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변의 카프카 (하)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춘미 옮김 / 문학사상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다들 15살 때를 기억하시는지. 나의 15살은 나름대로 치열했었다. 결손가정인 것도 모자라서 아빠와 엄마가 앞에 ‘새’라는 글자를 달고 한분씩 더 있었으며 그분들이 서로의 가정에서 삐걱거릴때 마다 나는 이모집으로 고모집으로 보따리장수처럼 옮겨 다녀야 했었다. 나는 자연스럽게 말이 없어졌다. 대부분 그 나이또래의 대화에서 빠지지 않는 가족 얘기를 할 자신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내 관심사는 아무것도 없었다. 단지 책만 읽을 뿐이었다. 이 현실에서 유일하게 나를 딴 정신 팔게 해 주는, 아무런 댓가 없이 지금이 아닌 다른 인생을 살게 해준 책은 나에게 있어 도피처였다. 이 책의 주인공 카프카가 끊임없이 책을 읽듯이 나의 열다섯도 그랬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장편은 실로 7년만이다. 아마 마지막 작품이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 였던 것 같다. (실제 마지막 작품인지 아니면 내가 마지막에 읽어서 그렇게 기억하는지 잘 모르겠다.) 한때 하루키를 유행처럼 생각하던 사람들도 있었지만 하루키는 시대에 편승하여 잠깐 빛을 본 작가는 아니다. 지금의 이 책 해변의 카프카가 바로 그것을 증명한다. 7년이라는 긴 시간이 흘렀어도 무라카미 하루키의 글은 많은 사람들에게 읽힐만한 가치가 충분하다는 것을 말이다.

이 책에는 세 가지 이야기가 등장한다. 첫 번째의 얘기는 일종의 증언으로 그건 곧 책에서 자취를 감춘다. 그리고 나머지 두 가지의 이야기. 책의 주인공인 열 다섯의 다무라 카프카군과 정확한 나이는 나오지 않지만 늙은 나카타상의 이야기가 전계된다. 다무라 카프카군은 아버지의 예언대로 되는 것이 두려워서 가출을 하고 거기에서 여러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친구이자 조언자가 되어주는 도서관의 사서. 그리고 혹시 집 나간 엄마가 아닐까 생각되는 도서관의 관장. 마지막으로 집 나간 엄마가 데리고 나갔던 누나라고 생각되는 사쿠라.

카프카는 집을 나와서도 규칙적인 생활을 하면서 자신을 찾아 나간다. 늙은 나카타상은 전쟁이 있던 해에 갑작스레 한 반 아이들 전체가 잠깐동안 원인 불명의 졸도속에서 제일 마지막에 깨어났던 아이였다. 그리고 졸도 이전과 졸도 이후에 그는 완전히 달라져 버렸다. 고양이와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나카타상 역시 카프카와 같은 지역에서 떠나 무언가를 찾는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여러 사람들의 도움을 받는다. 솔찍하게 말하자면 나는 이 책이 무엇을 말하려 하는지 도저히 설명할 재간이 없다. 그냥 이상하게도 몹시 끌렸다는 것 외에. 책을 사자마자 상.하권을 하루만에 읽어치울 정도로 강한 흡입력을 가졌다는 것 외에 무엇을 더 얘기할 수 있을까?

소설은 끊임없이 신화를 인용하고 현실과 몽상속을 오간다. 그러나 누구도 뭐가 현실인지 뭐가 몽상인지는 규명짓지 못한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을 읽을때 마다 나는 일본 애니메이션 에반게리온을 떠 올린다. 겉으로 보기에는 미소년 소녀가 등장하는 로봇물 같지만 자세히 보면 에반게리온은 사람과 사람을 얘기하고 있다. 해변의 카프카 역시 사람과 사람의 관계에 대한 얘기를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몽상과 현실을 매력적으로 오가는 문체 속에 사람이 사람에 대해 가지는 갖가지 감정들이 담백하게 녹아있다. 사람은 한가지 감정만을 가지기는 힘들다. 단세포 동물이 아닌 이상 상대를 좋다, 혹은 나쁘다 만으로 평가할 수는 없는 것이다. 여기 등장하는 모든 사람들은 타인에게 복잡미묘한 감정을 가지고 있다. 실제의 우리들처럼 말이다.

무라카미 하루키가 그런말을 했다고 한다. 읽는 독자들마다 해석이 다른 것이 좋다고. 이 책은 보는 사람마다 다 다른 책을 읽은 것 마냥 틀릴것이라고 본다. 훗날 이 책이 희미해질때쯤 나이가 들어서 나는 이 책을 어떻게 해석할지 무척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