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만적 사랑과 사회
정이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이현. 책을 별로 안 읽는 편도 아닌데 그녀의 이름은 처음 들어보는것 같다. 낭만적 사회와 사랑은 총 8개의 단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거기에 나오는 그녀들은 하나같이 우리가 생각하는 착한 여자들과는 거리가 멀다. 자신이 여자임을 최대한 이용해서 그녀들은 편안한 삶을 추구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마저 서글픈 이유는 그녀들이 평등한 사회에서 자신의 재능만으로 평범하게 홀로서기를 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자신의 매력을 사회적 지휘로 바꾸어야 하고 자신의 순결을 원하는 남자를 골라 결혼하기에 이용해야만 한다.

그녀들 곁에는 하나같이 치졸한 남자들 뿐이다. 구애를 거절하면 모두들 보는 신문에다 정 반대의 일을 올려버리거나 아내몰래 바람을 피우며 한 침대에서 뒹굴었건만 결정적 순간에 도움을 요청하면 자신에게는 피해가 오지 않도록 하는 것에만 신경을 집중한다. 이러니 그녀들이 나빠지지 않고 베기는가! 아무도 나쁜인간이 되고 싶어하지는 않는다. 더구나 나쁜년은 더더욱 되지 않으려고 한다. 우리가 읽은 동화속에서 늘 착한 여자가 되어야만 왕자님의 사랑을 받을 수 있으니까 말이다.

소설속의 그녀들은 착한 여자가 되어 왕자님의 사랑을 받기에는 사회가 너무 매정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래서 그녀들은 자신의 무기인 몸이나 순결을 이용해서 스스로 행복을 찾아 나서는수 밖에는 없다. 착한여자가 되어 세상에서 아무도 자길 지켜주지 않는다며 퍼질러 앉아 울기보다는 나쁜년이 되어서라도 행복을 거머쥐는 것이 훨씬 났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내가 가장 재밌게 읽은 단편은 [순수]인데 그 여주인공은 순수한것과는 아주 거리가 멀어져 보이는 소위 결혼을 밥먹듯 하는 여자이다. 그러나 그녀는 아주 행복하다. 자신의 행복을 남자의 손에 맡기지 않았기 때문에 그녀는 어떤 남자와 있어도 행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더 이상 행복하다고 느껴지지 않으면 가차없이 다른 남자를 찾아 나섰다. 남자들에게서 순수가 사라졌으면 여자에게서도 순수가 사라질 수 있음을 말해주는 단편이다.

그 외에도 작가가 무척 어리게 보이려고 애쓴 소녀시대는 간혹 등장하는 껄끄러운 요즘애들의 말투나 표현이 걸리기는 하지만 그럭저럭 강남의 청소년. 그 중에서도 여자아이를 잘 표현해냈다고 본다. 그 외에 책의 제목과도 같은 낭만적 사회와 사랑, 트렁크등이 재미있었고 나머지 작품들도 읽을만했다. 별 넷을 주기에는 좀 모자라고 별 셋을 주기에는 옹색하다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