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부르는 성모 성가


 가톨릭 합창단 | 백남용 지휘 | 66분 35초 | 10,000원

가톨릭 성가는 하느님께 드리는 찬미이다. 이미 나온 가톨릭 성가 시리즈 중에서 많은 이들이 즐겨 부르는 성모님 노래만을 선곡하여 들려줌으로써 성모신심과 전례생활을 보다 더 풍요롭게 한다.

이 성가는 성모님을 더욱 더 사랑하고자 열망하는 이들에게 노래를 통해 성모님께 가까이 다가가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미사 . 기도 때 가장 즐겨 부르는 성모 성가를 모은 음반이다.

노래 : 가톨릭 합창단 ㅣ 지휘 : 백남용 신부 ㅣ 오르간 : 박래숙(마르가리따) ․ 문병석(안드레아) ㅣ 디자인 : 박문정 ㅣ Mastering : 전훈(Sonic korea)
 
목차
1. 우리 자모 (가 234장) 
2. 사랑하올 어머니 (가 236장) 
3. 주 예수 어머니 (가 237장) 
4. 자모신 마리아 (가 238장)
5. 거룩한 어머니 (가 239장)
6. 바다의 별이신 성모 (가 241장)
7. 마리아 모후여 (가 243장)
8. 성모의 성월 (가 244장)
9. 맑은 하늘 오월은 (가 245장)
10. 무변 해상 (가 251장)
11. 하늘의 여왕 (가 255장)
12. 나의 기쁨 마리아여 (가 257장)
13. 성모 승천 (가 259장)
14. 죄 없이 잉태되신 마리아 (가 261장)
15. 그 외아들 (가 264장)
16. 성모송 (가 265장)
17. 마리아의 노래 (가 269장)
18. 로사리오 기도 드릴 때 (가 271장)
19. 하늘의 여왕 (가 276장)
20. 내 영혼이 주님 안에서 (가 527장)
  


만든이 소개
 가톨릭 합창단
가톨릭의 전례를 성음악으로 표현하고 신자들과 함께 선교를 위하여 음악활동을 하며, 교회음악의 발전 및 보급을 위하여 헌신하고 노력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백남용 신부
73년 가톨릭 대학 신학부 졸업 및 사제서품
76년 서울 경희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졸업 (김동진, 최병철 교수 사사)
77년 공군 군종신부 (당시의 부산교구 만덕공소 담당신부)
81년 서울 신수동 본당 신부
87년 독일 유학
91년 독일 베를린 Bischofliche Kirchenmusikschule 졸업
91년 서울 대교구 주교좌 성음악 감독및 서울 가톨릭합창단 지휘자
94년 수원 가톨릭 대학 교수
99년 명동 주교좌 성당 주임신부
2003년 가톨릭 대학교 교회음악 대학원장
현재 가톨릭대학교 교수, 교회음악대학원장, 가톨릭합창단 상임지휘자
돔 앙상블(현악 앙상블) 음악 감독
돔 스콜라(성악 앙상블) 음악 감독
PBC (평화방송) FM 일요일 06-08시 "교회음악으로의 초대" 단독진행, 해설(1992년 부터)  

 
미디어리뷰
[평화신문]-------------------------------------------이지혜 기자 | 2008-05-04
 성모성월을 맞아 성가로 성모신심을 고양시켜보는 건 어떨까. 바오로딸이 5월을 맞아 '즐겨 부르는 성모 성가'를 내놨다. '사랑하올 어머니' '자모신 마리아' '성모의 성월' 등 가톨릭 성가에서 성모님을 노래한 성가 20곡을 선정해 담았다. 노래는 가톨릭합창단(지휘 백남용 신부)이 맡았고, 박래숙(마르가리타)ㆍ문병석(안드레아)씨가 오르간 연주를 했다. 경건한 오르간 반주에 잔잔하면서도 고결한 목소리가 잘 어울어져 성모님을 향한 마음으로 이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당신은

      당신은

      찬연히 빛나는
      햇살인 줄 알았습니다.

      넓은 바다 마음껏 내달리며
      노래하는 파도인 줄 알았습니다.

      높은 산
      깊은 골짜기
      굽이굽이 감아도는 바람인 줄 알았습니다.

      때로는
      가을하늘 높이 걸린 구름인가 했습니다.

