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제가 참석하고 있는 교회에서 어제 발행한 주보에 올리신 목사님의 칼럼중 일부입니다.

한 번 읽어보시라고 옮겨보았습니다.

 

" 오래 전 [다빈치 코드]라는 소설을 읽었었는데 이 소설이 영화로도 만들어졌단다. 영화의 상영을 앞두고 교계의 관심이 뜨겁게 달아올랐는데 보수적인 연합단체인 한기총에서 법원에 상영금지를 요청했지만 기각 당했다. 기각사유는, "영화가 가설을 기초로 작가가 상상력을 보태서 창작한 소설에 기초해 있고, 따라서 영화와 소설 모두 허구임이 명백하므로 관람자로 하여금 영화에 등장하는 내용이 사실이라고 오인시킬 개연성이 있다고 보이질 않는다."는 것이다. 한기총에서는 이에 불복하고 대대적인 상영금지 집회를 열 예정이라고 하니 '영화와 소설 모두 허구임이 명백'하다고 믿는 법관의 믿음이 더 좋아 보인다. 성도들의 수준이 소설적 허구와 진실을 구별하지 못할 정도로 낮다고 생각지 않는다. 한 작가의 허구적인 상상력에 의해 2천년 기독교의 신앙과 교회의 정체성이 무너질 것이라고는 더더욱 생각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기독교가 앞장서서 오히려 영화를 대대적으로 홍보한 결과가 되고 말았다. 얼마 전 상영되었던 [달마야 놀자] [달마야 서울가자] 영화촬영을 불교계가 직,간접적으로 적극 지원했다는 사실은 알려진 바다. 그 영화를 본 사람은 알 수 있지만 그 영화 내용엔 스님이 술마시는 장면 같은, 불교계가 금기시 하는 장면도 있다. 하지만 불교계에선 이 영화를 위해 한 사찰을 개조해서 촬영장으로  제공하기까지 했다는 후문이다. 결과적으로 불교가 현대인들에게 좀 더 친근한 이미지로 다가갔음은 자타가 인정하고 있다. 원불교, 가톨릭, 불교 세 종교의 여성직자들의 모임인 [삼소회]가 성지순례를 같이 갔다 온 것이 TV에 소개된 모양이다. TV를 보진 못했지만 신문에 긍정적 기사로 크게 실린 것을 읽었다. 부활절엔 불교계 대표가 정진석 추기경에게 축하 메시지를, 석탄일엔 불교계에 축하 메시지를 서로 교환한 것이 신문에 긍정적으로 보도되었다. 안타까운 것은 유독 이 모든 일에 기독교만 소외되고 있다. 믿지 않는 사람들의 눈에 비춰지고 있는 기독교는 폐쇄적이고, 독단적인 이익집단으로 오해되고 있다. (이하 생략)"

 

    

 


댓글(13)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드무비 2006-05-22 19:01   좋아요 0 | URL
목사님의 시각이 온당하고 열려 있군요.
한기총에서 하는 일이 부끄러울 때가 너무 많습니다.
마침 로그인했더니 니르바나님의 페이퍼가!
반갑습니다.^^

혜덕화 2006-05-22 19:12   좋아요 0 | URL
기독교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그래도 젊은 목사님들을 중심으로 열린 마음을 가지신 분들의 이야기도 간간히 실리더군요. <김아무개 목사님의 금강경 읽기>도 그런 맥락이 아닌가 싶습니다. 언젠가는 진리란 이름앞에 모든 종교인의 마음이 열리기 바랍니다._()_

瑚璉 2006-05-22 19:15   좋아요 0 | URL
"믿지 않는 사람들의 눈에 비춰지고 있는 기독교는 폐쇄적이고, 독단적인 이익집단으로 오해되고 있다." -> 오해라고 하기에는 좀...(-.-;)

달팽이 2006-05-22 22:12   좋아요 0 | URL
산다고 하는 것이 때로는 이미지와 환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옳다는 생각 그르다는 생각, 이것은 안된다는 생각, 이래야만 된다는 생각
결국은 그 생각대로 이미지대로 드러난 세상을 각자가 살아가는 것이 아닐까 하고 생각합니다.

waits 2006-05-23 00:35   좋아요 0 | URL
아, 교회 가고 싶게 만드는 목사님이네요. 늘 언젠가는 하고 마음 속으로 미뤄두고 있는데... 이런 글 읽으면 그래도 다행이란 기분이 들어요.

니르바나 2006-05-24 09:25   좋아요 0 | URL
로드무비님, 저는 이런데 무심해서 한기총이란 데가 어떤 성격의 단체인지 잘 몰랐습니다. 派로 나눌 때는 다 이유가 있겠지 생각하고 있지만 그 갈래가 심하게 많다보니 이런 것에 더 무관심했던 모양입니다. 어느 정도라면 발전을 위한 갈래로 볼 텐데요. 머리가 될 지언정 꼬리가 되지 않겠다 작정하다보면 이런 일도 생기겠죠. 아마^^

니르바나 2006-05-24 09:28   좋아요 0 | URL
혜덕화님, 목사님들 개개인의 생각을 까보인다면 말씀하신대로 열린생각을 지니신 분들이 많으실겝니다. 그러나 단체라는 혹에 걸리다보면 우스워질 수 있는게 이런 일들이겠지요. 모이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는 말은 언제나 맞는 말은 아니지요.^^

니르바나 2006-05-24 10:30   좋아요 0 | URL
虎叱 님의 말씀대로 오해를 떠나서 일신개일신하는 개혁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 속에 있다보면 찾잔속의 태풍 모습이 자꾸 떠오르니까요.

니르바나 2006-05-24 09:33   좋아요 0 | URL
달팽이님,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생각과 이미지에 대한 소견을 어제 책에서 읽었습니다.
그래서 한 번 적어 보려합니다. ^^

니르바나 2006-05-24 09:41   좋아요 0 | URL
나어릴때님, 훌륭하신 목사님들이 많이 계십니다.
워낙 기독교회가 많이 있다보니까 한심스런 가짜 목사들이 방송에 소개되지만요.
마음속에 미뤄두신 생각을 실천에 옮기실 적에는
부디 좋은 인도자와 인연있으시기를 기원합니다.^^

2006-05-25 10: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6-05-25 11: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니르바나 2006-05-25 11:48   좋아요 0 | URL
그저 이쁘게 봐 주시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사과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