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상의 민들레꽃 - 개정판, 서울대 교수진이 추천하는 통합 논술 휴이넘 교과서 한국문학
박완서 지음, 이경아 그림, 방민호, 조남현 감수 / 미래엔아이세움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옥상의 민들레 꽃

 

할머니의 죽음 앞에 아이 빼고 나머지 사람들은 모두 한결같이 집값 걱정만 한다. 그들은 진정 결핍을 모르는가. 돈 이외에 중요한 것이 없는가. 하나같이들.....생명을 생명의 관점으로 보아야 함을 이야기 하나 이야기 자체는 썩 재미있지 않다. 긴장감이 떨어진다고 해야 하나. 너무 뻔한 결말이라고 해야 하나.

 

달걀은 달걀로 갚으렴

 

분노하는 아이, 자신에게 소중한 것들이 짓밟히는 것을 보고 가슴에 칼을 품는 아이, 그 아이에게 선생님은 점잖게 충고한다. 분노는 사람의 마음을 병들게 하는 것이라고. 달걀은 달걀로 갚으라고. 자존감, 자신에게 소중한 것을 소중한 줄 알면 자존감이 생기는 거겠지.

 

어느 이야기 꾼의 수렁

 

남과 북의 아이가 만나는 것에서 오도가도 못하는, 동화작가에 대한 묘사가 너무 리얼한 반면에 작가가 수렁에 갇히는 이야기는 왠지 설득력이 떨어지는 듯 하다.

 

 

1인칭 작가 시점으로 서술되고 있긴 하나 나의 심정이 그만큼 잘 설명되고 있지는 않다. 세상의 많은 사람들이 그렇듯 다른 사람들이 추켜 세우는 대로, 뭔가 상황이 변하면 마음도 따라 변하여 자신의 본 모습이라기 보다는 어떤 것이 진정 자신이 행복할 수 있는 길인지를 종종 잃어버리곤 한다.

 

저녁의 해후

 

옛날 선을 보았던 남자의 아들과 조카딸이 선을 본다. 예전의 그 기억이 새삼스레 떠올려지고, 그게 반신불수인 남편을 새롭게 보는 계기로 이어진다. 

 

<황혼>에 비해 내밀한 심리묘사보다는 이야기 거리에 더 집중하고 있는듯, 조금은 뻔한 듯한 이야기라 긴장감이 떨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