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하고 싶지 않다.

 나는 혼자 들떠 일벌이는걸 즐, 아니 잘 한다. 맨날 긁어부스럼인데 즐거울리가 없잖은가. 일년 전쯤에 경향과 한겨레에 광고를 실어주면 어떨까란 제안을 한적이 있다. 굳이 광고를 실어야할까, 내가 신문을 보면 되는게 아닐까란 생각이 있었지만 같이 할 수 있고 가시적인 내용물로 자극을 받으면 좋을 것 같아서 추진했던 터였다. 신문사에 전화를 해보고, 의견을 모은다고 했지만 실행은 커녕 아무 것도 하지 않았다.

 그 일은 가끔씩 나로 하여금 부채감을 느끼게 했다. 요즘 난 아무데서나 부채감을 느낀다. 언젠가 꿈 속에선 서재 사람이 나와 그렇게 나대더니 뭘 한거냐고 따지는걸 듣고선 아무말도 못한채 눈만 깜빡였던 적도 있다. 그런데도 난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신문을 구독하려고도 안 했고, 한겨레와 경향 신문이 잘 지내는지 궁금해 하지도 않았다. 사랑한다 말해놓고, 사실 생각해보니까 그렇게 사랑한건 아니었다라고 말한 옛 애인들처럼 무책임하고, 감정만 앞세운 꼴이었다.

 날이 습하고, 머리가 무거웠다. 늦은 점심으로 뚝배기에 찬밥을 눌러 누룽지를 끓여 먹고 있을 때였다. 문을 두드리는 소리가 났다. 다른 사람이라면 열어주지 않았을거다. 한겨레에서 나왔다길래, 현관문을 사이에 두고 날카롭게 안 봐요, 죄송합니다라고 말할 수 없어서 나가봤다. 아저씨 손에는 한겨레 구독 신청서가 들려 있었다. 아저씨 난 백수라구요. 아저씨는 내 눈빛을 못본척 하시더니 말하기 시작했다. ABC집계를 하고 있는데 실구독자수를 통해서 광고비가 책정되니 이번에 한겨레 신문을 구독하라는 거였다.

 누룽지가 식고 있었고, 다시 머리가 무거워졌다. 단박에 돈 들어갈 때는 많은데 난 무일푼이란 생각이 떠올랐다. 아주 오래 전에 신문을 단행본 보듯이 샅샅이 봐서 맨날 밀렸던 기억도 부수적으로 떠올랐다. 신문을 안 보면 폐지가 될텐데 종이를 낭비한단 생각도 들었다. 난감한 표정으로 서서 아저씨가 하는 미디어법이며 조선일보의 ABC 조작  등등의 얘기를 들었다. 다른 신문 아닌 한겨레란 말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이렇게 습하고 아릴 정도로 추운 날에 광주에서 이곳까지 지원을 나왔다는 아저씨의 말을 들어서였을까. 만사 귀찮아 늘어져있던 내가 무상 구독없이 일년 보겠다고 말하고 말았다. 그깟 구독료쯤 군것질 안 하고, 자전거 좀 더 타면 충분하잖아란 생각이 들었다. 한달 구독료 낼 돈도 없겠냐는 배짱도 어디선가 툭 튀어나와 거드름을 피우기 시작했다.

 흥분하고 열내고 답답해하는건 정말 쉬운 일일지도 모르겠다. 막상 내 돈이 들어가고, 내가 갖고 있는걸 조금 내놓거나 덜 가져야한다는건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니까. 많이가 아니고 조금만 어려워서 난 내일부터 한겨레를 보기로 했다. 한겨레를 살리거나 아주 멋진 배경이 되어줄 수는 없겠지만 든든하게 버티고 있는 독자가 되어줄거다. '고등어를 금하노라'의 임혜지씨의 말처럼 세상을 변화시키는건 나처럼 이름없는 조약돌일 경우가 더 많아왔으니까. 참, 신문 하나 보면서 거창하다. 신문 두개 구독했으면 논문 하나 나올지도 모르겠다.

 이걸 꼭 서재 사람들한테 말해야할 것 같았다. 이제는 아치 꿈에 나타나서 괴롭히지 말라고 말이다.

댓글(1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락방 2010-01-27 15: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빠랑 싸우는게 싫어서요.
아빠랑 싸우는게 싫어서 "조선일보 보지말고 경향신문 봐요." 라고 말하지 못했어요. 대신 경향신문을 보고 싶어서 작년부터 회사로 구독시켜서 보고 있거든요. 괜히 집으로 시켰다가 뭐하러 두개나 신문을 보냐, 돈이 어딨냐, 뭐 이런 여러가지 지청구를 들을것 같아 말이죠.

그런데 지금은 제가 회사에서 구독한 경향신문을 집에 가져가고, 그걸 식구들이 다 봐요. 식구들의 생각이 바뀌었다거나 한건 아니고, 신문대금 아까우니 신문을 끊어야겠어, 하는 그저 아빠의 결심이었어요. 그러니까 저는 온 식구들이 경향 신문 보는데에 일조하긴 했지만, 그 신문을 보기 위해서 그 어떤 투쟁도 하지 않았어요. 제가 직접 싸운것도 아닌데, 전 이제 됐다, 싶어져요.

Arch 2010-01-27 15:30   좋아요 0 | URL
다락방님, 참 잘했어요. 근사한 경험들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많을거라고 생각했어요. 직접 싸우진 않았다지만, 우회적이고 은밀한 전략으로 아주 멋지게 다락방님네 신문은 경향신문이 되었잖아요.

뷰리풀말미잘 2010-01-27 15: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러분 저는 조선일보 봐요. 아치대신 저를 괴롭히세요. ㅎㅎㅎ

아치, 조선이든 한겨레든 그깟 신문따위!

Arch 2010-01-27 15:50   좋아요 0 | URL
미잘, 어디서 쿨체야!
여러분, 보셨죠? 미잘 괴롭히러 가셔요. 저는 요새 잠을 못자서 머리숱도 없는 아치라구요. ^^

무해한모리군 2010-01-27 16: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난 3년째 전화하시는 한겨레 아저씨를 계속 피하고 있는데 ㅠ.ㅠ
대학때 왜 내이름으로 동아리 신문을 구독했을까 후회가 될 지경 --;;

Arch 2010-01-28 23:54   좋아요 0 | URL
음... 신문 구독하는게 있나요?

무해한모리군 2010-01-29 09:52   좋아요 0 | URL
주간지는 받아보는데 일간지는 도저히 볼 엄두가 안나요 ㅠ.ㅠ

나무처럼 2010-01-27 23: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작년부터 경향을 보는데 매달 통장을 보면 책 한 권짜리 구독료가 왜 그리 아까운지...쩝.. 소득공제 안 되는 기부금이라 여기며 스스로를 다독이지요^^

Arch 2010-01-28 23:55   좋아요 0 | URL
매달 통장을 안 보면.. ^^ (농담이 뭐 이래, 퍽퍽~) 저도 기부로 생각하려구요.

머큐리 2010-01-28 08: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겨레를 창간 이후 쭉~ 구독하고 있는데.. 작년부터 맘에 안드는 부분이 있어서...그래도 어쩌겠어요. 대안신문이라곤 그것밖에 없는데...

Arch 2010-01-28 23:56   좋아요 0 | URL
사실 전 경향신문이 더 좋아요. 일년 구독 끝나고 여유되면 경향신문 볼까 생각 중이에요.

2010-01-29 11: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1-30 01:3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