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빠가 돌아왔다 ㅣ 김영하 컬렉션
김영하 지음, 이우일 그림 / 창비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김영하의 싸인이 들어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덜컥 예약 주문을 신청하고, 열흘 후쯤 책이 도착하자마자 게눈 감추듯 하루 밤에 읽어 치워 버린 것이 벌써 두 달도 더 전의 일이다. 오래 기다린 보람을 오래오래 되새김질 하고 싶던 마음은 책을 다 읽자마자 횅하니 사라져버리고 뭐라 딱 꼬집을 수 없이 흐리멍텅한 기분만이 남았고, 책을 읽고 리뷰까지는 아니더라도 어설픈 끄적임이라도 남겨두는 편인 내 수첩의 이 책 제목 옆은 하얗게 비어 있었다. 애써 노력한 것은 아니나, 그를 소설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로 만나서 단편집 [호출]에 홀라당 팬이 되고 그 후 자연스레 수순을 밟아, 소위 말하는 그의 전작주의자가 된 내게 이번 단편집만큼 큰 감흥 없이 덤덤하게 읽힌 책은 하나도 없었다. 매번 그가 내미는 신선한 소재들에 감탄하고 날 선 허구성에 감복하며 얕은 듯 깊은 문장들에 열광하기조차 했던 과거의 행태들에 비추어 볼 때 스스로도 조금은 놀랐다.
그의 소설은 마치, 퍼덕거리는 파란 생선이 갓 잡아 올려져 통 속에 팅 던져졌다가 하얀 도마 위로 다시 스슥 건져 올려 눕혀 지고 이어 커다란 식칼질 한 방으로 목이 댕겅 날아가면서 그 파란 생선의 빨간 내장이 드러나며 싱싱하게 회가 쳐지기까지의 과정, 같은 생생한 이미지로 다가왔었고 시간이 흐를수록 그 생선회가, 그 매운탕이 더욱 더 숙성된 맛을 내고 있다고 확신했다. 그리고 간간히 맛보여지던 [굴비낚시]나 [포스트 잇] 같은 밑반찬(?)들은 그 확신을 공고하게 할 만큼 감칠맛이 났다. 그런데 비유하자면 이번 소설집 <오빠가 돌아왔다>는 싱싱한 회도 잘 우러난 매운탕도 아닌, 그냥 맛있는 밥, 정도라고 해야 어울릴 것 같다. 밥이 맛있기는 하지만 반찬 없이 그냥 맨밥만 맹숭하게 먹으면 마냥 싱거운 것처럼 왠지 간이 심심한 소설들이었다. 자꾸만 뭔가가 빠진 것 같아서 다 읽고 나서 괜한 심통에 책을 휙휙 뒤집어보기까지 했는데, 그 이유는 어쩌면 처음 만난 [나는 나를 파괴할......]의 이미지가 너무 강렬했고 그 첫경험이 뇌리에 파박 꽂혀버린 때문으로 빚어진 그에 대한 나의 기대와 오해, 순전한 그것 인지도 모른다. 아니면 길든 짧든 어떤 주제로든, 퍼덕이는 생선에 비유할 만큼 어떤 '살아있음' 의 이미지들을 지속적으로 가공해 주었던 이전과 달리 [오빠가 돌아왔다]는 좀 더 통속적이고 일상적인 느낌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어쨌거나 전반적으로 조금씩 싱겁고 간혹 씁쓰름한 여러 단편 중 단연 불량식품처럼 달달한 작품은 역시 [오빠가 돌아왔다]이다. 이혼한 부모, 창피한 인간성의 아버지, 그 아버지를 개패듯 패는 패륜아 오빠, 그 오빠의 기이한 혼전동거 그리고 이 모든 과정 속에서 오직 섹스와 돈으로만 엮어지는 가족이라는 이름의 어설픈 결합. 이런 일들을 실제로 겪는다면, 그리고 진지하게 대면한다면, 칙칙하고 껄끄러운 조건들이 단 하나도 아니고 이렇게 굴비두름처럼 주루룩 엮어져 있는 삶을 겪는다면, 아마 그저 한없이 우울한 이야기로 끝났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삐딱한 사춘기가 까진(?) 말투로 털어놓는 그 가족의 일상은 극단적으로 해체되고 삐걱거리면서, 그 치우침이 고통의 상황을 넘어서는 순간 오히려 코미디가 된다. 지나치게 진지한 사람이 때로 실소를 자아내게 하듯, 이 조용하지 않은 가족의 진지한 합집합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족이라는 굴레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한, 영원히 코미디이다. 그리고 그들의 교집합이 도덕 교과서에나 나오는 사랑이니 뭐니 하는 뻔하게 당연해 마지않는 것이 아니라 그저 돈이나 육체적 욕망으로만 점철되어 있다는 것에 어쩌면 우리는 쉽게 안도한다. 허나 ‘서커스 가두 홍보단’ 같은 콩가루 가족을 보면서 마냥 큭큭 대다가, 나와는 좀 다르다는 사실에 조금은 안도하다가, 결국 발견하게 되는 것은 그 속의 나, 그리고 나의 욕망이었다. 그리고 생각했다. 어쩌면 가족은 모두 '서커스 가두 홍보단' 이 아닐까. 열혈한 마음으로 손에 손잡고 전세계를 돌며 순회공연을 하는 일류팀이냐 아니면 장이 열릴 때만 뭉쳐서 쿵짝대다가 이내 제 갈길로 흩어지는 삼류팀이냐의 차이만이 존재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예전에 쓴 작가의 말에서, 그는 담배처럼 매캐한 소설을 쓰고 싶다고 했고, 실제로 그의 소설들은 내 여기저기를 들쑤시고 들어와 일정한 중독성으로 그를 끊지 못하게 만들었었다. 그런데 이번 작가의 말을 보니, 그가, 조금은, 변한 듯도 싶다. 투망을 던지듯이 아니라 그저 낚시대를 드리우고 고기야 물려라 아니면 말고 하는 심정으로, 라는 말에서 보이는 어떤 여유. 어찌되었건 나는 그가 계속 못생긴 여자애를 달았건 이상한 몽둥이를 들었건 그렇게 계속, 더 자주 돌아와 주었으면 하고 바란다. 안 돌아오면 말고, 라고 시큰둥하게 말하기에는 내가 이미, 여전히 그리고 어쩌면 내내 그를 끊을 수 없을 것 같은 불길한 예감이 계속 들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