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면접을 봤다. ‘꺽’할만한 이력을 가진 사람들 틈에서 횡설수설대다 시원섭섭하게 끝낸 면접이었다. 이런 질문에 답변 하나 제대로 마련하지 못했을까 싶은 생각은 찰나, 열정 있고(보고 있나 면접관들) 성실한데다 능력 있는 모습을 보이려고 노력했다. 내가 그런 사람인지 나조차 알 수 없는데 면접관들이라고 알 수 있을까. 게다가 내가 ‘그런’ 모습을 보이고 싶어서 ‘그런’ 노력을 한다고 ‘그렇게’ 볼 수 있을지는 또 별개의 문제.

그럼 내가 원하는 모습대로 나를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m과 김경, 그리고 내가 갖고 있는 ‘방 이론’을 촘촘히 적어내려간 이 책-방을 통해 사람을 알 수 있다는 시도며 몇가지 방법론은 재미있다.-에선 바람둥이 얘기가 나온다. 상대에게 매력적으로 어필하려는 바람둥이가 원래의 자기 모습이 아니라 좀 더 괜찮다고 생각하는 모습으로 꾸며 상대를 대하는데 이 지점이 좀 웃기다. 이럴 경우 우리가 예상하는건 바람둥이가 부리는 수법에 상대방이 홀딱 빠지는 것이다. 하지만 책에선 상대방이 바람둥이의 어설픔을 알아챈다거나 꾸민 모습에 반감을 갖는다는 내용이 나온다. 내가 원하는 모습대로 다른 사람에게 나를 알릴 수 있는 묘안은 따로 없는걸까.
스눕에는 자신이 생각하는 자아상과 다른 이야기를 받아들일 수 없는 사람들 얘기도 나온다. 예컨대 ‘나는 이러하다’란 개념이 있을 경우 좀 더 긍정적이거나 나은 평가를 받더라도 쉽게 수긍할 수 없다고 한다. 이유는 자신이 생각하는 자기와 다르기 때문. 아마 면접에서 천지개벽할 일이 생겨 그들이 나를 뽑았다면 나 역시 이럴 수는 없는거라며 나도 모르는 뒷거래가 있다거나 조건이 생각보다 안 좋을 수도 있을거라며 의심 했을 것이다.
결국, 그런 것이다.
새로운 사람이 왔다. 나는 선배가 됐다. 이제야 나의 어떤 점을 사람들이 그렇게 마뜩치 않았는지 짐작이 간다. 물론 짐작 간다고 해서 내가 확 변하거나 큰 깨달음을 얻어 같은 시행착오를 저지르지 않으리란 법은 없을 것이다. 사람은 쉽게 변하지 않고, 어쩌면 그보다 쉽게 변하기 마련이니까. 대신 짐작으로만 알고 있던 나의 문제점이 뭔지를 힐링캠프에서 이경규가 ‘눈치없는 편이죠’라고 옥주현에게 직접적으로 묻듯 주위 사람에게 물어봤다.
J는 자기만 느꼈을 게 분명하지만 딱 한 가지 있다면서 말을 꺼냈다. 타부서의 업무를 도와주고 있는데 이렇게 하면 좀 효율적일 것 같아 내가 건의를 한 적이 있다. 그때 담당자 표정이 소위 말하는대로 ‘썩었다’고 한다. 이 말을 하고선 J는 장문의 문자를 보내왔다.
아치, 아까 내 얘기 너무 안 좋게 생각하지 마요. 난 아치가 그런 말한 게 나쁘단 게 아니라 상대가 그걸 받아 주는 사람인지 아닌지를 보고 말하는 게 나을 것 같아서 한 말이었어요. ‘아치 잘못했어요.’ 라고 한 게 아닌걸 알아줬음 해요. 난 아치가 자기 의견 말하는거 나쁘게 생각하지 않으니까 나한텐 언제든지 말해요. 난 아치가 상대방 말을 주의 깊게 들어주고 자기 일처럼 생각해줘서 고마워요.
와, 정말 예쁘지 않나요? (막 자랑하고 싶음.) 그 말에 그렇게 신경 쓴 것도 아니고 그럴 수도 있겠다(나도 단련됐다) 싶었는데 J 말을 들으니까 괜히 힘이 솟는다. 얼마 전에 오랜 친구는 언젠가에 대한 얘기를 해준 적이 있다. 그때 아치도 힘들었을텐데 자기를 위로해줘서 고마웠다고. 분위기도 못 읽고 눈치도 없지만 어느 순간에 발휘되는 아치력 같은게 있는지도 모르겠다.
a의 모임에 갔더니 다들 나보고 형수님이라고 한다. 괜찮은 호칭이 아니다. 남자들의 모임에서 그들이 서로를 호명하는 명칭의 여자형이라서, 독자적인 개인은 지우고 누구의 여자친구로 있는건 별로라, 형수라는 호칭 안에 박혀서 남자들의 다른 여자친구와 맺는 관계도 여러모로 불편하단 얘기는 안 하고 ‘그냥 좀 그래요’ 했다. 나는 아치씨란 말이 좋다고. 그래서 비로소 나는 아치가 됐다.

나보다 내 취향을 잘 아는 친구는 내게 이 책을 선물해줬다. 그리곤 부탄에 가고, 부탄 남자랑 결혼하라는 메시지를 보내왔다. 평소에 이 친구의 똑똑하고(헤헤) 사려 깊은 면을 좋아했는데 가끔씩 이렇게 엉뚱한 면도 있다니 ‘아주 놀랍다’까지는 아니고 누군가를 어떤 사람이라고 단정지어선 <절대> 안 되겠구나 싶다. 요즘 들어 사무실 사람들이 좋은 것과는 별개로 실실 웃고 환하게 인사하는 나를 보면서 더더욱 그렇단 생각이 든다.
의례적인 관계에서 보여줄건 진심이나 서툰 표현이 아니라 형식에 맞는 표정과 호응이다. (이분법으로 흐르는 것 같지만 좀 더 얘기하자면) 그렇게 힘을 빼가며 형식을 따지지 않아도 되는 관계라면 상대가 어떤 사람일거란 예상 대신 모호한 어떤 느낌이 표현할 수 있는 부분들이 있을 것이다. 나와 관계를 맺는 상대방을 나름대로 어떤 사람이라고 규정하고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순간에 관계가 갖는 특별한 힘 같은게 (아치력 이런거 말고) 발휘되지 않을까. 물론 오랜만에 책 선물을 받았다고 ‘과도한 의미부여’를 하고 있다는 혐의를 지울 수는 없지만.
고마워요, 똑똑한 여자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