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전달자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20
로이스 로리 지음, 장은수 옮김 / 비룡소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인간은 배우는 존재이다. 자신의 직접 경험, 혹은 타인의 경험을 통해 자신이 나아갈 바를 배운다.

기억전달자가 살아가는 그 세상은 과거의 비극으로부터 배운 것을 실천하는 세상이다.

세상의 갈등과 불평등의 기원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그를 없애기 위해 모든 것이 공정한 타고난 대로 교육받은대로 감정은 있는 그대로 이야기 하고, 용서하는 이상사회를 만들었다. 하지만 그 이상사회는 또 하나의 이상한 사회가 되었다. 왜?

이상사회는 왜 이상한 사회가 되었을까? 한 인간이 없었기 때문이다. 위원회라는 통치자와 규칙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인간은 그저 떼로 존재할 뿐 개별적인 특성을 가진 존재가 되지 못했다. 공동체라는 거대한 기계의 완벽한 부품으로 존재하는 것이 인간의 사명일뿐이었다.

구조기능주의적 관점에서만 이상적인 사회. 그것이 그들이 사는 세상이다. 그들은 그 세상속에서 개성도 상실한채 기억도 소거된 채 살아가고 있다. 기억은 그저 한 사람의 생애에 대한 기억으로만 머물뿐 기억을 바탕으로 스스로 배우지 못한다. 배움은 오직 위원회에서 이야기하는 것만 가능하다. 기억이 사고의 재료이며 바탕이며 근원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기억을 통해 무엇을 배울 것인가?

인간의 본질에 대한 이해다. 본질에 기원을 둔 채 있어야 할 세계에 대한 이상과 희망이다.

혼동은 갈등은 어디에서 출발하는가? 그들의 끔찍한 과거는 무엇으로부터 비롯되는가?

인간이 규명해야 할 문제는 이런 것이다. 그 문제에 대해 작가는 말한다. 모든 것은 답은 사랑이라고. 사랑을 지키는 것. 사랑을 잃지 않는 것. 사랑을 이루는 것이 우리의 삶의 근원이며 우리가 나아갈 바라고. 과연.... 서로를 사랑하라.... 그것이 다 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