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손 클럽
배수아 지음 / 해냄 / 2000년 9월
평점 :
품절


배수아의 글은 아마 단편에서 읽었던것 같다. 어떤 내용인지 기억이 나질 않는걸 보면 으례 단편들이 그렇듯 특별한 인상을 주지는 못했음이다.

붉은 손 클럽은 제목과는 달리 그렇게 많은 등장인물들이 나오지 않는다. 주인공과 아방가르드 요리 잡지 편집장. 주인공의 남자인 무열과 붉은 손 클럽을 만든 이반이 전부이다. 클럽이라고는 하지만 가입되어 있는 사람은 나오지 않는다. 주인공과 이반만이 붉은 손 클럽의 회원이며 나머지 사람들은 그냥 주인공의 옆을 배회하는 사람일 뿐이다.
배수아에게 기대를 했던것은 속물적으로 느껴지겠지만 그녀의 학벌때문이다. 이제는 한물 간 대학이지만 우리에게는 아직까지 이화여대에 대한 환상이 남아있다. 그녀들이 졸업식때마다 미스코리아 머리를 하고 예사롭지 않은 사진을 찍는것 처럼, 그리고 그 졸업사진은 곧 신부감을 물색하는 뚜쟁이들의 손에 의해 참한 신붓감 명부 쯤으로 탈바꿈하는 것 처럼 말이다.

기자로 있는 친구 하나가 이화여대를 다녔다. 그녀에게 배수아가 어떤 평가를 받고 있는지 물었다. 그녀는 '배수아? 우리학교에서는 문법파괴의 일인자라고 불러' 라고 짤막하게 대답했다. 그리고 어쩌면 내가 좋아하는 타입일지도 모르겠다며 읽어보길 권했다. 결과적으로 나와는 맞지 않았지만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보는지에 관해서는 조금 알게 되었다. 나는 문법이나 정공보다는 느낌에 집착하는 혹은 남다른 튐에 사환을 거는 사람처럼 보였음이 틀림없다. 그렇지 않고서야 배수아의 책을 권할리가 없다. 사람들이 어떻게 보건 간에 이번에는 틀렸다. 나는 책 만큼은 더구나 소설만큼은 아주 충실한 정공법을 따른것들이 좋다. 재미있는 얘기가 문법적 오류를 범하지 않고 전개되어주기를 바라는것. 그러나 배수아는 아니었다.

소설에 문법적 오류를 따진다는 것은 바보스런 이야기가 될 수 있겠지만 그 우스운것 마저 무시를 한다면 더더욱 웃겨질수 있음을 배수아를 통해 배운다. 그녀의 소설은 단지 이상한 얘기를 하고 싶어서 쓰는것 같다. 뒤에 황경신(페이퍼 편집장)이 인터뷰를 해 놓은것을 보면 황경신또한 그녀가 그닥 마음에 들지는 않았던것 같다. 그녀의 인터뷰를 계속해서 읽고 그녀가 낸 인터뷰책까지 본 나로서는 교묘하게 감춰놓았지만 배수아에 대한 그녀의 반감을 읽을 수 있었다. 그런데 그게 어찌되어 배수아의 책 뒤에 배수아를 설명해줄수 있는 사족쯤으로 달려있는지는 알 수 없다. 어쩌면 배수아가 자신을 독특한 시선으로 봐준것이 몹시 기뻐 실었을수도 있겠지만 말이다. 인터뷰를 읽어보면 붉은 손 클럽의 부실함이 약간은 용서가 된다. 아하 이렇게 깊은뜻이 같은게 아니라 배수아에 대한 이해다. 그녀는 붉은 손 클럽의 주인공과 많이 닮아있다.

흔히들 여류작가는 자기 얘기를 써 놓고도 주인공과 자신은 엄연히 다른 인물이라고 극구 주장하는 반면 아직 짠밥이 얼마되지 않은 배수아는 순진하게도 자신과 주인공이 닮았다고 시인한다. 밥에다 요구르트를 비벼먹는 것이 닮았다는 것이 아니다. 배수아는 주인공과 같은 삶을 살지는 않겠지만 샴쌍둥이처럼 닮은 삶 정도는 동경하고 있는 것이다.

배수아의 소설속에는 마음을 쓸 만한 그 어떤 얘기도 등장하지 않는다. 애틋할것도 없고(그렇다고 해서 삼류 소설의 애틋함을 얘기한다고 생각하면 억울하다) 중요한것도 없으며 모든게 그냥 이렇게 되었으니 어쩌겠어라는 식이다. 사람을 맥빠지게 하는데 될대로 되란식보다 더 좋은 방법이 어디있겠는가? 배수아의 소설은 우리에게 아무것도 가르쳐주지 못한다. 그리고 한 수 가르침을 포기한 대신 무기력만 한아름 안겨주고 있다.
책에는 노석미의 그림 정도는 봐 줄만 했다. 그리고 붉은손 클럽 그림을 함께 넣은것은 아주 잘 한 일이었다. 물론 그것으로 인해 내가 이 소설에 대해 기대를 하게 만든것은 괴씸하지만 말이다. 어쩔 수 있겠는가 부실한 글을 조금이라도 돋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필요악처럼 멋진 비주얼의 힘을 빌려야 한다는걸 알고 있는게 죄는 아니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