서슴치 않는 유명 작가인 그녀를 트랜스 혐오자라고 부르는 것은 그녀를 억울하게 혐오자로 낙인찍는 것이 아니라 그저 사실을 기술하는 것이다. 홍시 맛이 나서 홍시라고 했을 뿐…

사실 이 책을 읽으며 제일 거슬렸던 것은 저자 엡스타인의 소설 제일주의적인 사고방식이었다. 이 책에서 엡스타인은 영화(엡스타인은 영화 관람은 소설 읽기에 비해 너무 수동적인 행위이며 영화는 본질적으로 피상적인 매체라고 주장한다)나 그래픽 노블 (엡스타인은 그래픽 노블이 소설만큼의 복잡성과 정교함을 결코 가질 수 없기에 ‘소설의 적’이라고까지 말한다;)은 물론, 문학의 다른 장르인 시나 희곡에 대해서도 너무 이해하기 어렵거나, 너무 작위적이라는 식의 태도를 취한다. 엡스타인은 심지어 같은 소설 장르 안에서도 ’진지한 소설‘ (아마도 한국에서 순문학으로 분류되는 소설) 과 대중 소설의 경계를 나누며 자연스레 둘 사이에 위계를 설정하는데, 물론 나는 이 구시대적인 구분에 그다지 동의하지 않는다.

아마 나는 이 책에서 엡스타인이 말하는 ‘진지한 소설’의 독자일 것이다. 엡스타인처럼, 나도 19세기 러시아 소설가들과 빅토리아 시대의 소설가들에 대한 특별한 애정과 경외심을 갖고 있다. 엡스타인이 이 책에서 언급하는 상당수 작가들의 작품을 이미 읽어보기도 했고, 그 작가들에 대한 엡스타인의 평에 동의하기도, 동의하지 않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오츠가 ‘두 번 읽을 작가는 아니다’라는 엡스타인의 말에는 (가슴 아프지만…) 동의하지만 존 업다이크나 필립 로스가 ‘섹스에 대한 지나친 묘사’ 로 현대 소설의 가치를 훼손시켰다는 주장은 우스꽝스럽기까지 하다고 생각한다. 누가 뭐래도 로스의 <미국의 목가> 나 <Indignation> 같은 소설들은 현대 미국 문학의 정수다. 앨렌 홀링허스트에 대한 엡스타인의 기묘하고 호모포빅한 언급은 그냥 넘어간다고 치더라도, 그가 비교급으로 언급한 윌라 케더에 대한 찬사는 좀 아이러니한 구석이 있다. 윌라 케더가 평생 클로짓 레즈비언이었다는 걸 생각해보면 말이다…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이것이다 : 나는 소설 읽기를, 그 중에서도 ‘진지한’ 소설 읽기를 좋아하는 사람이지만, 다른 예술 장르들이 소설에 비해 가치 없다고는 생각하지는 않는다. 자기 자신과 가족들의 내면을 강박적일 정도로 파고들어간 앨리슨 벡델의 만화를 읽어 봤다면, 누구도 그래픽 노블이 충분히 복잡하거나 정교해질 수 없다는 말은 할 수 없으리라. 나는 소설을 좋아하는 만큼 희곡이나 시와 같은 다른 문학 장르도 좋아하고, 영화나 연극과 같은 다른 서사 예술 매체도 즐긴다. 각각의 예술 장르들은 저마다의 다양한 방식으로 인간과 삶의 진실에 대해 증언한다. 인생은 짧고, 즐길 거리는 많다. 소설 읽기만 고집해야 할 필요가 어디에 있겠는가?

최근에 트위터에서 읽은 재밌는 글이 있다.

“2013년 <사이언스>지에 순문학 소설을 20분만 읽어도 다른 사람의 표정을 보고 감정을 읽는 능력이 향상된다는 논문이 실림. 진짜냐 아니냐를 두고 상당한 논란이 있었으나, 현재로서는 효과가 약하지만 있기는 있는 걸로 잠정적 결론.

다른 대규모 조사에 따르면 어렸을 때부터 순문학을 읽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의 행동에서 성격과 상황을 복잡하게 이해하고, 삶을 더 다양하고 풍부하게 경험하는 등 더 복잡한 세계관을 가짐.

같은 소설이라도 대중소설은 순문학에 비해 이러한 효과가 약함. 그 이유가 확실치는 않으나 일단 순문학이 어휘나 문장 구조 측면에서 더 복잡하고, 이야기가 전형적이지 않아서 독자가 작가의 의도나 등장인물의 감정을 더 많이 생각하면서 읽어야 한다는 점이 지적됨.