      그러나
      그냥 낮은 곳으로 흐르는 물인 듯합니다.
      당신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도원에서 보내는 편지 

성바오로딸수도회 著 | 소빈 畵 | 152쪽 | 14.5*19cm | 7,500원

 

‘봄나들이, 여름 이야기, 가을의 행복, 겨울나기’로 이어지는 편지글 모음으로 기도시처럼 편안하게 읽어 내려가도록 초대한다. 바오로딸 인터넷 서점 홈지기 수녀들이 매주 독자들에게 보내는 책 소개 편지글 가운데 함께 공감할 수 있는 44편을 골라 사계절에 담았다.

수도원의 소박한 일상 안에 함께 계신 하느님의 손길을 느끼며 더욱 따뜻하고 평온하게 자연과 이웃을 대하고 하느님을 만나도록 이끈다. 계절마다 11편의 편지를 담았으며, 크고 작은 일상에서 길어 올린 깨달음으로 잔잔한 감동을 전한다. 분주하게 돌아가는 나날 가운데 생각을 멈추고 마음을 모아 하느님의 사랑을 체험하도록 도와주며, 우리에게 더욱 친숙하고 정감이 가는 닥종이 인형 작가 소빈 선생님이 정성을 다해 만든 30여 점의 작품을 넣어 볼거리를 함께 제공하는 작지만 예쁜 책이다.

♣ 이해인 수녀님의 추천글
「수도원에서 보내는 편지」는 제목 그대로 수녀들의 소박한 삶과 일상이 담긴 편지 모음입니다. 글이 모두 한 편의 시와 같고 한 폭의 수채화와 같아서 이 편지들을 읽다 보면 비록 세상을 떠나 살지만 세상의 아픔과 함께하며 이웃을 보듬고 사는 수녀들의 모습이 가족처럼 편안하고 정겹게 다가옵니다. 삶을 사랑하는 따뜻함과 지혜, 신앙적 용기를 새롭게 배우게 됩니다. 자신의 내면을 깊이 갈고 닦는 이들의 삶과 글에서는 신선한 과일 향기가 나고, 담백한 물빛 평화가 출렁입니다. 이 잔잔한 향기와 평화 안에서 여러분 모두 행복해지시길 바랍니다.

목차
봄나들이
진달래 ㅣ 새싹 ㅣ 조카 등에 업힌 성모님 ㅣ 디스크 조각 모음 ㅣ 누가 닦았을까? ㅣ 탱자나무 가시 ㅣ 당신의 천사 ㅣ 카네이션 ㅣ 나뭇가지의 길이 ㅣ 손가락 두 개 ㅣ 할머니의 마음주머니

여름 이야기
잡초와 김매기 ㅣ 감사하는 마음 ㅣ 무사고 모범 운전수 ㅣ 선인장의 변신 ㅣ 다리 하나로 당당한 콩나물 ㅣ 유리문 ㅣ 마중물 한 바가지 ㅣ 어미니의 통장 ㅣ 텅 빈 마음 ㅣ 뜀틀 잘 넘으세요? ㅣ 기도, 하느님께 가는 전용 차선

가을의 행복
가을 여행 ㅣ 모과나무 ㅣ 묵주의 9일 기도 ㅣ 너그러운 농부 ㅣ 금붕어 네 마리 ㅣ 지금 이 순간의 행복 ㅣ 나뭇잎의 아름다움 ㅣ 나무 묵주 ㅣ 배추 심기 ㅣ 마음속 저울 ㅣ 열매 맺는 삶

겨울나기
눈사람처럼 ㅣ 사랑의 비타민 ㅣ 길들이는 시간 ㅣ 행복 주유소 ㅣ 하느님의 발소리 ㅣ 새 마음을 주리라 ㅣ 어떤 이웃을 사랑합니까? ㅣ 진흙으로 만든 예수님 ㅣ 인생의 종점 ㅣ 기다림의 순간 ㅣ 이 또한 지나가리라

만든이 소개
 소빈(蘇濱)
닥종이 인형 작가

종인 인형을 만들어 개인전과 그룹전을 몇 차례 가졌으며, 대한민국 한지대전·전승공예대전·미술대전에서 상을 받았다. 현재 원광대 조형미술학과 박사 과정에 있으며 전남대학교와 전주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야곱의 우물 2008년 5월호
 12.8*18.8cm / 2,800원


 성모성월에 만나는 야곱의 우물!
말씀을 삶으로 실천하는데 도움이 되는 체험과 묵상,
감동적이고 가슴 따뜻한 이야기 속에서 성숙한 신앙에로 나아가는 길을 만날 수 있다.

