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람의 목소리는 빛보다 멀리 간다 - 위화, 열 개의 단어로 중국을 말하다
위화 지음, 김태성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9월
평점 :
타이완에서 중국어판 『사람의 목소리는 빛보다 멀리 간다』가 출판되었을 때 타이완의 한 기자가 나에게 물었다. "『형제』와 이 책 두 권 모두 상당한 비판정신을 담고 있는 작품인데 어째서 전자는 중국에서 출판이 가능하고 후자는 불가능한 건가요?"
나는 허구와 비허구의 차이 때문이라고 대답했다. <한국의 독자들에게> 중 _
위 일화만 가지고도 우리는 대략 이 책에 대한 몇가지 정보는 유추할 수 있다. 위화가 목소리를 내어 전하려는 바는, 중국에서 출판을 불허할만한 금기시된 내용이며, 이에 대한 그의 태도가 비판적이라는 점, 또한 중국은 언론의 자유가 제한적이므로 우리가 매스컴을 통해 접하는 중국의 실상은 현실이 왜곡, 과장,축소되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사회는 문화대혁명(1966-1976)이라는 정치지상주의에서 '사회주의 현대화 건설'을 목표로 한 개혁개방(1978-) 체제로 빠르게 전환되면서 배금주의에 따른 빈부격차, 당원과 관료들의 부패와 치부, 도덕성 상실, 민주화의 지체, 환경오염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1960년생인 위화는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을 자신의 삶으로 고스란히 겪어오면서, 현 중국의 현실에 과거의 경험들이 어떻게 이어지고, 표피를 바꿔 반복되고 있는지, 그에 따라 어떤 결과들이 야기되었는지를 '인민', '차이', '혁명' 등 열 개의 단어를 통해 들려주고 있다. 그러나 그의 글에서 각 단어들은 추상적이거나 관념적인 '언어학 또는 사회학, 또는 인류학적인 의미'를 지칭하지 않았다. 즉, '인민'이라는 단어가 어떻게 '멀리서 반짝이던 수많은 등불이, 뜨거운 물결로, 거센 열기로 타올랐던' 구체적인 경험으로 이해될 수 있었는가를 톈안문 사건을 통해 들여주는 것이다.
이밖에 명실상부 G2인 중국이 왜 짝풍 제조나 저작권 침해, 각종 사기 등 부정적인 이미지들을 청산하지 못하는지를 오늘날 중국어에서 무정부주의 정신을 가장 잘 반영하는 '산채'와 도덕성 결핍과 가치관의 혼란을 드러내는 '홀유'라는 단어 속에서 사례를 들어 분석하고 있다.
책 속에서 위화가 지적하는 중국의 면면들을 읽어나가다 보면, 과거 그리고 현재 우리 사회의 모습과 겹쳐지는 부분들이 적지 않다. 그 닮은꼴에 모골이 송연하기도 하고, 가슴이 철렁하게 안타깝기도 하다. 인간 군상의 욕망과 그 욕망이 만든 사회가 각기 배우지 못하고 같은 전철을 반복하고 있다는 듯한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위화는 책의 말미에 '타인의 고통이 나의 고통이 되었을 때, 나는 진정으로 인생이 무엇인지, 글쓰기가 무엇인지 깨달을 수 있었다. 나는 이 세상에 고통만큼 사람들로 하여금 서로 쉽게 소통하도록 해주는 것은 없을 거라고 생각한다. 이 책에서 나는 중국의 고통을 쓰는 동시에 나 자신의 고통을 함께 썼다.'라고 적는다. 글로 쓴 그의 고통스런 목소리가 독자로 하여금 소통으로 치유되길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