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빈 클라인 - 브랜드 디자인 광고의 유혹
리사 마시 지음, 박미영 옮김 / 루비박스 / 2003년 8월
평점 :
절판


캘빈 클라인을 모르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한때 비싼 청바지들의 상표를 보이는 것이 한참 유행이었을때도 캘빈 클라인은 단연 선두주자였으며 힙합으로 입느라 속옷의 라벨을 보여주는 것이 유행했을때도 캘빈 클라인의 언더웨어는 독보적인 존재였다.

캘빈 클라인하면 우선 심플함과 간결함이 떠 오른다. 요즘에 와서는 많이 컬러플해진 느낌이지만 주로 검은색과 회색, 흰색과 초컬릿 브라운을 많이 쓰는 캘빈의 옷은 가장 미국적인 브랜드이다. 캘빈을 입는 사람들은 명품의 고급스러움과 동시에 화려하게 드러나길 꺼리는 사람들에게 호감도 1위의 브랜드일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나는 이 책에 많은 기대를 했었다. 책의 제목에 브랜드 디자인 광고의 유혹이라는 문구처럼 캘빈 클라인의 브랜드가치와 디자인 그리고 광고에 대해 말해주기를 바랬었는데 결과적으로는 위에 나열한건 그냥 광고문구에 지나지 않았었다.

원제와는 전혀 상관없는 광고문구에 한마디로 깜빡 속은것이다. 책은 밋밋한 캘빈 클라인의 변천사 나열에 지나지 않았으며 캘빈 클라인이라는 인물에 대한 시선이 너무나 여러가지이다. 마치 글을 쓰기 위해 마음에 들지도 않으며 알고싶지도 않은 인물에 대해 억지로 우호적인 자세를 취하고는 있지만 간혹 그에대한 적대감을 숨길수 없다는 듯이 느껴졌다.

코트부터 시작해서 청바지와 향수 언더웨어에 이르기까지 캘빈 클라인의 성공기가 담겨져 있지만 극적인 재미는 떨어진다. 그렇다고 해서 전문적인 내용이 담겨져 있지도 않다. 캘빈 클라인이라는 인물과 캘빈 클라인이라는 브랜드중 어느 하나에 촛점을 맞췄어야겠지만 불행하게도 이 책은 마지막장 까지 선택을 하지 못한채 갈팡질팡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역사가 오래된 브랜드가 아니기는 하지만 이 책에 캘빈 클라인 그 자신이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지고 참여했었더라면 적어도 스타벅스의 하워드 슐츠가 쓴 책 정도는 나오지 않았을까 싶다. 본인이 참여하지 않고 오로지 취재에 의해서만 쓰여진 글이 얼마나 수박 겉핥기 식인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책이다.

캘빈 클라인이라는 브랜드 자체는 상당히 매력적이지만 이 책 어디에서도 그런 매력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 대중적 재미나 흥미 혹은 전문가적 입장에서의 분석도 존재하지 않으며 마치 숙제처럼 그냥 써야하니까 쓴 책 정도로만 보여진다. 차라리 캘빈 클라인 제품 사진이나 광고사진이라도 많이 수록되어 있었다면 보는 재미라도 줄 수 있었겠지만 이 책은 그정도의 재미마저도 귀찮은지 추구하지 않은 안일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내가 읽은 브랜드에 관한 책 중에서 가장 무성의하고도 재미없는 책으로 기억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