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방 경직성. 임금을 이야기 할 때 주로 사용하는 개념이다. 전공 수업인 노동 경제학 시간에 종종 회자되곤 했다. 높아진 임금은 낮추기 힘들다는 말이다. 임금의 하방 경직성이 임금 체계의 탄력성의 저해하여 노동 시장의 유연화를 막는다는 주장도 종종 제기된다. 이런 하방 경직성은 임금에만 적용되는 게 아니다. 오히려 삶과 더 절실히 맞닿아 있다. 어젯밤, 정확히는 오늘 새벽 난 그 절실함을 명징하게 느꼈다.

새벽에 잠을 깼다. 선잠을 자려 눈을 감았지만 예민해진 신경은 마음만 번잡스레 했다. 구석에 쌓아 둔 한겨레신문을 꺼내 들었다. 신문을 다 보고 나서 구석에 쌓아 둔 신문 더미에 무심코 던졌다. ‘툭’하는 소리와 함께 오디오가 멈췄다. 슈만의 ‘시인의 사랑’을 듣고 있던 순간이었다. 별 일 아니라 생각했기에 다시 재생 버튼을 눌렀지만 기계는 시디를 읽지 못했다. 고장 난 것이었다. 새로 산지 반년도 안 되었기에 잠시 짜증도 났지만 동트기 전부터 마음을 핍진케 하는 건 스스로에게 해로웠다. 잠시 명상에 빠졌다.

기계치이긴 하지만 오디오를 고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새벽에 잠을 깬 것도 억울한데 음악마저 없으면 긴긴밤이 서러울 듯해서이다. 오디오를 분해하고 어찌하다 보니 고쳐진 듯 했다. 허나 기계는 예전과 같지 않게 늘어지는 소리를 냈다. 다시 분해하고선 한 시간을 씨름하다 결국엔 굴복했다. 대안으로 예전에 자주 듣던 미니 콤퍼넌트를 꺼냈다. 그 고적한 품새가 마음에 들었기에 나름 위안을 삼을 수 있었다. 허나 먹먹한 소리는 참기 힘들었다. 좀 더 세밀한 소리를 내는 새 오디오에 익숙해졌기 때문이다.

번스타인과 빈필의 ‘라인’ 교향곡을 듣는데 그 묵직함이 끝내 와 닿지 않았다. 관현악은 하나의 악기처럼 뭉툭한 소리를 내고 빈필 특유의 현악 선율은 귀에 감기지 않았다. 이런 도구로 음악을 들었던 예전의 내가 대견했다. 세세한 음의 향연은 잠시 동안 내 것이 아닐 듯하다.

‘일야구도하기’에서 연암(燕巖)이 지적했듯 사람의 마음은 실로 간사한가 보다. 나와 몇 년을 함께한 콤퍼넌트를 시쁜 눈으로 바라보는 내가 다소 안타까웠다. 좀 더 부족하고 좀 덜 가지고 사는 것에 익숙해져야겠단 다짐을 한다. 일상에 감사하고 사소한 일에 기꺼워하는 자아가 진정 삶을 밝게 할 테다. 다소 뻔한 아포리즘에 살을 붙이는 건 이런 사소한 경험이다. 고장난 오디오는 음악을 들려주진 못하지만 마음의 소리를 울리게 했다. 덕분에 어제보다 좀 더 살가운 내가 된 듯하다. 하방경직성이 하방수월성이 될 때 삶은 견디는 게 아니라 영위하는 그 무언가가 될 테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10-01-12 10: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악은 (모든 장르가 다 그렇겠지요..) 삶과 맏닿을 때, 그리고 다시 그것을 기억할 때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오지 않나 싶습니다. 어쩌면 우리가 음반을 구입하고 다시 그것을 듣는 까닭은 그 느낌과 기억을 되살리고 싶어서 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해보고요.

싸구려 CDP와 스피커로 듣고 있지만 다른 장르, 다른 작곡가, 다른 연주자들이 들려주는 느낌은 다르게 전해져 다행입니다. 언제나 첫번째는 음악 그 자체겠지요.

그나저나 오디오가 고장나셨다니..이런 안타까운 마음이 드네요. 그래도 마음의 소리가 울리신다니 부럽네요^^

바밤바 2010-01-12 10:43   좋아요 0 | URL
인문학을 공부하다보니 마음 수양이 절로 되는 것 같아요. 인문학을 삶에 맞추어 공부한 게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그에 반해 고장난 오디오가 공간만 차지하여 어찌할 가 걱정입니다. 집에가면 예전처럼 그 뚜렷한 소리를 다시 들려줄거 같단 기대가 드는 것도 사실이구요. 집 떠나기 전 하라세비치의 쇼팽 즉흥곡을 들었습니다. 오래된 녹음에 구식 오디오지만 들려주는 소리는 여전히 좋더군요. 바람결님 덕분에 나날이 수양에 정진하는 듯 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글 많이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