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구역
이영수(듀나) 지음 / 국민서관 / 200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듀나는 내가 이메진이라는 잡지에 한참 미쳐있을때 부터 알았다. 아니 어쩌면 하이텔을 이잡듯 뒤지던때 부터 알았는지도 모른다. 그땐 나도 이단이라는 이름으로 마치 듀나처럼 놀던 때였으니까... 아무튼 듀나는 내가 만든 이단보다 훨씬 똑똑했다. 듀나는 여러명이다 혹은 한명이다라는 설이 분분했지만 이단은 분명 나 혼자였으니까. 그래도 사람들에게는 여러명이라 뻥을 치고 다녔더랬다. 어떤가? 어차피 사이버 공간 안에서의 일이고 나는 그 공간이 이렇게 모든 사람들에게 개방될줄은 몰랐었던것을...

사족은 이쯤하고 본론으로 들어가보자. 듀나는 그다지 많이, 몹시 똑똑하지는 않다. 왜냐면 나같은 멍충이도 그가 말하는 모든 문화코드를 다 알고 있을 정도이므로. 얼마나 깊이가 심오한지는 잘 모르겠지만 넓이는 보통 사람들도 충분하게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이다. 한마디로 사이버펑크 세대의 천재는 아니라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듀나에게 질문을 던지고, 그 답을 내는 속도에 놀라는데 듀나는 컴퓨터가 아니므로 속도는 문제가 아니다. 그 답이 문제이지... 그래도 사람들은 집착한다. 듀나가 빨랑빨랑 답글을 다는데 놀란다. 그건 아마 듀나의 한타 수를 놀라워해야 할 일이 아닐까? 어떻게 그렇게 많은것을 아냐고? 그건 멍청한 질문이다. 내 주변만 해도 듀나만큼 아는 사람들 천지니까... 다만 듀나는 자신을 드러냈을 뿐이다.

쓰다보니 마치 듀나의 험담처럼 되어버렸는데 이제서야 본격적으로 책 얘기를 한번 해 보자. 듀나의 면세구역은 부담없는 책이다. S.F.로 분류하기는 조금 약한감이 있는 대신 누구나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는 책이다. 유달리 책 표지에 집착하는 나는 처음 책을 받아보고 그 놀랍도록 유치뽕짝인 표지에 한숨을 쉬었지만(쪽팔려서 지하철이나 버스 안에서는 도무지 읽을수가 없다. 생각끝에 달력을 북 뜯어서 책표지를 샀다. 우리가 책을 읽지 않는건 일본보다 못난 국민이여서가 아니라 바로 이런 책표지들 때문이다.) 안에 글자들은 꽤나 편하게 배열이 되어있다. 양 가 쪽으로 여백이 충분해서 그런지 눈도 편하고 책장도 잘 넘어간다. 그러나 책이 넘어가는 이유가 어찌 폰트 디자인 때문이리요..
영화를 좋아하고 통신을 하며 적어도 책 몇권이라도 읽으면서 사는 인간들이라면 듀나의 책은 아주 재미난 경험일 것이다.

듀나는 아주 여러곳에서(특히 영화) 모티브를 따서 단편을 만들었고 책 제목과 동일한 제목의 단편. 면세구역은 마치 무라카미류에게 바치는 오마쥬같다. (사랑에 관한 짧은 기억이었던가? 그 책 제목이?...) 무리없이 술술 읽히면서도 그다지 바보같지 않은 책들은 세상에 널려있지 않다. 굳이 촌스러운 책 표지에 보란듯이 떡하니 붙어있는 '중앙일보가 선정한 2000 좋은책 100선' 이라는 광고 문구를 들먹이지 않아도 충분하게 읽어 볼 만한 가치가 있다. 단. 정통적이고도 하드한 S.F는 기대 않는게 좋다. 듀나는 충분하고도 넘칠만큼 대중적이니까 말이다.

*플라시보의 스무자 평 : 심오하고도 진지한 킬링 타임용 (이게 뭔 소린진 나도 모르겠다.)
*함께하면 좋을 음식 : 모든 퓨전 푸드들.(듀나의 책 또한 국적불명이므로-이거 절대 나쁜소린 아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