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목 - 개정판, 서울대 교수진이 추천하는 통합 논술 휴이넘 교과서 한국문학
박완서 지음, 노성빈 그림, 방민호, 조남현 감수 / 휴이넘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완서의 소설들을 모아 읽다보니 인간 박완서를 왠지 많이 알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소설이 소설가 개인의 경험을 어느 정도 반영하는지는 소설에 따라 다를수 있겠으나 박완서는 아마도 많은 부분 자신이 투영되는 소설을 썼을 듯 싶다.

 옥희도가 박수근이라면 정말 미군부대 다닐 때 박완서가 박수근을 좋아했었나? 하는 의심도 살짝 든다. 하여간 실존 인물을 그린 소설이니 실존 인물들의 실제 감정이 어떠했는지 급 궁금해 진다. 쓸데없는 호기심이겠지만.

 경은 과거와 미래 그 어디 쯤을 헤메는 인물인 듯 하다. 현재에 눈뜨지 못한 채 과거에 끄달린 채 현재를 부정하고 미래를 향해 내달리는 듯한 그런 인물이다. 그것이 모두 두 오빠의 죽음 때문이다. 경의 집, 행랑채가 무너진 으스스한 고가. 그 고가를 감싸는 회색 기운. 그것이 경의 마음이다. 그런 경은 기갈을 가진 누구든 사랑하고 싶어한다. 그림에 대한 기갈을 가진 옥희도씨, 낯선 타국에서 자신의 존재감에 대한 기갈을 눈 속 깊이 간직한 조, 그러나 그들에 대한 끌림은 그것 역시 기갈이다. 경은 무엇에 대한 기갈을 가지는가? 죄책감, 그리고 어머니로 부터 벗어나고 싶은 욕망.

 다른 작품들에 비해 좀 거친 듯 하나, 인간 박완서를 보다 내밀하게 엿볼 수 있을 것 같은 묘한 기분을 불러 일으키는 작품이었다.

 어떻게 하면 현재를 살 수 있는가? 과거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미래를 담담히 받아들일 수 있을까? 미래에 대한 터무니없는 욕망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까?

 인정하고, 이해하고, 해석하고, 그리고 나를 전폭적으로 알아주고 지지하는 누군가가 있다면??

 경은 옥희도의 나무를 고목이 아닌 나목이라 했다. 나목의 의미, 헐벗은 나무는 어떤 의미인가? 새로운 희망을 간직한 것이다. 지금 비록 헐벗었으나 앞으로 잎싹을 피우고, 꽃을 피우고, 열매 맺을 날이 있으리라. 나목은 미래에 대한 희망, 고목은 절망, 희망이 있다면 현재의 아픔 또한 지나가리라?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갖기 위해서는 과거를 인정하고 과거로부터 자유롭고 현재에 충실하여야 가능한 것 아닌가? 이 또한 지나가리라. 현재는 늘 지나가는 거니까. 모든 건 지나간다. 모든 게 지나간다면 남는 것은 무엇인가? 지금을 산다는 의미는 무엇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