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짝반짝 빛나는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 우리나라에서 개봉한 냉정과 열정사이를 쓴 에쿠니 가오리는 꽤 유명한 일본작가이다. 그러나 어쩐 일인지 나는 요시모토 바나나를 비롯한 일본 여류작가들에게 완전히 질려버린터여서 그녀의 책을 읽어보지 않았다. 그러다가 반짝반짝 빛나는 이라는 예쁜 제목의 책을 사서 보았다.

이미 제목에서 이 책에관한 나의 다소 부정적인 시선을 읽었으리라 본다. 저 제목은 어디선가 봤는데 그게 어디에서였는지 당최 기억이 나질 않는다. 하지만 늘 기억하고 있는 말이다. 소중한것은 반짝이지 않는다. 얼마나 멋있는 말인가. 우린 요즘 온통 반짝이는 것들에 현혹되어 살아가고 있으며 혹자는 그 반짝이는 것들마저 다 가지지 못하고 죽는 세상이라며 아쉬워하고 있다.

이 책을 에쿠니 가오리 스스로는 심플한 사랑 이야기라고 말 하고 있다. 하지만 나로서는 정말로 이 책이 사랑에 관해 말하고 있는건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그들이 평범하지 않아서가 아니다. 다만 그들에게는 사랑보다는 의지하려는 맘이 더 앞서는것 같아서 하는 말이다. 어쩌면 워낙 울고 짜는 우리나라의 신파스런 사랑얘기에 길들여져 있기 때문에 일본에서 건너온 쿨한 사랑을 내가 이해하지 못하는 것일수도 있다.

책은 세명의 주인공을 중심으로 쓰여있다. 우선 부부사이인 쇼코와 무츠키. 그리고 동성애자인 무츠키의 애인 곤. 책은 쇼코가 1인칭이 되어 한편을 끝내면 뒤이어 무츠키 역시 1인칭이 되어서 한편을 쓴다. 냉정과 열정사이를 읽어보지 않았지만 그 책을 한권으로 합본해놓은듯한 느낌이 아닐까 싶다.

주인공이 서로의 시점에서 얘기하는 한가지 사건은 늘 흥미롭게 마련이다. 하지만 이 두사람은 지나치게 닮아있다. 삶에 대해 권태롭고 나른하며 뭣에든 애를 쓰거나 노력하지 않는다.

정신적으로 문제가 많은 쇼코는 남편인 무츠키를 사랑한다고는 하지만 그것은 사랑이라기보다는 의지에 가깝다. 언뜻 남편의 애인 곤씨를 따스하게 맞이하는 것으로 보아 희생적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쇼코에게는 모든것이 다 자신과 상관없이 빙빙 돌아가는 세상속에서 내가 어쩔 도리는 없다는 듯한 삶의 자세로 일관하고 있다. 무츠키 역시 쇼코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는 알콜중독 아내에게 다정한 목소리로 너무 많이 마시지는 마 라고 말한다. 어떤 음료든 술을 넣어 마시는 아내에게 말이다. 마찬가지로 그는 다른 모든 화낼만한 일에도 결코 화를 내지 않고 천사역활만 한다. 다만 문제가 터졌을때 아무것도 해결을 못해주는 천사일 뿐이다. 이 두사람이 엮어가는 결혼생활은 참으로 위태로우면서도 정작 두 사람은 평온하다. 눈과 귀를 닫고 아무려면 어떠냔식으로 있으면 어떤 최악의 상황이 닥쳐도 평정을 잃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대체 어떤부분이 반짝인다는 것인지 나는 잘 모르겠다. 그들의 무신경과 무관심 혹은 남들과 다른 특성들이 반짝이는 것인지... 책의 어디에서도 나는 그들이 서로를 사랑한다는 증거를 찾을 수 없다. 의사의 권위를 유지하기 위해 동성애자임에도 불구하고 결혼을 했으므로 정신병에 알콜중독 아내쯤 그냥 가여워하며 함께 살아주는 무츠키나 남편의 애인마저 챙기면서 남편으로부터 결코 버림받고 싶어하지 않는(그녀는 버림이라는 말 대신 이대로를 외친다. 영원히 지금처럼 변하지 않는것은 버림받지 않는것과 동일하게 들린다.) 쇼코는 반짝이기에는 너무나 유약한 인간 군상이다. 쇼코와 곤. 무츠키가 마지막으로 벌이는 파티는 더욱 더 작위적이다. 쇼코는 곤을 무츠키에게 선물로 준다. 이미 쇼코가 주기 전 부터 곤은 무츠키의 것이었고 무츠키역시 곤의 것이었다는 것을 억지로 부정하고 싶은 모양으로 밖에는 보이지 않았다.

이렇게 보면 내가 늘 한심하다고 불평하는 우리나라 여류작가들에게 후한 점수를 줄 수 밖에는 없다. 그녀들은 비록 일기장일 망정 와닿는 글을 쓰기나 하지. 일본의 그녀들은 도대체 쿨한것 이외에는 아무것도 관심없다는 류의 글만 써대고 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4-06-26 00: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플라시보 2004-06-26 10: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catrosa80님 괜찮습니다. 출처만 밝히셨으면 상관 없습니다.

metabi 2004-06-26 16: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