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1
미셸 투르니에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200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색다르고 흥미진진하지만 천천히 숨이 차오르는 소설이다.

로빈슨의 변화와 방드르디의 인간적 매력이 마치 성철 스님의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다, 산은 산이 아니고 물은 물이 아니다,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다, 이야기를 듣는 것 같다. 노예 방드르디, 총독 로빈슨, 그들의 역할 놀이가 폭발로 끝나고 진짜 자유인으로 서로를 만나되, 그 만남의 의미는 무엇었던가. 나와 너, 나와 그것의 관계가 모두 한명의 타자에 집중되었을 때 오는 혼동과 부담들.

 로빈슨은 외로웠다. 혼자라서. 외로움을 이기기 위해 스페란차를 지배했다. 그러나 그 지배는 계속되는 좌절과 허무로 이어졌다. 외로움은 주어지는 거다. 부여되는 거다. 수동적이다. 선택의 여지가 없다. 외로움에 적응되었을 때 로빈슨은 고독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영원한 고독은 형벌이다. 관계가 고독보다 훨 낫다. 그렇게 로빈슨은 방드르디와 관계 맺게 된다. 주인과 노예가 아닌, 인간대 인간의 관계 만이 서로를 행복하게 한다.

 고독의 문제를 한 인간이 타인과 맺는 관계의 문제를 무인도에 정착한 로빈슨의 입으로 풀어나가는 데, 문학과 철학 사이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서술하고 있다. 스페란차의 환상적인 모습을 상상하랴, 나와 타자사이에 대한 철학적 서술을 곰곰 따라가랴 읽다보면 저절로 숨이 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