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면서 밥해먹기
김혜경 지음 / 디자인하우스 / 2005년 1월
평점 :
품절


<일하면서 밥해먹기>는 그야말로 일을 하면서 ‘요리’가 아닌 ‘끼니’를 때울 수 있는 밥 해먹기에 관한 책이다.

나 역시 일을 하면서 밥을 해 먹고 있다. 직장생활을 하고 있고 혼자 살기 때문에 당연한 것이고, 벌써 8년차나 되었으니 그럭저럭 한다고는 생각한다. 그렇지만 제대로 배운 적 없이 내 멋대로 대강대강 굶어죽지 않을 정도로만 했기 때문에 찌게는 종류를 불문하고 한 가지 맛이 나고 볶음은 뭐를 넣건 거기서 거기라는 치명적인 오점을 가지고 있다.
그동안 요리책도 사 보았고, 케이블TV 푸드 채널도 드문드문 봐왔건만 별로 도움이 되질 않았다. 요리책이나 요리프로에서의 가장 난점은 몇 그람 몇 티스푼 하는 단위와 좀처럼 집에 갖춰놓기 힘든 재료들이라고 생각한다. 뭐 하나를 해먹기 위해서 저렇게나 많이 필요할까 싶은 재료들을 가지고 요리를 하는 것을 보면 간장, 설탕, 고춧가루, 소금, 다시다가 양념의 전부인 나는 그냥 라면이나 끓여 먹어야겠다는 자괴감마저 든다. 거기다 요리프로에서 쓰는 도구들은 역시 도마와 칼이 주방도구의 전부인 이들을 좌절하게 만든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요리를 하는데 필요한 시간이다. 하루에 8시간에서 많게는 10시간까지 일을 하면서 몇 시간이나 투자하는 요리를 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에 가깝다. 청소도 빨래도 하지 않을 생각이라면 모르겠지만 말이다.

그러나 김혜경의 <일하면서 밥해먹기>는 정답은 아닐망정 해답을 주기는 한다. 우선 주방에 필요한 기본부터 갖추라고 말 하므로써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새로운 재료와 도구들이 넘쳐흘러서 이걸 다 사다가는 살림 거덜나겠군 싶은 요리책과는 다르다. 처음부터 무엇무엇이 필요하다고 말해놓고 그 기본을 가지고 만든 요리들을 소개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만 갖추어 놓으면 비슷하게 흉내 낼 수 있는 요리들이 많다. 그리고 저자 역시 기자생활을 하면서 바쁘게 살아서인지 스피드를 낼 수 있는 요리들이 많다. 물론 중간에 미리 준비해 두어야 하는 것들도 있기는 하지만 그건 쉬는 날 충분하게 준비가 가능한 정도이고 만약 시간이 없다면 맛은 조금 덜하더라도 단시간에 할 수 있는 방법까지 적혀있다.

또 하나. 무슨 소스이건 양념이건 직접 다 만들어야 직성이 풀리는 여타 요리책 혹은 요리 프로그램들과는 달리 시중에 파는 소스와 드레싱등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적혀있다. 웰빙족이라 유기농 이외에는 절대 먹을 수 없다는 사람이 아니라면 인스턴트나 레토르트, 통조림을 이용한 요리도 많아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뭐니뭐니 해도 이 책의 가장 큰 미덕은 잘 읽힌다는 것에 있다. 흔히 요리의 그림아래 재료. 만드는 법으로 땡인 요리책들을 여간해서 한권을 그 자리에서 독파하는 것이 힘들다. 허나 기자출신 답게 여러 가지 에피소드와 정감 가는 문체로 저녁거리를 걱정하는 옆집 새댁에게 일러주는 듯한 주방에서 식칼 들고 심호흡한번 하고 나서야 들춰보게 되는 요리책과는 다르다. 한번에 죽 읽어두면 머릿속에 남기 때문에 요리를 할 때가 되어서 찾아보는 레시피북들 보다 훨씬 더 와 닿는다.

이 책에 소개되는 주방도구와 여러 재료들 역시 만만찮게 많다. 하지만 그것은 모두 단 한가지 목적에 귀결된다. 바로 일하면서 즉 시간이 별로 많지 않는 상황에서 보다 손쉽고 빠르게 밥을 해 먹을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소개되는 것 마다 모두 갖출 필요는 없겠지만 식구들이 밥을 먹고도 쉬는 동안 소화시킬 틈도 없이 설거지통에 손을 담글 바에는 차라리 설거지 기계를 사는 것이 훨씬 이득이라는 것을 느끼게 된다. 혼자 살면서 밥을 해먹는 나도 설거지가 끔찍한데 최소 3인이상의 가족과 함께 살면서 일까지 하는 주부라면 잠자리에 드는 그 시간까지 부엌에서 동동거려야 하지 않을까 싶다.

여유를 부려가며 읽었는데도 이틀 만에 다 읽을 만큼 재미도 있고 실용적인 책으로 일을 하면서 밥을 해 먹어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꼭 한권쯤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