[밑돌] 당신은 / 김춘옥 글·그림
[텃밭] 매일 성경 묵상 / 서영남 · 원순희 · 이상각
렉시오 디비나에 따른 매주일 복음 묵상 / 강 지 숙

생명의 샘
[요한복음 산책] 성화(聖化)란 / 송 봉 모
[장자 읽기] 통발과 말 / 이 향 만
[성경의 노래] 즈카르야의 노래(2) / 민 남 현

새 하늘 새 땅
[교회와 사회] 공정한 거래를 바라며 / 박 병 상 
[햇살지기] 모성적 돌봄의 예술가, 힐데가르트 / 한 상 봉
[만화] 하느님의 말씀 / 변영국 글 · 박흥렬 그림
제5회 : 구약성경(1)-구약성경 안에 담긴 구원의 역사

삶의 자리에서
[표지 인물] 노래로 사랑을 전하는 행복한 천사들 / 김 보 경
에반젤리 합창단

[순례의 영성] 평화와 순종 / 이 제 민
[지팡이] 하느님의 다선 선물 / 최 곡 지
[아름다운 향기] 단짝 친구 예수 / 유 홍 종
[표정이 있는 풍경] 표정이 있는 풍경 / 탁 기 형 사진·글

우물가 산책
[변승우의 책 이야기] 이 순간을 살며 / 변 승 우
[숨어 있는 말씀 찾기]
[물동이] 독자의 소리 / 최규진 · 김희숙 · 김영희

정기구독 신청은
오른쪽 야곱의 우물 배너를 클릭하세요^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  드  라  쉬
입  문

(유다 그리스도교 고전 입문 총서 3-2)

귄터 스템베르거 著 | 이수민 譯 | 400쪽 | 14.5*22cm(양장) | 19,000원


<유다그리스도교 고전 입문 총서> 시리즈 가운데 첫 번째로 출판된 책이다. 현재 유럽에서 라삐 문헌의 권위자로서 인정받는 귄터 스템베르거의 「미드라쉬-라삐들은 성경을 어떻게 다루었는가?」를 번역하였다. 유다 백성이 옛날부터 쏟아 온 성경 해석에 대한 정성이 오늘날도 지속되고 있음을 독자들에게 알리는 것이 이 책의 사명이며 전체 3부로 구성되었다.
제1부에서는 유다인들의 성경 해석에 관한 전통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미드라쉬란 무엇인지 본질적 특징을 서술하며, 미드라쉬의 작품들을 분류해 놓았다. 그리고 라삐들의 성경 해석 방법들을 ‘라삐들의 논리’라는 제목으로 보충하여, 이 책에 옮긴 미드라쉬 본문 해석에 적용된 특정한 규칙들을 소개하였다.
제2부는 이 책의 중심부로서 미드라쉬 본문들을 선택하여 짧게 설명하였다. 이 본문들은 성경의 가장 중요한 문학 유형들과 중요한 미드라쉬 작품들을 포함한다. 아울러 성경에 접근하는 여러 가지 가능성과 라삐들의 전승을 다루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제3부에서는 유다인들의 전통 속에 자리한 미드라쉬가 어떻게 유포되고 위기를 맞으며, 계승되었는지와 그리스도교 세계에서 찾을 수 있는 미드라쉬 전통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미드라쉬의 연구 과제와 현대인들이 성경에 접근하는 데 미드라쉬가 도움을 줄 수 있는 길잡이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책의 뒷부분에는 참고문헌, 문헌 인용구절 찾아보기, 주제와 용어 찾아보기, 성경 인명 찾아보기, 미드라쉬 학자들 찾아보기, 라삐들의 활동 지역과 연대 목록 등을 수록하여 참고할 수 있게 하였다.

목차
- '유다ㆍ그리스도교 고전 입문 총서' 발간에 즈음하여
- 옮긴이의 글
- 서언

제1부 미드라쉬의 성림과 본질, 그리고 발전
Ⅰ. 유다인들의 성경 해석의 시작
1. 성경 안에서의 성경 해석
2. 헬라 전통
3. 신구약 중간 시대의 문헌들
4. 쿰란의 성경 해석
5. 신약성경
Ⅱ. 미드라쉬란 무엇인가?
Ⅲ. 회당의 성경 낭독
Ⅳ. 가장 중요한 미드라쉬 작품들
1. 할라카 미드라쉬들
2. 창세기와 메길로트에 과한 옛 미드라쉬들
3. 강론 미드라쉬들
4. 다시 꾸며 낸 성경 이야기
Ⅴ. 라삐들의 논리
1. 힐렐의 일곱 규칙
2. 라삐 이쉬마엘의 열세 규칙
3. 라삐 엘리에제르의 서른두 규칙

