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나 예능을 볼 때 입소문을 듣는 경우가 많다. (라디오 스타나 무한도전, 비틀즈 코드, 최근 보기 시작한 옥펑크는 예외. 허구헌 날 텔레비전만 본다고 생각할텐데, 맞다) 조여정의 깜찍한 연기와 낭만화 된 사랑이 아니라 이해 가능한 사랑을 보여준 ‘로맨스가 필요해’는 눈썹이 진한 소년 여자가 추천을 해줬는데 무척 재미있게 봤다. 요즘 통장 잔고를 걱정하는 여자 주인공은 흔해졌지만 헤어진 남자친구가 속을 긁어놓자 ‘니 마빡도 개박살을 내놓을거야’라거나 연하남에게 ‘관뚜껑 덮고 누워있다가도 내가 만나자면 벌떡 일어나서 나와’라고 하는 대사나 통통 튀는 조여정의 존재감은 정말 사랑스러웠다. 균형을 맞추기 위해 첨언하자면 이 드라마를 캐릭터가 흔하고 스토리는 살짝만 바뀐 로맨틱 코미디로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완벽한 이야기를 찾으려고 드라마를 보는 건 아니잖은가. 나로선 키득거리며 웃을 수 있는 이 드라마가 좋을 수 밖에.


 10아시아에서 소개해준 프로그램도 한 번씩 본다. ‘브레인’은 신하균이 잡아먹을 듯 노려보는게 뜨악해서 패쓰, 힐링캠프는 애석하게도 힐링이 안 돼 패쓰, 1박 2일은 강호동이 떠나고 캐릭터가 잡혔다고 하는데도 강심장과 마찬가지로 ‘좋은 생각’류의 감성을 전달하는게 맘에 안 들어 패쓰. 10아시아가 좋다고 하는 프로그램을 다 보진 않지만 10아시아의 글은 좋아한다.(특히 김희주씨의 글) ‘브레인’을 소개하며 자신의 욕망으로 움직이는 사람이 변화하는 얘기에 공감하고 ‘나도, 꽃’에서 ‘나를 좀 안 사랑하면 어때’란 식으로 짚어준 부분도 맘에 든다. 그러게. 왜 우린 그동안 나를 그렇게 많이 사랑하고, 세련되려 노력했을까.


 얼마 전에 머리하면서 음악과 결혼했다는 서태지의 그늘에 가려 없는 사람으로 살았다는 이지아 기사를 본데다 10아시아의 펌프질도 있어 ‘나도, 꽃’을 한번 볼까 어떨까 싶어졌다.  김도우 작가의 작품이란 점과 ‘차봉선’이란 캐릭터에 대한 호기심이 생겼기 때문이다. 최강희 때문에 ‘내 사랑’과 ‘애자’를 봤지만 신통치 않은 성격과 이야기가 맘에 들진 않았다. 이지아란 배우에 대한 호감이 없는데 이 드라마를 봐도 될까.


 일단 보고나서 판단하기로 하고 어제 5회부터 봤다. 대강의 줄거리는 이해 갔지만 썩 눈을 끌만한 요소가 안 보였다. 그런데 이건 뭐지?

 봉선이 형사계 경찰이랑 대화하는 부분을 보다가 이래서 나도 꽃, 나도 꽃 했던건가 싶어졌다.


 31살의 봉선에게 선배 경찰로 보이는 사람이 왜 결혼은 안 하냐, 내가 소개해줄까란 말들을 건넨다. 봉선은 그냥 넘겨도 될 말을 인상 잔뜩 찌푸리며 그 소리는 입사 때부터 하셨잖아요 등등의 좋게 좋게 넘어가지 않는 말들을 쏟아낸다. 선배는 애가 왜 그렇게 뻣뻣하냐란 말을 하고 대부분의 드라마가 그렇듯 그 장면은 그대로 넘어갈 뻔 했다. 그런데 옆에 있던 재희가 좋게 넘어가지 않을 소리를 해놓고 뻣뻣하다고 말하면 다냐고 버럭 화를 낸다.


 그러니까. 오바해서 건든다 싶은데 왜 가만히 있는걸 예의 있다거나 침착하다는 식으로 덮어버리냐고. 언제부터 세련되고 여유 있는 자세가  성숙의 지표가 되었지? 얼마 전에 본 ‘세상의 모든 계절’의 메리도 세련미라고는 한톨도 찾을 수 없는 여자다. 감독은 좀 더 나아가 더 센 인물로 조카를 등장시키지만 구구절절함으론 메리가 한 수 위였다. 그런데 그게 왜 민폐란 말인가. 친구 아들의 맘을 오해했기로서니, 핑퐁처럼 대화 좀 못했기로서니, 싫은게 티가 나고 스위치처럼 감정 조절을 잘 못하는게 어때서.

