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바이버
척 팔라닉 지음, 최필원 옮김 / 책세상 / 2001년 8월
평점 :
절판


나는 글쟁이를 꿈꾸지는 않는다. 왜냐면 그러고 나면 글 쓰기가 절대로 재미가 없어 질 것이기 때문이다. 재미가 인생 모토인 나에게는 심각한 문제이다. 따라서 나는 작가도 기자도 다 싫다. 다만 그냥 재미삼아 키득거리기 위해 글을 쓰고 싶을 뿐이다. 그리고 간혹 글 쓰는것이 목표라고 버젓이 떠드는 이들을 보면 부러우면서도(그 용기가) 약간 한심하다.(그들이 써 놓은 글이)

그러면서도 책을 일다가 보면 간혹 정말 저 재능을 확 훔쳐오고 싶고나 하는 충동에 휩싸일때가 있다. 무라카미가 그랬고 움베르토 에코가 그랬다.(그 외에도 좀 많지만 불행하게도 한국 작가는 없다.) 그리고 최근에 또 한번 척 팔라닉이 그렇다.

척 팔라닉의 질식을 나는 먼저 읽었다. 아마도 서바이버가 질식 이 전의 작품인줄로 안다. 같은 작가의 글을 서로 비교한다는 것은 조금 웃기긴 하지만 나는 일단 서바이버에 점수를 더 주고싶다. 질식도 꾀 재밌었던 작품이긴 하지만 난 서바이버를 더 단숨에 읽었으니까.

내용은 사이비교에서 자라난 한 남자의 이야기다. 어떤 종교이건 광적인 것은 질색인 나에게 역시 종교는 깊이 파고 심각하면 또라이같아 진다는 진리를 다시 한번 일깨워 준다고 볼 수 있겠다.

그러나 사실 척 팔라닉은 종교를 말 하는 것이 아니다. 여기서의 종교는 현실의 교육 시스템이다. 주인공이 괴상한 교도에서 자라나서 그저 주입받은 것만 알고 거기까지만 생각을 할 줄 알듯이 현대의 교육 시스템 아래서 나온 아이들도 모두 넣은대로만 입력되어 있는 바보 컴퓨터 같다. 자기들 딴에는 몹시 똑똑하고 잘난 줄 알지만 한번 생각 해 보자. 그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만들어 낸 것이 하나라도 있는지...

학교 다닐때 나는 그런 얘들을 젤 싫어했다. 딱 주어진만큼 받아들이고 그 안에서만 생각하는 아이들. 딱히 범생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아무튼 더 이상 생각하기도 싫은 부류들이다.

서바이버에 나오는 주인공 역시 똑같다. 일종의 쇠뇌를 당한 주인공은 에이전트를 만나기 전 까지는 늙어 죽을때 까지 다림질, 얼룩지우기나 하면서 살 팔자였다. 그러나 에이전트를 만나 유명해지고도 여전히 그는 꼭두각시 일 뿐이다. 왜냐면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고 결정하고 행동하는 것을 해 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마지막 삶의 정리마저도 타인이 시키는대로 한다. 처음에는 상상조차 안했지만 자기가 공중 납치범이 되어야 한다는 타인의 얘기를 듣고 그렇게 되기로 한다.

책 표지에는 이렇게 씌여있다. '블랙박스에 담긴 이 시대가 낳은 가짜 메시아의 처절한 고백'. 참 할 말이 없는 문구다. 제발 책좀 똑바로 읽고(아니 읽기나 하는지 모르겠다.) 저따위 광고 문구를 쓰라고 정중하게 권유하고 싶다. 아무튼 표지에 씌인 바보같은 문구는 신경쓰지 말고 보길 바란다. 옳은 말은 블랙박스 하나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