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부르는 숲
빌 브라이슨 지음, 홍은택 옮김 / 동아일보사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싫어하는 등산얘기임에도 불구하고 나를 부르는 숲은 나를 웃게 만들었다. 작가인 브라이슨과 그의 친구 카츠가 미국의 애팔레치아 트레킹을 걸으면서 겪었던 여러 가지 에피소드가 담겨있는 이 책은 정말로 보기 드물게 재미있는 책이다.

전혀 공통점이라고는 없고 고교 동창일 뿐이었던 그 두 사람은 오히려 서로 공통점이 없기 때문에 별 문제없이 무사히 그 긴 애팔레치아 트레킹을 종주하게 된다. 그리고 그 중간중간 많은 사람들을 만나는데 싹바가지 없는 애런인가 뭔가 하는 여자는 단연코 최고다. 무거운 배낭을 매고 매 끼니를 국수나 스니커즈로 떼워가면서 그들은 걷고 또 걷는다. 그러나 걸으면서 무슨 큰 각오나 목표 따위는 없다. 간혹 그들이 대체 왜 이렇게 힘든일을 해야만 하는가 하는 질문을 스스로 할때면 인간적인 면마저 느껴진다. 내가 본 여행기들은 너무나 확신에 차서 반드시 해야만 한다는 각오가 충만한 인간들이 쓴 것뿐이었으니까.

온통 나무와 산뿐인 트레킹을 걸으면서 간혹 마을에 닿을 때 마다 그들은 햄버거와 콜라 그리고 침대에 감사한다. 어떤 이들은 무슨 고행이라도 하듯 철저하게 캠프만 하고 배낭에 싸간 음식만으로 버티지만 이들은 마을이 나오면 미련 없이 내려가서 문명을 즐긴다. 특히 카츠는 날짜도 모르면서 X파일을 하는 날에는 귀신같이 알고 시청한다.

책의 처음에는 길을 떠나기 전에 곰에 대한 두려움에 대해 상당히 많은 부분을 서술하고 있는데 가장 웃기는 부분이다. 그는 각종 곰에 대한 피해사례가 담긴 책들을 사 놓고서는 미리부터 벌벌 떤다. 그 긴 길을 종단하려고 각오했으니 ‘흠. 그까짓 곰쯤이야’ 하고 출발하는 것이 더 어울렸겠지만 그는 자신의 공포를 애써 감추지 않는다. 설사 너무 많은 걱정으로 다소 쫌생이처럼 보일지라도 말이다. 나는 남에게 보이는것에 신경을 쓰거나 아니면 스스로가 정한 목표, 테두리등등 으로 인해서 정말 견디기 힘든 상황을 억지로 버티는 사람들을 여럿 봤었다. 과연 그들이 얼만큼의 성취감을 느꼈을지 모르겠지만 한번뿐인 인생을 너무 참으며 고행하듯 사는 것은 좀 억울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이 두 사람은 함께 애팔레치아 트레킹을 종주하지만 단 한번도 보조를 맞춰서 함께 걸으며 두런두런 이야기를 나누는 적이 없다. 왜하면 도대체 무슨 이유로 트레킹을 하려고 맘먹었을까 싶은 -그러나 이유 없는 사람치고는 꽤 잘 버텨내는- 카츠가 매번 허덕거리며 늦게 걷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빌 브라이슨은 우리가 상상하듯 친구와 정다운 장면을 연출하며 걸은 적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대게는 주인공이 한참을 걷다가 카츠를 기다리고, 한 30분 넘어 모습을 나타내는 카츠는 무거운 배낭속의 물건을 -그러나 없어서는 안 될- 하나 둘씩 여기저기 버리고 와서 브라이슨을 난감하게 만든다. 그렇지만 이들은 어금니 콱 깨물고 파이팅 외치며 출발한 그 어떤 팀보다도 별 트러블 없이 종주를 마친다. 등산이라면 고개를 흔들던 나도 이쯤 되고 보니 트레킹을 종주하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단 카츠와 같이 단순하면서도 착한 친구가 있다면 말이다.

나를 부르는 숲의 가장 큰 미덕은 읽는동안 어느덧 자연스럽게 자연은 정말 인간에게 필요한 것이구나 하는 생각을 가지게 한다는 것이다. 다른 책들처럼 자연과 정신이 어쩌고, 우리가 자연의 일부네 마네 하면서 다소 짜증나게 하는 것과는 다르다. (그런 인간들의 책을 읽다보면 나만 나쁜인간 같아서 왠지 기분나쁘다.) 끝으로 책이 좀 두터워서 좀처럼 할일이 없는 나 같은 인간도 읽는데 약간 시간이 걸렸다. 그렇지만 장담하건데 절대 도중에 그냥 덮고 싶지는 않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