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에 내린 눈이 녹아도 흔적 없이 녹을 때지만 그늘진 곳엔 여전히 눈이 쌓여있었다.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미끄러울 수도 있으니 눈을 치우자는 얘기가 나왔다. 바람이 차다. 차도 너무 차 칼바람이라고 한다. 뜨뜻한 아랫목에서 그깟 빙판쯤이야 하면서 지지고 싶은 날이다. 과장님까지 움직이니 아랫목 타령하고 있을 때가 아니었다. 2년 전의 나였다면 안 할 궁리를 하며 딴청을 부렸을 것이고 1년 전의 나였다면 일을 하면서도 시종일관 궁시렁댔을 것이다.  

 

 온갖 장비들이 동원됐다. 삽, 괭이, 부삽, 쟁기. 도구들은 생김새와 쓸모가 다르건만 오로지 얼음을 깨는 용도로만 쓰였다. 삽을 눕혀서 몇번 해보다 끝으로 톡톡쳐보기도 하고 삽질하듯 얼음을 깼다. 괭이 역시 낮게 종종거리듯 얼음 위를 건드리며 균열을 냈다. 며칠 된 얼음은 이래도, 이래도 하면서 자꾸 버티며 쉽게 깨지지 않았다. 삽을 눕혀서 좀 세게 쳤더니 얼음이 조금씩 깨진다. 모여진 얼음은 싸리 빗자루로 쓸어모아 화단에 부었다. 누군가 내년 봄에 화단은 물 고플 일이 없을거라고 흰소리를 한다. 얼음 조각이 튀고 허리는 아프고 손발은 진즉 얼어 있다.

 

 노예처럼 살기로 작정한듯 찍소리 없이 지내고 있는 누구는 미친 분노를 쟁기에 실어 보도블록까지 깰 기세로 힘을 쓴다. 누구는 왔다갔다하며 설렁설렁 거들고 누구는 계속 주말 텃밭에서 오랫동안 일하는걸 이야기하며 '얼른 칭찬해줘, 잘한다고 해줘.'란 냄새를 진하게 풍겨댔다. 내가 신뢰하는 누구는 군말없이 일하다 가끔 담배 한대 피어물고 혹은 소리를 높여 일을 시키며 계단 아래까지 얼음을 깨내려갔다. 나는 그를 신뢰하므로 그가 담배를 피든 자꾸 나보고 그래서 점심 먹었다고 할 수 있겠냐고 채근을 해대도 그런가보다 한다.

 

 공구는 정확하다. 삽에 눈을 담아 화단에 뿌릴 때 앞이 아니라 옆으로 해서 넘겨야한다. 안 그러면 그러모은 얼음이 도로 땅에 떨어지거나 손목이 삐끗할 수 있다. 앞으로 해서 얼음을 버리다 손목의 힘줄 하나가 찌릿했다. 정교하지 않은 삽이 보내는 정교한 신호. 쟁기는 쟁기대로, 니퍼는 니퍼대로, 롱렌치는 작은 녀석이 헷갈리는 이름을 갖고 있지만 쓸모만큼의 일을 한다. 소리가 이상하고 뭔가 어긋나면 문제점을 찾는다. 케이블선을 니퍼로 벗겨 스피커에서 나는 잡음을 해결하고 드릴이나 드라이버로 마무리한다.

 

 과장님은 나보고 더 있다가는 감기 들고 여자가 할 일이 아니라며 자꾸 들어가라고 한다. 다른 분은 그거 해서 밥 먹을 수 있겠냐고 한다. 나는 다만 입 하나로 일 거들며 대단한 치하를 하는 듯 구는 사람들이 주위에 없어선지 뭐든 상관없다 싶은 기분이 들었다. 얼음을 다 깨고 부직포를 깔았다. 11m에 13000원이다. 누구는 싸다고 하고 누구는 공금이 아니라면 싸겠냐고 싸울 기세로 덤빈다. 누구는 사람들이 넘어지지 않고 잘 다녔으면 좋겠다하고 누구는 다시 또 눈이 오면 어쩌냐고 오만상을 찌푸린다.

 

 다시 눈이 오면 부직포를 걷어내고 눈을 쓸어야 한다. 그 날도 춥고 손이 시려울 것이다. 하지만 비질을 하고 삽질을 하다보면 그쯤 추위야 별로 문제되지 않을 것 같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맥거핀 2013-01-09 03: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영화 <나는 공무원이다>에 주인공 공무원이 끌려나가 눈치우는 장면이 있는데 글을 읽다보니 그 장면들이 생각이 났어요. 예를 들어 이 글의 과장님에는 윤제문을 매칭하고, Arch님은....

다락방 2013-01-09 08:44   좋아요 0 | URL
저는 [나는 공무원이다] 보고 싶었는데 놓쳤거든요. 그래서 윤제문 말고 나오는 사람이 누군인지 몰라요. 다만 맥거핀님의 이 댓글을 읽고 아치님은...음...김하늘?? 이러면서 눈 치우는 김하늘 상상했어요. 하핫.

Arch 2013-01-09 10:59   좋아요 0 | URL
다른 부분은 모르겠고 '끌려나가는'건 딱인 것 같아요. 저는 김하늘 친구의 친구쯤 되지 않을까요라고 생각하고 검색했는데... 다락방님, 김하늘은 '7급 공무원'에 나와요! 그러니까 저는 윤제문은 모르겠지만 김하늘은 될 수가 없는거였어요. 그렇다고 제가 공무원이라는건 아니구요.

숲노래 2013-01-09 06: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눈을 제대로 치우자면
눈이 내릴 때에 한 시간에 한 번씩 나와서 쓸어야
바닥에 쌓이지 않아요.
이동안 사람들이 밟더라도 어느 만큼 치울 수 있고요.
그런데 이게 아니라면... 녹을 때까지 기다리는 수밖에 없지요 ^^;;;

길에 얼음 얼 때에는 '뜨거운 바람 나오는' 어떤 연장이 있어요.
그 연장을 쓰면 잘 녹아서 빗자루만 있으면 되기도 한답니다~
이런 연장 있으면 사람들 고생은 덜 시키지요~

Arch 2013-01-09 11:01   좋아요 0 | URL
함께살기님은 눈을 치우는 101가지 방법까지 다 알고 계시는 것 같아요. 그렇게 보자면 전 아직 입문도 아니고 왕초보네요. 뜨거운 바람 나오는 어떤 연장이라니, 와, 연장의 세계는 무궁무진하네요. 얼음 깨는 재미도 쏠쏠했어요. 쫙하고 갈라지면 참 뿌듯하고.

조선인 2013-01-09 08: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생하셨어요.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편히 다닐 겁니다. 짝짝짝

Arch 2013-01-09 11:01   좋아요 0 | URL
으쓱으쓱, 고맙습니다. 조선인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