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학의 위로 - 점과 선으로 헤아려본 상실의 조각들
마이클 프레임 지음, 이한음 옮김 / 디플롯 / 2022년 11월
평점 :
예일대 교수였으며 수학자였던 저자 '마이클 프레임'은
비탄(Grief)을 기하학으로 이해한다면 (완전히 없앨 순 없으나)
고통을 감수할 수 있다고 이 책에 말한다.

비탄을 기하학으로 통찰할 수 있다고?
정말 생각해보지 않았던 신선한 조합이다.
여기서 비탄(Grief)이란 슬픔(Sadness)를 넘어선
예를 들어 소중한 것을 잃었을 때와 같은 형용할 수 없는 감정을 말한다.
수학적으로 감정 상태를 컨트롤한다는 발상자체가
엄청 신선하지 않은가?
특별히 초반부에 에스허르, 살바도르 달리 등에
익히 보았던 그림들에 사용된 기법 등이 나와서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특히 자주 등장하는 테셀레이션과 프렉텔 기하학
반복의 미학과 착시의 세계가 참으로 놀랍고 그처럼 수학도
여러 방면으로 접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과거 화가, 건축가 등 학자가 아닌 사람들도
수학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자신의 삶에 끌어들여 어떻게 이용했는지를
알게 되는 초반부가 수학의 위로에 대해 힘을 실어준다.
수학자의 마인드를 조금 빌려서 새로운 면면으로
우리의 인생과 삶을 이해한다면 비탄에 대한 정의가 달라질 것이란 마음이 들었다.
특히 평행우주론을 대입해서, 비탄의 불길을 누그러뜨릴 방법을 찾은
또 다른 내가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는 것!
기하학으로 접근해 비탄이 생기기 전과 후의 세계를 좌표화 하는 것도 놀라웠다.
유명한 정크 아트처럼 실체는 쓰레기 더미이지만,
쉐도우는 사람의 형상을 하듯이 비탄이 올려진 좌표에서 다른 면으로 투영해서
바라본다면 비탄도 새로운 모습으로 약해질 수 있다.
수학이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상세한 설명과 그림으로
상실을 경험하고 있는 현시대 우리 모두에게
비탄을 감소시키는 수단 뿐만 아니라
세상을 새롭게 보는 시각을 주는 인문서라고 감히 말해 본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 받았으나 솔직하게 서평했습니다. -
또는 소설이나 영화, 체스, 요리, 춤, 고양이들과 아주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자신에게 중요한 모든 것은 비탄을 약화시킬 투영으로 인도할 수 있을 것이다. - P1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