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산무진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06년 4월
평점 :
김훈 첫 단편집.
두 번째 작품으로 동인문학상, 첫 단편으로 이상문학상을 수상. 소설계의 장/단편 문학상으로는 가장 권위(ㅋㅋ)있는 문학상을 두 개를 순식간에 수상해 버렸다. 그러나 전혀 놀라운 일은 아니다.
단편 화장은 이상문학상, 언니의 폐경은 황순원 문학상을 수상했다. 이외에 6개의 단편이 더 들어있는데, 읽고서도 분명히 어느 정도 이해되며 좋다는 생각이 번쩍 드는 작품도 있지만, 화장같은 경우엔 잘 이해가 되지 않았다. 많이 어려웠다. 역시 상을 타서 그런가 하는 식의 바보같은 생각을 잠깐 했지만, 반면 언니의 폐경은 정말 좋았다. 특히 첫 작품 배웅이 아주 좋았는데, 덕분에 쉬이 재미가 붙어 비교적 빠른 속도로 책을 읽었던 것 같다.
마초이즘, 허무주의, 극도의 미학이 느껴지는 문장들을 보면서 여전하다는 생각. 소재와 주제의 현재성/다양성에 대해서는 역시 진보하는 작가라는 생각을 겹쳐서 했다. 신문 기자를 했다는 것을 생각했을때 느껴지는 특유의 문장과, 현대 사회의 화두를 소설로 그대로 옮기는 것에서는 역시 소설의 사회 참여라는 것에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기분이 나쁘고, 짜증이 나 있거나 혹은 너무 기분이 좋아 들떠있을 때 등등 어느 때이던간에 김훈의 글을 읽고 있노라면 기분이 낮게 가라앉는다. 그럴 때에 내 의식은 해수면보다 낮아져 해저 밑바닥까지 가라앉으며, 스스로가 또는 주위의 사람들을 왠지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기분이 든다. 그러니까 나는 어쩐지 소설 속의 인간같고, 내 의식을 그것을 읽는(멀리서 보고 있는) 기분이 든다. 내가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는 것도 어찌 보면 아주 우습게 느껴진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