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섯 번째 사요코
온다 리쿠 지음, 오근영 옮김 / 노블마인 / 2006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온다 리쿠의 데뷔작이라고 하는 <여섯 번째 사요코>. 난 책을 직접 발굴해 읽는 걸 좋아하는데다 추리소설을 좋아하는 (너무) 확고한 취향을 가지고 있어서 한 번 '이 작가 괜찮다!' 싶으면 데뷔작부터 최신작까지 찾아 읽는다. 그래서 만약 내가 독서일기를 꼬박꼬박 쓰는 성격이었다면 같은 작가의 책이 연달아 쓰여졌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온다 리쿠는 다르다.

 

왜 사람들에게 인기있는 지 단번에 알 수 있을 정도로 흡인력있는 소설을 쓰는 작가다. 작품 속에 흐르는 미묘한 공기, 미스테리한 스토리, 여운이 남는 필체. 읽자마자 이 작가는 내 취향이구나, 하고 생각했다. 하지만 뭐랄까. 온다 리쿠는 한 번에 다 읽을 수 있는 작가가 아니었다. 앞서 말했던 장점이 마음을 술렁이게 하니까. 흔들흔들 마음이 흔들려 이대로 계속 이 사람의 세계를 엿보다가는 내 감정이 감당할 수 없게 흘러넘칠 것 같았다.

 

이 <여섯 번째 사요코> 역시 온다 리쿠의 작품답게 마음이 흔들흔들거렸다. 다만 역시 데뷔작이라 그런지 다른 작품들과는 다르게 여러가지 의문들이

감정 뒷편에 찌꺼기처럼 남아있는 점이 좀 아쉽다. 처음에는 데뷔작이라는 걸 모르고 읽어서 '왜 이 작품은...?'하고 생각했지만 데뷔작이라니, 뭐 그럴 수도 있겠다 싶었다. 보통 온다 리쿠의 작품은 본질적인 질문을 남긴 채 여운을 남긴다. 하지만 이 작품은 그런 본질적인 문제도 문제지만, 스토리나 장치 자체에 대한 의문이 남아서 다른 작품들이 얼마나 발전했는지 여실히 느끼게 해주었다.

 

......도대체 '사요코' 게임이 정확히 어떤 게임인지 파악이 되지 않아 의아해 했던 분이 분명 나말고 또 있을거라 믿는다....

 

'학교'는 이상한 장소다. 성인이 되기 전의 사람들이 모여서 부딪히고 감정을 낳고 적응하려 발버둥치고. 작고 명료해서 무서운 사회다. <여섯 번째 사요코>에서의 학교는 풋풋한 로맨스가 피어나고 젊음의 혈기를 발산하며 생을 밝히는 곳이 아니다. 분명 그 학교도 다른 여느 학교처럼 그런 면도 있겠지만, <여섯 번째 사요코>의 학교는 '학교'라는 틀 안에서 꿈틀대는 하나하나 다른 학생들의 고민과 불안감이 불안한 괴담의 형식을 빌어 '나타난다.' 덕분에 그런 밝은 면보다 미스테리한 면이 두드러진다. 학교라는 곳은 좁기 때문에 학교와 집 뿐인 학생들의 인생에는 큰 의미를 준다. 학교는 학생들의 유일무이한 '세계'인 것이다. 살아가야만 하는 세계. 그런 좁은 세계, 학교 안에서의 소문은 모호한 괴담을 낳는다.

이제 막 '사회'에 입문하는 초등학교도, 어딘가 어중간한 중학교도 힘들지만 성인이 되기 직전의 고등학교는 특히 그 긴장감과 불안감이 더하다.

 

읽을 당시 감기에 헤롱거리고 있었기 때문에 잘 연결이 되지 않았는데, 정리하자면 '사요코'라는 게임은 즉, 학교의 괴담전설 중 하나인 것 같다. 미술실의 초상화가 밤에 눈을 돌린다든가 하는 식의. 굳이 얘기하자면 선배에서 후배로 이어지는, 학교의 '전설'이 아닐까. 아무도 뭐가 뭔지 정확히 알지 못하고 그 정체도 모호하지만 학생들은 충실히 그 '전설'의 관객이, 주인공이 되길 마다하지 않는다.

 

이 '사요코'는 사회로 나가기 전 학생들이 겪는 '학교'라는 관문의 부스러기 같은 것이다. 사회로 나가기 전의 불안감. 불확실한 미래의 그림자. 뭔지도 모르면서 '올해도 무사히...'라고 안도하는.

