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 표지였다. 띠표지에 우리가 먹어야 할 50가지 음식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란 식의 선전 구호가 있었던가. 그저 그런 책인줄 알았는데 첫제목 빨간 테니스공에서부터 흥미진진했다. 어느 날 냉장고에 오랫동안 있던 토마토를 창밖으로 던져봤단다. 토마토는 테니스 공처럼 어느 한군데 상하지도 않고 잘 굴러가더란다. 예전보다 음식의 양과 모양새는 그럴싸해졌지만 그 전보다 영양소와 맛은 떨어졌다는 주제를 창밖으로 나가 통통 굴러가는 토마토로 이미지화한 부분은 설득력이 있었다. 


 누군가의 책상에 있던 책을 살짝 읽은 터라 다음을 기약했는데, 아뿔싸! 책 제목을 적어두지 않았다. 분명 제목을 내 눈이 봤고, 내 손이 책장을 넘겼다. 다음에 읽어야겠다며 맘까지 먹었다. 메모 한장 안 했다고 (메모해도 어디에 둔지 기억 못하는 것도 다반사지만) 읽으려고 찜했던 책 제목을 까먹다니. 결국 그 책과는 인연이 없는걸로 결론을 내렸지만 아쉬웠다. 왜 아니겠는가. 아직 읽지 않은 책만큼 매혹적인건 세상에 없다. 책은 기대한 모든 것이 다 들어있을 것처럼 기세등등한 뒷모습만 남긴채 사라졌다.









 윌리엄 레이몽은 패스트푸드에서 뿐 아니라 가공식품 속 식품첨가물이 좀 더 빠르고 즉각적인 맛을 위해 사용하는 물질들을 독소로 보았다. 이 책은 작가의 전작을 봐야 이 작가의 책을 앞으로 더 읽을지 말지 결정할 딱 그만큼의 성취만 보여준다. 자기 주장이 옳다는 확신이 넘치고 이야기 얼개는 살짝 조잡하다. 저자의 글을 따라가며 새로운걸 알아가고 동의하는게 아니라 어쩔 수 없이 몇 군데 구멍 난 모기장을 쳐놓긴 했지만 초조한 맘으로 모기에 물리지 않기를 바라는 심정이랄까. 반절 이상 읽었는데 '나는 사실 전작에 기대어 대충 찍은 책'이란 고백을 듣고 싶진 않았다. 제목 잘 뽑고, 표지도 괜찮다. '독소'란 책도 좋았다며! 그런데 이런식은 아니아니아니아니되오. 물론 식품에 대한 그물망이 크고 성근만큼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나오긴 한다. 


 암튼 이 책에서 그때 그 빨간 표지에서 읽었던 내용과 비슷한 부분이 나왔다. 혹시 하는 심정에 이번엔 저자의 이름과 책제목을 적어뒀다.















 오늘 아침 전희식 선생님이 쓴 이 책의 서평(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438502)을 보지 않았다면 빨간 표지의 책 역시 그때 당시 정말 보고 싶었지만 아마도 잊어버렸을 것이다. 뭔가 정말 하고 싶다가 이내 시들해지는게 내 천성인지 원래 사람들이 다 그런지는 모르겠다. 박찬일의 '어쨌든, 잇태리'를 보고서 오전 내내 이탈리아에서 사는 꿈을 꿨다. 이탈리아 제스처도 해보고 싶고 맛있는 음식 먹으러 토리노에도 가보고 싶었다. 급기야 점심 때는 누구 보고 이탈리아 가자고 꼬시기까지 했다. 오후 동안 이탈리아에서 사는 방법을 검색해보다 취업이나 유학처럼 공력 많이 들어야 하는 방법  말고는 없다길래 가고 싶은 맘이 시들해지고 말았다. 청산도에 살고 싶다고 섬에 가서 빈집 얻고 사는 수준으로 외국 나가서 살 생각을 한 내 식견은 한심하다. 유학이나 취업의 방도를 찾아야 한다니 귀찮다. 그 정도로까지 하고 싶진 않은 정도, 딱 그 정도의 열망만 꿈꾼다.  나는 요새 하루짜리 열망만 갖고 산다.


 어쨌든 다시 본론으로 돌아오면


 우리가 익히 채소 많이 먹으면 좋다고 알고 있는 것과 다르게 요즘 채소는 '많이 먹어도 좋은 채소'가 아님이 분명해 보인다. 요즘 채소는 비닐 하우스에서 빨리 자라라고 주는 질소 비료를 과다하게 먹는다. 어떤 농가에서는 채소를 몇수십번씩 돌려 키우기도 한단다. 질소가 채소에 흡수되면 질산태질소로 변한다. 채소가 진초록이 되는 이유다. 질산태질소가 체내에 들어가서 고기나 생선에 포함된 단백질과 결합하면 '니트로소아민'이란 발암물질을 만든단다. 헐~


 그때 다시 빨간 표지의 그 책이 떠올랐다. 맛과 영양이 아니라 보관, 유통, 이윤만을 위해 생산되는 채소들. 빨간 테니스 공!

드디어 이 책을 찾았다.   
