 

 이렇게 생각하며 메리에게 공감했지만 한편으론 나는 저렇게 늙지 말아야지란 생각을 했던걸 부인할 수는 없을 것 같다. 모난 사람들에게도 희망 한줄기쯤 주고 싶지만 봉선의 앞날도 영화가 끝난 후의 메리도 여전히 지지부진할 것이다. 다만 그냥 그렇게 모난대로 살아도 된다고, 자신을 사랑할 수 없다면 조금만 미워하자고 얘기해줄 수 있을 것 같긴하다. 그건 나한테 하는 말이기도 하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치니 2012-01-08 17: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옥펑크는 4화까지 드문드문 본 소감으로는 기대 이하, 나도 꽃 역시 드문드문 봤는데 작정하고 볼 마음이 안 들던데요.
꾸준하게 작정하고 보는 건 하이킥 뿐, 으흑, 요새 드라마는 다시 빈곤해졌어요.
(아 참, 종편임에도 불구하고 빠담빠담을 오매불망 기다리면서 보고 있군요. ㅋ)

Arch 2012-01-08 20:56   좋아요 0 | URL
김옥빈은 생각보다 별로였지만 이태선과 데빈(대빈인가, 뭐였지)이 참 좋던데요. 좀 더 다듬어지고 각자의 개성이 더 드러나면 더 재미있을 것 같아요. 나도 꽃은 저도 그 장면이 괜찮네 하고 데면데면해졌어요. 여주인공을 좋아해야 그 드라마가 좋아지는데 이지아의 연기톤도 배우 자체의 매력도 잘 전달되지 않는 것 같아요.
김병욱은 시트콤을 참 잘 만드는 것 같아요. 윤계상에게서 어떻게 저런 성격을 뽑아낼까 싶어서 더 좋아요.
빠담빠담은 노희경 작품이라 기대했는데 저는 생각보다 별로여서 지금은 안 보고 있어요. 여자 주인공의 성격이 좀 뻔한 느낌이 들었고 정우성의 연기가 뻣뻣하단 생각이 들어서. 그사세는 참 좋았는데.

치니님, 담에 담에 또 재미있는거 있으면 알려주세요. 성균관 스캔들은 보셨어요? 어린 연기자들이 너무 어깨에 힘준 것 같긴 하지만 또박또박 얘기를 잘 만들어나가요. 성스가 뿌리깊은 나무보다 좋아요.

다락방 2012-01-08 22: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치, 저 위에 ttb 광고한것 중에 [애욕전선 이상없다]는 스포츠신문에 연재되던 그 만화인가요? 그거 되게 웃긴데. 저 아치 광고보고 으응 이건 뭐지, 내가 아는 그건가 싶어서 클릭해봤다가 보관함에 슝- 던져넣었어요. ㅋㅋㅋㅋㅋ(페이퍼와는 딴소리네요 ㅎㅎ)

Arch 2012-01-10 09:30   좋아요 0 | URL
다락방 뜬금없긴^^ 맞아요. 그 작가가 쓴 그 만화예요. 콧털 삐져나온 사람들이 비비꼬인 대사 날리며 노는 만화요~

숲노래 2012-01-09 03: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람들은 왜 짝을 지어서 빨리빨리 시집장가를 보내려고 애를 쓸까요.
이런 말 듣는 사람이
얼마나 짜증스러울는지
어느 만큼 생각을 해 볼까요.
아마 이 연속극 보는 사람들은
이 연속그에서 나오는 말을 또 들으며
또 골이 아프겠군요..

시집장가 아닌 아름다운 삶을
예쁘게 누리면 되는데...

Arch 2012-01-10 09:31   좋아요 0 | URL
할말이 없어서 그러나보다 생각한적도 있어요. 그 사람에 대해 잘 모르니까 고작 생각해낸게 그런거죠. 직장은 잡았냐, 결혼은 했냐, 애는 낳았냐, 둘째는 언제... 저도 그런말을 생각없이 할 때가 있어서 좀 웃기단 생각을 하긴 했어요.

Forgettable. 2012-01-09 07: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생각 류의 감성이라 ㅋㅋㅋ 전 "아오 자막이 오글거려서 시러 ㅋㅋ" 정도밖에 안되던데 ㅋㅋ 이런 느낌이었군요. 전 예전부터도 이지아 별마음 안생겼는데 나도꽃도 주인공이 징징거리고 무뚝뚝하고 툴툴거리다보니(제가 본 부분만 그럴라나) 딱히 볼 맘이 안들더라구요. 그런 캐릭터는 주위에도 많으니 ㅡㅡ 하지만 그런 여자애 목매는 재벌 훈남은 없으니 ㅡㅡ

Arch 2012-01-10 09:52   좋아요 0 | URL
맞아요. 자막도 오글오글거려요.
저도 그랬어요. 머리 컬링이나 스타일이 예쁜 여자 주인공이 좋은줄 알았는데 제가 좋아하는 연기톤이 있더라구요. 기광인 예쁜데 한두번 밖에 안 나오니...
엄마와 오해가 풀린 부분은 찡했는데 그것만으로는 쭉 볼만한 힘을 얻지 못했어요. 결국 모난 캐릭터는 드라마에서도 환영받지 못하는가 싶어 씁쓸.

2012-01-10 12: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1-11 13:0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