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소설 읽는 노인
루이스 세풀베다 지음, 정창 옮김 / 열린책들 / 2001년 3월
평점 :
절판


처음 이 책의 제목을 봤을때는 나름대로 젊잖게 늙은 노인이 언제나 자신의 깔끔한 방에서 조용하게 연애소설을 탐미하는 소설이려니 하고 상상했었다. 아니면 아주 성질이 괴팍한 노인이 실은 연애소설을 좋아하는 멜랑꼴리한 감성을 지니고 있었더라 하는 내용이거나 말이다. 하지만 이건 상상밖이다. 밀림과 정글속의 노인이라니... 연애소설과 전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아마존에서 연애소설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노인이 연애소설을 읽으며 사는 이야기이다.

이 책에서 연애소설은 상징적이다. 또 노인이 연애소설을 읽는 부분은 그것이 제목인 것에 비해서는 별로 큰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노인의 생활과 노인이 처한 현실이 더 리얼하고도 길게 묘사되어 있다.

처음에는 문명속에 살고 있던 노인은 결혼을 하고 밀림 속에서 땅을 개간할 모양으로 이주를 한다. 그러나 한번도 겪어보지 못한 야만의 세계에서 그는 원주민들의 도움을 받게 된다. 아내가 죽고 난 이후부터 그는 점점 더 원주민에게 동화되어 그들이면서도 그들이 아닌 자 로 살아가게 된다. 이런 그가 연애소설을 읽게 된 동기는 단순하다. 글을 읽을 줄 안다는 사실을 잊어버리고 있었는데 어느날 자신이 글을 읽을 수 있다는 것을 자각하게 되고 자신에게 맞는 여러가지 책을 찾아보다가 결국 아릿하게 마음 저리는 연애소설이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노인의 모양새나 노인이 사는 환경 어디에도 연애소설적인 요소는 없다. 그렇지만 노인은 연애소설을 열심히 읽는다. 사랑하는 연인들이 큰 시련을 만나 방황하지만 결국은 사랑으로 그 모든걸 극복한다는 류의 연애소설을 말이다.

이 책의 가장 큰 주를 이루고 있는 내용은 노인이 살고 있는 마을에 닥친 살쾡이의 공격이다. 자연을 훼손하는 것에 대해 아무 생각없는 인간들이 살쾡이의 새끼를 죽이자 살쾡이가 인간에게 복수하는 것이다. 이 책이 왜 그렇게 많이 읽혔는가를 알 수 있게 하는 대목이다. 문명세계에서는 똑똑하고 잘났지만 자연의 질서에 대해서는 무지한 인간이 그 질서를 흐트리고, 문명세계에서는 비록 야만인으로 보이지만 자연의 질서나 그 속에서 살아남는 법에는 통달한 인간이 그 잘못을 고쳐나가는(끊임없이 앞의 인간이 얼마나 바보인가를 설명해 가면서) 류의 이야기. 이런 얘기들은 실제로 밀림이라고는 가볼일이 없는 일반인들에게는 무척 솔깃한 이야기이다.

하지만 나는 이 책에 왜 그렇게까지 큰 인기를 끌었는지는 모르겠다. 이런 정도의 책은 얼마든지 넘쳐난다. 문명세계 인간들이 역겹게 그려지는 만큼 책 속의 야만인들은 신과 자연과 하나가 되는 자연인이자 교과서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산지식으로 가득한 지혜로운 자로 그려지는 것은 흔한 얘기이다. 나는 별로 모험을 꿈꾸지도 않고 그런 것에 통달한 인간들을 존경하는 마음도 없어서인지 모르겠지만 이 책이 차라리 그냥 제목처럼 연애소설에 한껏 취해서 사는 노인의 이야기였더라면 더 좋았을것이란 생각이 든다. 비록 정글에서 거친 삶을 살아가지만 그 마음속에는 로멘티즘에 대한 끊임없는 동경이 남아서 할리퀸류의 연애소설에 사죽을 못쓰는 늙은 타잔 얘기는 글쎄다. 별로 와닿지 않는게 사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