 마이클 폴란이 아니라 토마스 F. 폴릭이다. 기대만큼 괜찮은 책일지는 모르겠지만 드디어 찾아서 다행이다. 이제까지 '육식 나빠, 그렇지만 맛있어, 채소 먹어야지'했는데 채소도 지금처럼 길러선 육식만큼 해로울 것 같다. 인간이 합성된 영양소만 먹고 살 수 없는 것처럼 식물도 그렇다는걸. 과학으로도 풀지 못하는 것들이 있다는걸 왜 깨닫지 못할까.


  맛있는 음식이 아니라 안심할 수 있는 음식을 찾아야 하는 상황은 안타깝다.




그 밖에 식품 산업에 대해 참고할 수 있는 책










 음식에 대해 읽고 있는 책



 <--이건 그냥 말 그대로 레시피인걸까.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2012-06-09 07: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장 좋은 밥은,
풀을 먹든 고기를 먹든,
스스로 길러서 먹는 길이에요.

스스로 길러서 먹을 때에는
어느 누구도 농약이나 비료를 안 주거든요.

자연 그대로 빗물 햇살 바람만 먹도록 한답니다.

Arch 2012-06-11 14:46   좋아요 0 | URL
저는 제가 기르는 고추에 음식물 남은거 주는데... 빗물과 햇살로는 좀 배고플 것 같아서 ^^

맥거핀 2012-06-09 23: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아야할 내용이기는 한데, 저는 이런 책 겁나서 못보겠어요. 자꾸 알면 알수록 먹을 게 없어지느 것 같구요. 그렇군요. 채소도 그렇군요. 마트 유기농 코너에 있는 거라고 다를 거는 없겠죠..? 이이제이 방법을 여기에 써볼까요. 안좋은 채소는 술과 함께..아 이건 아니구나.

Arch 2012-06-11 14:48   좋아요 0 | URL
저도 막 유기농만 먹고 엄격하게 가리면서 못살아요. 이런데 관심이 가는건 지금 뭔가 잘못 되고 있는데 뭔지 알아야할 것 같아서가 더 큰 이유 같아요.
아, 이이제이~ 국사 시간 이후로 처음 들어보는데 웬지 설득력이 있는데요.^^ 채소 살짝 익힌거랑 따뜻한 정종 먹으면 맛있겠다.

고기는 가끔, 소박하게 먹자 해놓고 어젯밤에도 통닭을 먹었어요. 표리부동 아치인거죠.

nada 2012-06-12 14: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악, 채소의 진실!
아치님 서재에서 보니 엄청 반갑네요.
저 책 엄청 충격적이었요, 저는.
자연재배라는 개념도 처음 알았고,
진한 녹색 채소가 좋은 게 아니라는 것,
채소와 고기를 같이 먹는 게 위험할 수도 있다는 것도요(요건 저자 말을 다 믿어도 될지 모르겠어요).
저는 그냥 유기질 거름이든 화학 비료든,
지나친 영양이 좋은 게 아니라는 것 정도만 받아들이려구요.
영양이 많으면 병충해도 잘 생긴다는 건 알고 있었어요.
되도록 자연을 닮게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는 것이 저자의 생각 같아요.

지난 일요일에 sbs 스페셜 보셨어요?
대부분 책에서 읽어 알고 있던 내용인데도
간만에 화면으로 보니까, 다시금 뼈저리게 각성하게 되더라구요.
그 전에는 고기 먹는 사람들 특별히 미워하진 않았는데..
(그냥 나만 안 먹으면 되지, 라고 생각했거든요.)
그 방송 보고 나서는, 모두가 공범이라는 생각이 막 드는 거 있죠.ㅠㅠㅠ




Arch 2012-06-12 15:09   좋아요 0 | URL
벌써 읽었단 말예요?
와, 꽃양배추님은 모르는게 뭔가요.
저도 이런 생각했어요. 그래서 뭐 어쩌라고, 다 먹지 말라는 소리냐에서 내가 막힌다는거.
다만 저는 이렇게 아는게, 알려고 하는게 더 나은 먹거리 선택을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작게나마 나와 사람들의 삶을 조금쯤 괜찮은 방향으로 갈 수 있게 하지 않을까란 바람을 갖고 하는건 아닐까란 생각이 들더라구요. 나만 잘 먹고 잘 산다고 건강해지거나 깨끗해질 수 있는 차원이 아니니까요. 그래서 이거 안 좋고, 저거 안 좋대면 왜 안 좋은지 뭐가 문젠지 알았으면 하는 생각인거죠.
어제는 지민이 아토피를 보시고 어떤 분이 효소에 관한 책을 주셨는데요. 강경하고 확신에 찬 효소 옹호론이 와닿진 않았어요. 좀 더 두고봐야겠죠~

당연히 못봤죠. 가난해서 텔레비전이 없거든요. ㅋㅋ 농담이에요. 텔레비전 앞에서 붙박이장처럼 버티고 무기력한 저녁을 보낼까봐 TV를 없앴어요. 디지털 전환인가, 그것도 복잡해보이고. 암튼 말해주신 프로그램은 제가 어떻게든 꼭 봐볼게요.

막 추천해주세요. 음.. 저는 불후의 명곡 추천해줄게요.

종이달 2021-10-13 12: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