제2부 선택한 본문들
Ⅰ. 할라카 미드라쉬
1. 이집트에서 해방: 탈출12,29-36(『메킬타』피샤13)
2. 재산 소유에는 의무가 있다: 탈출 22,24-29(『메킬타』카스파1)
3. 피부병 환자들의 정결례: 레위14,2-4(『시프라』메조라1)
4. 살인자의 처벌: 민수35,29-34(『민수기 시프레』161)
5. 하느님의 계명: 신명11,22(『신명기 시프레』48)
Ⅱ. 창세기와 메길로트의『미드라쉬 랍바』
1. 인간의 창조: 창세1,26(『창세기 랍바』8,1-10)
2. 아브라함과 맺은 하느님의 계약: 창세15,8-21(『창세기 랍바』44,14-23)
3. 예루살렘에 대한 애도: 애가1,1(『애가 랍바』1,1-5)
4. 이스라엘의 구원: 아가2,8-11(『아가 랍바』2,19-25)
5. 모르도카이와 에스테르: 에스2,5-23(『에스테르기 랍바』6)
6. 늙음과 죽음: 코헬11,10--12,8(『코헬렛 랍바』12,1-8)
Ⅲ. 강론 미드라쉬들
1. 악성 피부병과 험담: 레위14,2.5(『레위기 랍바』16)
2. 예레미야의 복음: 예레1,1-3(『페시크타 드-라브 카하나』13)
3. 메시아의 빛: 이사60,1-2(『페시크타 랍바티』36)
4. 아브라함의 소명: 창세12,1-17(『탄후마』레크 레카1-5)
Ⅳ. 다시 꾸며 낸 성경 이야기
1. 요나가 바다 속에서: 요나1--2장(『피르케 드-라삐 엘리에제르』10)
2. 아브라함의 모범(『세데르 엘리야후 랍바』6)
3. 모세의 어린 시절: 탈출 1--2장(『디브레 하야밈 셸 모세』)

제3부 미드라쉬의 영향
Ⅰ. 유다인들의 전통 속에
1. 미드라쉬의 유포
2. 미드라쉬의 위기
3. 미드라쉬 전통의 계승
4. 미드라쉬와 새로운 해석의 중계
5. 성경의 우의적 해석 - 철학과 신비학
6. 이디쉬어 미드라쉬 전통
Ⅱ. 그리스도교 세계의 미드라쉬
1. 교부들에게서 찾을 수 있는 미드라쉬 전승
2. 중세의 상황 전개
3. 근대 초기
Ⅲ. 현대의 미드라쉬 연구
Ⅳ. 오늘의 미드라쉬

- 참고 문헌
- 문헌 인용구절 찾아보기
- 주제와 용어 찾아보기
- 주제와 용어 찾아보기
- 성경 인명 찾아보기
- 미드라쉬 학자들 찾아보기
- 라삐들의 활동 지역과 연대 목록

만든이 소개
 귄터 스템베르거
1940년 인스브루크에서 태어나 오스트리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에서 신학과 유다학을 전공했고 1967년 인스브루크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년 뒤 로마 교황청립 성경대학에서 성경학석사 학위를 받은 후 미국 듀크 대학에서 2년간 연구원으로 지냈으며 연구차 이스라엘에 체류했다. 빈 대학에서 유다학을 연구했고 1977년부터 라삐 문헌을 가르쳤으며, 1948-1986년에는 쾰른 대학에서 강의 했다. 현재 라삐문헌의 권위자로 헤르더에서 새로 편찬한 「신학과 교회 대사전LTbK」과 「신학대백과사전TRE」의 라삐학 분야를 책임지고 있다. 탈무드, 미드라쉬, 유다인들의 성경 해석, 이르람 이전 팔레스티나의 역사, 로마제국 내 유다 디아스포라의 역사에 관해 많은 저서와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이수민
1975년 오스트리아 빈 대학교 유다학과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은 후, 시리아 그리스도교 문헌을 편찬하여 1985년 캐나다 퀘벡 라발 대학교 신학대학에서, 그리고 동방 그리스도교 언어와 문학 및 영지주의와 마니교 문헌을 연구하여 1995년 파리 고등 학술실용대학에서 각각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9년부터 3년간 동 대학 종교학 분과 초빙교수로 `그리스도교의 기원과 동방 그리스도교`를 강의했고, 1992년부터 10년간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제32분과:고대와 중세)의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2년부터는 한님성서연구소에서 동방 그리스도교 문헌과 유다이즘 문헌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