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스키야키 식당
배수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3년 3월
평점 :
품절


처음 읽은 배수아의 소설은 붉은 손 클럽이었다. 나는 그 소설이 별로 마음에 들지 않은터라서 별로 좋지않은 리뷰를 섰었고 단 한권도 읽어보지 않았으면서 배수아의 책을 두권이나 주문한 내게 화가 나기도 했었다. 그리고 이 책 일요일 스키야키 식당이 바로 붉은 손 클럽과 함께 주문했던 배수아의 책이다. 좀 어렵고 골치아픈 책을 읽을때면 언제나 나는 소설책을 병행해서 함께 읽곤 하는데 이 책도 바로 그런식으로 머리나 식히려고 읽었다가 이틀만에 읽어치웠다. 아무래도 내가 배수아를 너무 과소평가 했음을 시인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일요일 스키야키 식당은 아주 독특한 소설이며 충분히 매력적이다. 가난에 대해 예기하면서 배수아는 문어발식으로 여러 인물들을 등장시킨다 보통 주인공이 있고 주인공 주변의 서넛에서 끝나는 소설들과 달리 이 책에는 별다른 주인공이 없다. 처음의 시발점에 선 사람이 있을 뿐이며 곧 그와는 무관해 보이던 인간들이(그러나 중간쯤 가다보면 그들이 서로 과거에 동창이었거나 이웃이거나 아니면 그들대가 아니더라도 자식대에라도 연관이 생긴다.) 수도 없이 등장한다. 그들 대부분은 가난이라는 그리고 일요일 스키야키 식당이라는 큰 제목하에 다시 묶이게 된다. (스키야키를 파는 식당은 여기서 큰 역활을 하지는 않는다. 다만 주인공들이 스키야키를 좋아할 뿐이다.)

이런 모자이크 같은 소설은 처음 읽어보는것 같다. 늘이고 늘이면 세상 모든 인간군상이 다 들어갈 정도로 광범위하다. 어느 한 사람 주인공도 없고 주변인도 없다. 그들은 모두가 주인공인 동시에 모두가 주변인이다.

요즘 시대에 들어서는 가난이 꼭 개인의 게으름이나 무능력이 이유는 아니다. 누군가가 더 가지려면 상대적으로 누군가는 덜 가져야하는 현재의 자본 시스템이 문제이다. 일요일 스키야키에 등장하는 가난한 사람들은 천성이 게으르거나 가난에 대해 초연한 사람도 있지만 열심히 죽도록 일해서 가난을 벗어나려고 애쓰는 사람도 있다. 그중 결혼을 앞둔 진주와 그녀의 남자친구 얘기는 많은걸 생각하게 한다. 그들은 가정을 만들면 결국은 또 하나의 가난을 낳게 되는 형국이다. 많은 사람들이 나이가 들면 결혼을 하고 결혼을 하면 으례 아이를 가진다. 그러나 과연 그 모든 사람들이 결혼생활을 행복하게 해 낼수 있느냐 하면 거기에 대해서는 아무도 확답할 수 없을 것이다. 성격문제도 있겠고 여러가지 요인들이 많겠지만 뭐니뭐니 해도 가난이 가장 큰 문제인 것이다.

가난에 있어서 만큼은 백짓장도 맞들면 낫다가 예외가 된다. 집단으로 가난해지는 것은 집단으로 불행해지는 것이다. 자신의 가난은 물론 서로의 가난도 가족이라는 미명하에 디테일하게 지켜보고 때로는 동참해야 한다는 것은 비극이다. 요즘들어 나와 내 친구들은 작정이라도 한듯 결혼을 기피하고 있다. 또 결혼은 어찌해서 하더라도 아이만은 낳지 않겠다는 것이 우리들의 생각이다. 이왕 아주 부자가 아닌 바에야, 배수아의 말대로 한번의 잘못된 사업실패. 한번의 질병이 은행잔고의 바닥마저 긁어가 버릴 수 있는 위험에 처해있는 일반인들에게 결혼과 출산은 일생일대의 도박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책은 결코 암담하지 않다, 그렇다고 해서 희망을 안겨주지도 않는다. 소설이지만 가장 현실을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이라면 별점을 좀 후하게 줘도 상관없을듯 싶다.

아직 배수아의 책을 읽어보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붉은 손 클럽보다는 일요일 스키야키 식당을 권하고 싶다. 너무나 부자라서 가난같은건 구질하니 생각도 하기 싫은 사람들은 예외겠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