 

온다 리쿠의 작품에서는 유난히 '완벽한 여자아이'가 자주 등장한다. 검고 긴 윤기나는 머리칼에 희고 윤곽이 뚜렷한 얼굴의 붉은 입술이 아름다운 모호한 분위기의 여자아이가. 그런 '쓰무라 사요코'는 완벽한 여자아이고 이 세상 사람이 아닌 것 같은 외모를 지닌 덕에 그녀의 '불안감'은 외모에 휘말려 사라져 간다. 난 평생 겪어본 적 없지만 너무 예뻐서 생기는 문제도 분명 있는 것이다. 사요코. 전설 속에서 등장한 듯한 그림같은 미소녀가 뿜어내는 오묘한 매력이 돋보이는 작품이었다.

 

그건 그렇고 이런 '게임'이 있었다면 지루한 학교 생활에 뭔가 자극이 되지 않았을까 싶다. 굳이 얘기하자면 '마피아' 게임의 불길한 버전?

전교생이 모두 알고있지만 이야기 하지 않는 '비밀'이라니 체육대회보다 전교생을 더 잘 묶어주는 짜릿한 '비일상' 아닐까!

 

 

-학교란 얼마나 이상한 곳인가. 같은 또래의 수많은 소년, 소녀들이 모여들어 저 비좁은 사각 교실에 나란히 책상을 놓고 앉는다. 얼마나 신기하고 얼마나 유별난, 그리고 얼마나 굳게 닫힌 공간인가.
같은 학생이라도 대학생과는 사뭇 다른 게 고등학생이다. 그녀에게 대학생은 이미 어른이다. 그들은 이미 어엿한 사회의 일원인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고교생은 어정쩡한 경계 지점에서 자신들의 가장 허약한 부분으로 세상과 싸우고 있는 특수한 생물들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들이 3년 동안 경험하는 시간과 공간은 기묘한 느낌으로 허공에 붕 떠 있다. 그렇게 붕 떠 있는 불안을 비집고 뭔가가 들어오려 하고 있었다. (23)

 

-전설이라는 게 그런 것이다. 몇천 명, 아니 몇만 명의 학생이 스쳐간 이 낡은 학교에는 그 안에서 생활하는 것만으로도 분위기라고밖에는 말할 수 없는 그 뭔가가......또는 이 공간 안에 겹겹이 배어 있는 에너지라고밖에 말할 수 없는 뭔가가 스며 들어온다. (44)

 

-......모두가 그 사실을 알고 있다. 모두가 그 생각을 하고 있다. 모두가 지금까지 감추고 입을 다물어왔던 뭔가가 폭로되려 하고 있음을 깨닫고 있다. 그러나 모두가 그런 생각을 입 밖에 내서 말하지 않는다. 터부라는 것은 정말 대단하다. 여기 천 명이 넘는 젊은이들, 곰팡내 나는 인습과는 인연이 없을 터인 그들이 그것을 입 밖에 내지 않고 계속 침묵을 지키고 있는 근거는 대체 무엇일까. (149)

 

-고3이라는 특별한 시기에 고등학생으로서의 부속적인 요소를 모두 박탈당한 지금, 그들은 그저 '수험생' 이외의 아무것도 아니다. 가족들이 오죽이나 여러 모로 신경이 쓰이겠는가 싶은 마음도 있지만 본인들 입장에서 보면 입시 준비다, 공부다, 하며 부산을 떠는 동안 그 실감을 느끼지 못한 채로 겨울이 왔다는 것이 솔직한 심정이다. 갑자기 늘어난 여러 가지 모의고사들 사이에서 날짜를 헤아리고 일요일에는 모의고사를 보러 가는, 마치 다람쥐 쳇바퀴 도는 생활을 반복하는 동안 어느새 확고하게 '수험생' 이라는 울타리 안으로 밀려 들어가 있음을 깨닫는다. 이런 게 아니었는데, 하면서도 계속 달리는 그들은 숨을 힘껏 들이마시고는 뱉어내지 못하는 상태로 매일을 소화하고 있었다. (190)

 

-학교라는 건 돌고 있는 팽이 같은 거야. 항상 똑같은 위치에서 똑바로 서서 빙글빙글 돌고 있지. 그리고 너희 학생들이 끈을 잡고 팽이를 열심히 탁, 탁, 내리쳐서 팽이가 속도를 잃고 쓰러지지 않도록 열심히 분발하고 있는 거야. 그리고 그 끝을 후배에게 전해주고 차례차례 다른 학생이 팽이를 돌리지. 팽이는 내내 똑같은 하나의 팽이지만 끈을 쥔 사람, 치는 사람이 자꾸 바뀌는 거야. (2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