뇌영상 연구에서도 소설에서 다른 사람의 마음을 다루는 내용을 읽거나 실제로 다른 사람의 마음을 추측할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이 같고, 소설을 많이 읽은 사람들이 이 뇌영역이 잘 활성화됨. 순문학 소설 읽기가 일종의 뇌 훈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줌.“

(출처 : https://x.com/aichupanda/status/1846047784904151539?s=46 / 문제시 삭제)

인간의 조건을 깊이있게 탐구하고, 세상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고, 삶을 더욱 섬세하고 풍요롭게 음미하기 위해서 소설 읽기는 여전히 유효하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가치있는 모든 독서가 응당 그러해야 하지 않을까? 우리를 타인에게 조금 더 관대하고 수용적이며 연민어린 인간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면 셰익스피어와 톨스토이가 대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저자인 엡스타인 씨를 보면서 한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의 미친 여자
샌드라 길버트.수전 구바 지음, 박오복 옮김 / 북하우스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ㅠ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20대 여자
국승민 외 지음 / 시사IN북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1년 8월 <시사인>에 실린 20대 여성 특집 기사를 바탕으로 나온 책. 20대 여성으로서 정말 흥미진진하고 재미있게 읽었다! 대선이 끝나고 지선을 앞둔 지금 읽으니 시의적절함이 한층 더하는 듯. 책의 결론 : “기사에서 우리는 페미니즘에 우호적인 집단이 20대 여성 전반의 여론을 끌고 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20대 여성은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태도를 중요하게 여긴다. 차별을 금지하고 다양성을 우선시하는 정치세력을 선호하는 경향을 띤다. 개방적이고 연대 의식이 높은 편이다. 그렇다고 민주•진보 계열 정당의 집토끼는 아니다. 정치적 효능감을 느끼지 못하는, ‘부유하는 심판자’에 가깝다.” 대선 후 4만여 명의 2030 여성이 민주당에 가입하는 사건이 벌어진 지금은 상황이 좀 달라졌겠으나, 체감상 큰 틀에서는 아직 유효한 분석이라고 느껴진다.


• “설명하지 않아도 되는 것 자체가 권력이었다. 설명해야 하는 삶과 설명해주는 삶이 가진 권력의 크기는 다르다. 알아서 설명하고 해석해주는 데에서 권력이 작동한다. 정치적 주체로서 20대 여성에 대한 담론이 적은 까닭도 이 같은 권력의 속성과 맞닿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시사인>의 조사에 따르면 20대 여성 중 41.7% 가 자신을 페미니스트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페미니즘은 다양한 소수자와 더 폭넓게 연대해야 한다’는 항목에 동의하는 20대 여성의 비율은 50.8%인데 반해, ‘페미니즘은 남성에서 여성으로 성전환한 트랜스젠더를 배제해서는 안 된다’ 에는 37.7%만 긍정의 반응을 나타낸 것이 눈에 띈다. 20대 여성 페미니스트 사이에 트랜스 배제적인 급진 페미니즘(TERF)의 세가 강하다는 지표일듯. 좀 더 자세히 들여다 보면, 20대 여성은 사회적 소수자 집단 중에서 레즈비언에게 가장 우호적이었으며(감정온도 50.5도) 같은 성소수자 집단 중에선 트랜스젠더(33.3도)에 가장 비우호적이었음. 또한 난민(30.7도)이나 조선족(24.9도)에 같은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감정온도는 한국인 전체 평균과 비슷하거나 낮은 점도 특기할만한 부분. 종합해 보면 : 20대 여성은 한국에서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정책에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는 집단이면서 동시에 트랜스혐오와 제노포비아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내 개인적 경험도 이 분석과 완전히 일치한다.)


•설문 조사에서 튀었던 항목들. 강한 페미니즘 성향(페미니즘 지수+6~+12점)으로 분류된 20대 여성 중 단 한 명도 ‘결혼은 반드시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았다(동의 0%!). ‘지금 아이를 낳는다면 여자아이가 더 살기 좋다’라는 문장 같은 집단에서 역시 동의 0%를 얻었다. 놀랍지 않으면서도 놀라운 결과다. 이 책에서 분석한 20대 여성 집단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가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높은 공감과 연대의식인데, 이런 정치적 지형도를 형성하는데 강한 페미니즘 그룹의 20대 여성들의 역할이 크다. “강한 페미니즘 그룹의 20대 여성이 전체 20대 여성의 의견을 끌고 가는 모양새였다.”


•”20대 안에서는 페미니즘에 대한 태도와 진보/보수 분화가 강한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왔다”. 예컨데 강한 페미니즘 성향의 20대 여성들은 빈곤, 비정규직, 디지털 성범죄, 장애인 인권 등에 깊이 공감하며 연대하는 태도를 보임. 문재인 정부에 대한 평가에서 강한 페미니즘 성향의 20대 여성의 66.9%가 긍정 평가를 했으나 페미니즘 지수가 낮은 20대 남성 중 9.8%만 긍정 평가를 한 것을 보면 그 대비가 더욱 극심하게 느껴진다. “지금의 20대에서 페미니즘은 젠더 문제가 아니다. 분배, 노동 등 다른 영역에 대한 자신의 견해와 ‘지지 정당’ 결정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변수” 인 것.


