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람일시 : 2014.04.20  일요일 16:00

장      소 : 정동극장

공연시간 : 80분

좌      석 : VIP석

 

 판소리계 소설이자  세태소설인 <배비장전>은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당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양반의 위선을 풍자한 작품 중 하나인데 내용인즉, 새로 부임하는 제주 목사의 비장으로 따라가게 된 '배걸덕쇠'가 예방을 맡았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은 구대정남(九代貞男)으로 여색을 가까이 하지 않는다며 고고한 척하자 목사와 기생 애랑이 짜고 그의 본성을 드러내며 골탕 먹인다는 것이다.

  <배비장전>의 소재가 된 근원설화는 두 가지로 전한다. 사랑하는 기생에게 이별의 정표로 이를 뽑아주었다는 소년 이야기인 발치설화와 기생을 거부하다가 오히려 어린 기생의 계교에 빠져 알몸으로 뒤주에 갇힌 채 여러 사람에게 망신당하는 경차관의 이야기인 미궤설화가 그것이다.

 이를 정동극장의 대표 브랜드 MISO에서 전통예술극으로 새롭게 옷을 입혔다. 애랑의 인물됨을 알 수 있는 부분이자 실소를 자아내는, 발치설화와 관련된 소설의 앞부분과 배비장이 굴욕을 겪은 후 목사의 주선으로 현감으로 제수되는 부분은 생략되었지만, 큰 줄거리를 잘 살리면서도 우리의 전통 춤과 풍물, 기악, 창이 역동적이면서 풍성하게 어우러지게 하였다. 특히, 장면의 각 배경들과 제주로 가는 배의 모습, 애랑의 미모에 대한 묘사를 돌하르방과 말 분장을 한 사내들의 군무로 표현한  점 등 빼어난 연출이 돋보였다. 이런 요소요소들이 소설을 읽는 것과는 또다른 재미를 준 것은 더 말할 나위도 없다.

 그럼에도 아쉬웠던 점은, 한국의 전통공연을 관람하려는 외국인들을 배려해서인지 창의 비중은 아주 미미하고, 마치 무언극처럼 몸짓과 눈짓, 손짓 등으로 이야기를 전달하는 게 주였다는 것이다. 다르게 생각하며 장점이 될 수도 있겠으나, 소리를 더 듣고 싶은 내게는 좀 갈증이었다.

 원작과 그에서 파생된 다른 장르의 작품들을 보는 건 늘 즐겁고 신선한다. 비교하며 보는 재미, 놀라면서 보는 재미, 깨우치며 보는 재미가 쏠쏠하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꾸준히 이런 작품들을 접할 수 있길 기대해본다.

 

0 함께 읽은 책 :

  - 절개 높다 소리 마오 벌거벗은 배비장. 권순긍. 나라말, 2007

0 연계하여 읽을 책 :

  - 주강현의 제주도 이야기

  - 하멜 표류기

  - 정약용 목민심서

  - 김만덕

  - 우리 악기에 관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관람일시 : 2014.04.05  토요일 15:00

장      소 :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공연시간 : 100분

좌      석 : S석

 

고전소설 '장화홍련전'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스릴러, 공포물로 바꾸고 창극으로 표현했다. 스토리는 다소 평이했지만, 창극이라는 독특한 형식과 음향, 파격적인 연출이 돋보였던 공연이다. 장르답게 음산했던 분위기와 조명, 우리 소리인 창과 연극적 대사의 찰떡 같은 궁합에 매료되었다. (우리 것은 정적이고 고루하다는 편견을 깨준 작품목록에 추가.) 주제적인 면에서는 사회의 비리, 폭력, 부조리함이 사람들의 이기와 무관심으로 인해 '있었으나, 없었던 일'로 치부되는 것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준 작품이다. 역시 진실을 규명하는 힘은 모두의 관심에서 나온 바른 인지라는 것을 다시 깨닫는다. 다만, 아쉬웠던 점은 국립극장 좌석 배치상 앞면 무대의 경우 사각지대가 많이 발생하여 공연을 즐길 때 장애가 따른다는 것이다. 이런 부분을 좀 더 보완해준다면 관객 입장에서 보다 즐거운 관람이 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