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폴리오 이렇게 만든다
디자인하우스 편집부 엮음 / 디자인하우스 / 1998년 3월
평점 :
품절


사실 나는 디자인, 넓게는 미술과 아무런 상관도 없는 사람이다. 학교 다닐때 그림에 소질이 있다는 소리는 한번도 들어보지 못했으며 딱 한번 방학숙제로 그린 그림을 상장을 받은적이 있는데 그건 내 여동생이 그려준 것이었다. 고백하건데 나는 상에 눈이 멀어서 혹은 그걸 노린후 치밀한 계획하에 동생을 종용해서 그린것이 아니라 단지 못그리고 귀찮아서 그랬던 것이다. 그래서 나는 그 상장을 받자 마자 이름 마지막 단어를 '경'자로 바꾸고 내 동생에게 줘버렸다.

그렇다고 해서 내가 보는 눈도 없느냐 하면 그건 절대로 아니다. 아버지와 오라버니 모두 인터리어쪽 일을 하고 계시며 여동생은 시각디자인 계열의 일을 하고 있으니 그동안 본것만 해도 아주 문외한이라고 할수는 없다. 그래서 그런지 어려서부터 나는 늘 물건 고르는 눈이 있다는 소릴 들었는데 그건 아마 내가 디자인에 대한 교과적 지식은 없지만 감각적으로는 알고 있다는 소리가 아닐까 싶다.(고 혼자 착각해 본다.)

서론이 너무 길었다. 본론으로 들어가자. 내가 서론에 주절주절 길게 말한 것은 내가 디자인과 무관함은 물론 포트폴리오 따위는 천지 만들 일이 없는 인간임을말하기 위해서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몹시 재밌다. 질 좋은 종이로 만들어서 읽는 내내 눈이 피로하지도 않고 글자 크기와 배치 모두 괜찮은 책이다. 또 장마다 많은 사진 자료가 실려 있어서 더더욱 좋다.

꼭 포트폴리오를 만들 일이 없더라도 조금 창의적인 일을 하는 사람이라면, 더구나 사람들에게 자신이 한 일을 시각적으로 집결해서 보여주고 싶은 사람이라면(근데 이게 포트폴리오가 아닐까? 헷깔린다.) 그것도 아니라면 하다 못해 자식의 문집 숙제라도 도와줘야 하는 사람이라면 몹시 유용하게 쓰일것 같다.

나는 이 책을 보고 난 다음에 다이어리를 직접 제작할 생각을 하고 있다. 이 책이 더더욱 맘에 드는 것은 일반인들은 구하려고 해도 어디서 파는지 몰라 못 사던 재료들을 파는 곳을 상세하게 적었다는 것이다. 무슨 지구에 가면 많다더라가 아니라 아예 업체 이름과 전화번호를 적어 두어서 바로바로 써먹을 수 있도록 해 놓았다. 적어도 나같은 초보자가 다이어리라도 한번 만들어 보겠다고 껍쩍거리에는 아주 좋은 책이다.

사실 난 이 분야에 관해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 책의 내용에 관해서는 쉽고 재밌더라 이외에는 별로할 말이 없다. 아무것도 모르는 내가 읽어도 쉽고 재밌는 책이라면 그쪽 분야에 있는 사람들은 어떨지 잘 모르겠지만 암튼 내게는 몹시 유용한 책이었다. 책도 그렇게 두껍지 않고 전문 용어도 많지 않아서 초보자가 읽기에는 더업이 편한 책이다. 사진찍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자신의 앨범을 만들수도 있을 것이고 달력을 만들어 볼 수도 있으며 청첩장이나 초대장을 만드는데 응용할수도 있는 여러모로 고마운 책이라고 생각한다.

조금이라도 디자인에 관심이 있는 초보들에게 적극적으로 권한다. 꼭 공부가 아니라 하더라도 단지 보는 것 만으로도 눈을 높일 수 있다는 여동생의 말을 철떡같이 믿으면서 강력 추천하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