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1초 살인 사건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까멜레옹(비룡소)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온다 리쿠의 세계는 독특하다. 온다 리쿠를 잘 알고 작품도 잘 아시는 분들에 비하면 나야 겨우 입문자에 불과하지만, 겨울날 따뜻한 집에서 현관문을 열면 차가운 바람이 몰아치듯이 그 세계의 입구에만 서있어도 다르다는 걸 느낄 수 있다. 장르도 내용도 다르지만 작품에는 공통적인 분위기가 있다.

 

온유하게 흘러가는 일상과 그 밑에 숨겨진 이면. 그 미묘함이 자아내는 어딘가 으스스한 분위기는 현실의 전혀 다른 면을 들여다봐야만 하는 이야기의 부산물일 것이다. 온다 리쿠의 작품은 환타지와 전혀 무관한 내용일지라도 독특한 긴장감 덕분에 현실인 듯 현실이 아닌 것처럼 보인다. 덕분에 더더욱 오싹하기도 하고, 한 편으로는 그런 점이 매력적이기도 하다.

 

이 1001초 살인사건의 제목은 '일본의 환상 소설가 이나가키 다루호의 1001초 이야기를 패러디했다고 뒷표지에 친절하게 쓰여 있다. 그 밖에도 수록된 단편의 간단한 정보를 뒷표지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외우거나 뭔가를 연결하는데 영 재주가 없는 나는 분명 책을 읽기 전 뒷표지를 읽었는데도 불구하고 제목과 정보를 매치시킬 수 없어 그냥 열심히 읽고 소화시켜야만 했다. 분명히 알고 읽으면 더 재미있었을텐데 아쉬운 일이다. (물론 모르고 봐도 충분히 재미있었지만)

 

단편소설집이라 총 14작품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내가 가장 재미있게 읽었던 것은 제일 처음 수록된 「수정의 밤, 비취의 아침」이었다. 이유는 단순하다. 내가 「보리의 바다에 가라앉는 열매」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주인공 (엄청난 미소녀인) 리세는 나오지 않지만 그 작품의 뒷 이야기가 나온  것만으로도 마음이 설렜다. 더군다나 실질적 리세의 파트너인 '천사같은 외모의' 요한이 나왔으니! 작품이 좀 더 길지 않은게 애석할 뿐이다. 시원섭섭하게 한 단편을 끝내고 났지만 아직 이야기는 13편이나 남아 있다.

 

기대되기도 하고 얼른 읽어버리고 싶기도 하고. 책을 읽을 때마다 항상 나를 갈등하게 하는 부분이다. 더 읽을 거리가 남아있다는 사실에 기쁘지만, 얼른 이 책을 다 읽어 끝을 보고 싶기도 하고. 책을 읽을 때마다 두 마음 사이에서 갈팡질팡 하다가 늘 책을 그만 읽어야할 타이밍을 놓치고 만다. 단편집은 그나마 나은 편이라 이번에는 수월하게 학교 쉬는 시간에 책을 펴들수 있었다. 장편인 경우에는 애매하게 끝이 나면 수업 시간에 안절부절 책 표지만을 물끄러미 바라봐야 하니까. 덧붙여 말하자면 장편 중에서도 몇 권으로 나뉜 책은 정말이지 학업에는 전혀 도움을 주지 못한다. 밤을 새워서라도 봐야 직성이 풀리니까. 그런 의미에서 새 학기에 단편집을 집어든 건 정말이지 괜찮은 선택이었다.

 

게다가 온다 리쿠의 책. 온다 리쿠의 책은 펼치는 순간 이세계다. 긴장감과 미묘한 분위기가 독자를 끌어들여 책 속의 세계를 부유하게 만든다. 책을 덮는 순간 머리가 아찔해 질 정도로. 그게 바로 소설의 묘미가 아닐까, 하고 새삼 깨닫게 된다. 내 일상에서 탈피해 다른 세계를 경험하는, 가체험의 세계. 그게 비록 새학기의 시끄러운 강의실일지라도, 책을 펴드는 순간 아무래도 좋다는 생각이 들었다.

 

미묘한 긴장감의 세계. 그게 바로 온다 리쿠의 세계고 매력이다. 그런 '세계'가 14개나 펼쳐지는 별천지의 책, 1001초 살인사건이었다.

 

-선입견이라는 거 참 알 수 없다니까요. 맘대로 그럴듯한 논리를 세워 버리니까 무서운 거구나 싶어요. (68)

 

-어렸을 때 쓰기 연습을 하면서 같은 글자를 몇 번씩 쓰다 보면 점점 글자가 이상하게 보이고 나중에 가선 글자가 읽히지 않게 되고 그랬는데요. (69)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을 남한테 시키는 건 좋지 않아. 자기가 솔선해서 안 하면 아무도 안 따라오는 법이란다. 그쯤은 다들 알 법도 한데 말이야. (181)

 

-그녀는 대체 어떤 얼굴을 하고 있었을까. 자기 얼굴을 마법의 거울에 비춰 보지는 않았나. 거울은 그녀의 현실 속 얼굴을 보여주지 않았나. 아니면 그녀의 눈에는 이미 거울에 비친 자기 모습조차 보이지 않았던 걸까.
그녀는 어떤 불행을 짊어지고 있었을까. 어떤 충족되지 못한 갈망을 품고 있었을까. 백설 공주를 죽이는 데 왜 그렇게 집착했을까. (188)

 

-불확실한 세월. 연속되었을 세월. 그 세월 속에 파묻히고 가라앉아 사라져 버린 것은 대체 얼마나 될까. 아니, 오히려 사라져 버린 것이 대부분이고, 남은 것이 조금뿐인지 모른다. (2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