•계층과 페미니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부분이 제일 재미있었다! 고졸 이하의 저학력층 여성 중 범페미니즘 성향으로 분류되는 비율은 39%에 불과한 반면, 대학 재학 이상의 고학력층 여성 중에서는 62%가 범페미니즘 성향이다. 또한 자산 규모와 페미니즘 성향도 뚜렷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는데 ‘7억 이상’ 고자산층에서는 범페미니즘 성향 비율이 무려 79%라고 함(!!) 또한 여성은 물질주의 지수가 높을수록 페미니즘 지수도 높아지는데 남성은 물질주의 지수가 높을수록 페미니즘 지수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고. (대단히 흥미로움) 20대 여성들 사이에서 유통되는 페미니즘 담론이 ‘갓생살기’ ‘주식투자’ 등의 자기계발/신자유주의 담론과 자주 결부되는 것에는 다 이유가 있었던 것임… 후 인서울 중산층 4년제 출신 위주의 청년/페미니즘 의제 설정 너무너무 지겹 ㅠ 여성의 자립과 자존에 경제적 여건이 중요하지 않다는 건 절대 아니지만, 차별적인 사회 시스템을 그대로 두고 단순히 “여자도 부자되서 성공하자”는 식의 ‘임파워링’에 경멸감을 느끼는 저소득층 저학력 여성으로서 ^^ 굉장히 흥미롭게 읽었다고 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harp Objects (Paperback) - 『몸을 긋는 소녀』원서
Gillian Flynn / PENGUIN RANDOM HOUSE USA EX / 2018년 7월
평점 :
품절


˝Sometimes I think illness sits inside every woman, waiting for the right moment to bloom.˝

정말 재밌게 읽었다. 이렇게 다채롭게 미친 여자들 이야기라니! 병적이고 망가진 여자들-이해할 수 없는 선택을 하고, 자기파괴적이고, 신경증적이며, (수동)공격적인. 이렇게나 복잡하고 섬세하게 ‘나쁜‘ 여성 인물들.

작가가 처음부터 끝까지 고집스러울 정도로 남성 캐릭터들에게 이렇다할 역할을 허락하지않는 것도 맘에 들었닼ㅋㅋㅋ 기본적으로 이 소설은 정말 손 쓸 도리도 없이 망해버린 모녀/자매 관계에 대한 내용이고, 아버지들은 애초에 부재하거나, 존재하더라도 세 모녀가 온갖 드라마를 빚어내고 있을 동안 허약한 몸으로 배경에서 신문이나 뒤적거릴 뿐ㅋㅋㅋ....

책에 묘사된 미국 남부 시골의 ~은은하게~ 억압적이고 폭력적인 공기가 나에게도 폐소공포증을 불러일으킬것만 같았다. 이게 길리언 플린의 데뷔작이었다니 엄청나군. 존잘이시여... 다크 플레이스랑 곤 걸도 시간 나는데로 읽어봐야겠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ilk Blood Heat (Paperback) - 『우유, 피, 열』원서
Dantiel W. Moniz / Grove Press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goodreads에서 록산 게이의 리뷰를 보고 킨들로 구입. dantiel w. moniz 작가의 첫 단편집이다. 미리보기로 표제작인 milk blood heat을 읽다가, 그 강렬함에 압도되어서 나머지 작품들도 반드시 읽어봐야겠다는 조바심이 들었다.

milk blood heat 은 ava와 kiera라는 두 명의 여자아이들의 우정에 대한 소설인데, 유년기에서 청소년기로 이행하는 짧은 시기의 뒤틀림과 멜랑콜리를 잘 포착한 작품이었다. 이 소설은 두 소녀가 손바닥을 나이프로 그은 뒤, 그 피를 우유와 섞어 서로 나눠 마시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Pink is the color for girls,‘ Kiera says, so she and Ava cut their palms and let their blood drip into a shallow bowl filled with milk, watching the color spread slowly on the surface, small red flowers blooming.> 강렬하고 충격적인 이미지. 거칠고 신경증적인, 이 소설의 두 주인공은 독자에게 선명하고 쉽게 잊혀지지 않는 인상을 남긴다.

이 단편집에 등장하는 인물들(대부분 흑인 여성)은 모두 좆같은 상황에 처해 있고, 크고 작은 결함과 비밀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런 불완전함이 소설의 인물들을 더욱 흥미롭게 만든다. milk blood heat에 수록된 소설들은 어느 한 편도 손쉬운 위안을 건네지 않는데 바로 그 점이 이 단편집의 매력이었다...나는 모니즈가 어둡고 냉혹한 작가라고, 그러나 인간에 대한 놀라운 통찰력을 지닌 작가라고 생각한다. 빼어난 데뷔작. 저자의 다음 작품도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