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동 한 그릇
구리 료헤이 지음, 최영혁 옮김 / 청조사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그러니까 아주 오래전에 이미 들은 얘기였다. 일어 선생님께 들었는데 그때에도 나는 그네들의 정서를 이해 할 수가 없었다. 선생님은 그때 모밀국수라고 했었는데 우동이냐 모밀 국수냐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

이 책을 읽고 따뜻함을 느꼈다는 사람들을. 나는 정말이지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다. 남편의 빚을 갚기 위해 명절때 단 한그릇의 우동만을 살 수 밖에 없었던 어머니. 그건 일본 어머니이기에 그런 것이다. 우리의 어머니 같았으면 그 돈으로 라면이라도 사서 아이들에게 배불리 먹이지 않았을까? 꼭 명절날 아이들 기를 죽여가면서 한그릇 가지고 셋이나 나눠 먹어야 하는가 말이다. 우리의 어머니도 죽기 살기로 남편의 빚을 갚을것이고 참으로 가난하게 살았겠지만 아마 다른 방식으로 명절을 보내지 않았을까 싶다. 꼭 매식을 해야만 명절을 명절답게 보내는건 아니지 않는가.

그리고 그 우동집 주인. 과연 우리 같으면 조금 양 많은 한그릇을 그들 앞에 내어 놓았을까? 대한민국의 정서로는 세그릇을 내어놓고 한그릇 값을 받았을 것이다. 그건 자존심의 문제가 아니다. 가난한 여자와 그의 두 아이들을 이 순간 배 부르게 해 주는 것이야 말로 정이 아닌가 말이다. 그들의 자존심을 다치게 할까봐 한그릇만 조금 양 많게 내어놓고는 주방에서 흘리는 눈물이 무슨 의미가 있다는 말인가?

이 책을 보고서 나는 느꼈다. 그 어떤 일본에 관한 평가서보다 더 정확하게 일본을 표현해 주는 책이라고. 이거 한권이면 국화와 칼이니 하는 책 (물론 훌륭한 책이다.)보다 더 많은걸 느끼게 해 줄 것이다. 일본이 얼마나 무서운 나라인지... 겉으로는 어른들을 위한 동화처럼 보이지만 나는 정이 없는 이들의 정서가 참 소름끼친다. 어째서 이 책이 각광을 받았는지 나는 도저히 알 수가 없다. 이 차갑고 무서운 정서가 어째서 본받아야 할 정서인지 모르겠다. 나는 자존심이 상해 하더라도 엄마를 몰래 불러서 세 그릇의 값을 치뤘다고 아이들에게 말 하라고 시키고 세 그릇을 내어놓아 그들이 배불리 또 행복하게 먹는 모습을 보며 좋아하겠다. 주방에서 눈물따위를 훔치느니 말이다.

그렇다면 나중에 아이들이 장성했을때 엄마는 아이들을 대리고 와서 진짜 값을 다 치른 우동 세그릇을 먹으면서 과거에 주인이 한그릇 값으로 세그릇을 준 것을 이야기 하며 아이들에게 서로 돕고 사는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은혜를 값는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배우게 하겠다. 암튼 우리 정서와는 안맞는 일본이다.

*플라시보의 스무자 평 : 배고픈 이의 자존심보다 그의 딱 달라붙은 뱃가죽은 훨씬 더 중요한 문제이다.
*함께하면 좋을 음식 : 당연하게 우동이다. (시켜 먹으면 배달 오는 사이에 다 읽을 만큼 짧은 책이므로 그냥 국물이 끝내준다는 인스턴트 우동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