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년생 김지영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시작이 인상적이었다.

정신줄을 놓은 것 처럼 보이는 김지영씨.

내가 기대했던 건 살짝 그 뒤의 이야기가 어떻게 되었는지 였다 보다.

거꾸로 김지영씨가 왜 그렇게 정신줄을 놓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연대기적으로 쭉 살펴 보는데,,, 약간 맥이 빠졌다.

그 인생의 많은 대목이 어쩌면 대한민국 여자라면 몇번씩 겪거나 보고 들은 이야기들이다.

그래서 할말들이 많을 수 있다.

그런데 왜 그런 일들이 벌어졌는지에 대해서는 잘 말해 주지 않는다.

그래서 읽고 나서 한껏 자기 이야기들을 하던 사람들이 그 이야기들의 이면에 있는 차별적 구조의 원인에 대해서는 얼버무리게 되었다.

어쩌면 공부가 더 필요하다는 싸인이겠지... 싶으면서도 행간에 그런 혜안이 좀 더 깔려 있었더라면 하는 아쉬움도 있었다.

그러면 최소한 정답은 아니더라도 어떤 공부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가닥을 잡을 수도 있었을 텐데....

한편으로는 김지영의 소극적이며 수동적인 대처에 울분이 터지기도 한다.

부당하다면 부당하다고 실컷 소리라도 쳐 볼 일이지.... 이불 속에서 떨거나 면접장에서 치마를 붙들고 혼자 분개하거나... 아닌 걸 아니라고 말 못하고 신발 속에서 발가락 엿이나 먹이는 일들을 평생했다면 그 역시 정신줄을 놓게 된 원인이 아니라고 할 수 없지 않은가.

나의 일을 스스로 감당하지 못하고, 책임지지 못한 것이다. 물론 사회의 억압적이고 차별적인 구조가 있었다. 그래, 분명 있었다. 그것이 가정에게로 이어지고, 개인의 내면에 영향을 준다. 그래서 개인은 점점 무력해지고 작아진다. 짓눌려 있다......

진정, 다른 대안은 없는 건가?

여성들의 연대? 아니다. 여성들이라고 다 같지도 않을 뿐더러 여성들의 적이 남성은 아니다. 그러면? 모르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깨어 있어라, 스스로 주문하고, 깨어 있겠다, 스스로 결심한다. 깨어서 아닌 건 아니라고, 얼굴을 붉히고 주먹을 휘두르지 않더라도, 웃으며, 자연스럽게, 아닌 건 아니라고 말하고 싶다. 그렇게 말하며 살련다. 최소한 말이라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