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당깊은 집 문학과지성 소설 명작선 15
김원일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제인지 정확하게 기억이 나지는 않는데 나는 마당깊은 집을 드라마로 먼저 봤다. 당시 고두심씨가 나왔고 아이들이나 이웃들은 누가 나왔는지 기억이 나질 않지만 무척 재미있게 봤었다. 요즘 날림으로 만드는 시대물하고는 차원이 달랐다고 생각한다. 그때 어찌나 재밌게 봤던지 나는 이 책을 MBC에서 소개를 하려고 고두심씨를 불렀을때 부터 마당깊은 집 인줄 알았다.

그리고 원작이 있는줄은 그날 처음 알았다. 당장 책을 사서 읽기 시작했는데 일이 바쁘다 피곤하다는 핑계로 차일피일 미루다가 오늘 몰아서 앉은 자리에서 다 읽었다. 내가 지금 살고 있는 곳이 마당깊은 집에 등장하는 지명중에 하나여서 그런가 읽으면서 내내 남의 얘기같지가 않았다. 그리고 나오는 동네의 대부분이 내가 다녀봤던 곳이고 아는 곳이라서 친숙했다. 물론 그때의 모습이 남아있는 곳은 없지만 말이다. 언젠가 우리 동네가 예전에는 술집이 즐비했다는 말을 들은적이 있었는데 이 책에도 술집 골목으로 묘사된걸 보면 그 말이 맞긴 맞나보다.(지금은 평범하기 그지 없는 주택가라서 그 모습을 찾아볼 수가 없다.)

쇼 프로에서 책을 읽으라고 법석을 떠는 것 중에서 아마 내가 그걸 보고 읽게 된 유일한 책이 아닌가 싶다. 그 프로를 늘 경멸했었는데 그래도 원작이 있다는걸 알지 못하고 그저 막연하게 드라마로만 기억하는 마당깊은 집을 다시 만나게 해 주어서 고맙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과 비교를 해 볼 만한 책으로는 <홍어가 있다. 둘다 비슷한 또래의 남자아이의 눈으로 세상을 보는데 홍어는 자신과 어머니 단 두 사람의 단촐한 인간관계에 대한 시선을 전한다면 마당깊은 집은 그 안에 세들어살고 있는 이웃들을 모두 포함해서 포괄적이다. 박경리씨의 소설도 비슷한게 있는데 제목이 생각이 나질 않는다. (나목이었던가?) 사실 이런류의 소설이 아주 귀한 종류는 아니다. 아마 전쟁을 겪은 세대의 작가 중에서는 한번 정도는 그때의 기억을 떠 올리며 글을 썼을테니까.

그럼에도 내가 마당깊은 집에 애착을 가지는 것은 여러 등장인물을 악의없이 그려내는 시선에 있다. 어떤것도 미화시키지 않고 담담하게 그려내는 시선이야 말로 이런 류의 책들 가운데서도 빛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너무 개인적으로 파고들지도 않고 딱 적당한 정도로만 그 시대를 표현했다는 것도 포함시켜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