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수염의 첫번째 아내
하성란 지음 / 창비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워낙에 좋아하는 작가인 데다가 하성란의 단편집중 단연 최고로 꼽는 책이라 즐겁게 봤다. 스토리적으로 보자면 하성란의 소설 대부분은 반전이 세다. 워낙에 시작이 대책없어서 한줄이라도 대충 읽게 되면 스토리의 흐름을 놓치게 된다. 그리고 반전이 센 만큼 첫번째 볼때의 충격이 크고, 그렇기 때문에 두번, 세번 다시 보면 그다지 크게 놀라지 않고 흥미롭지 않다. 하지만 하성란의 재미는 여기에 있지 않다. 하성란 소설의 구조는 굉장히 흥미롭고 재미있다. 거기에 하성란 특유의 섬세하면서 유려한 문체가 더해지면서 소설은 시너지 효과를 낸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 책에 대해 말해보도록 한다. 전까지 하성란 단편소설들은 그로테스크함과 섬세함으로 뭉쳐 있었다. 정말 이상한 소재들을 잘도 찾아냈다. 단편 '루빈의 술잔'은 정말 충격이었다. 이야기 자체는 평범하다 말할 수도 있겠는데 소재는 정말 이상했다. 그런 소재를 어떻게 생각해 냈을까? 하지만 본 책에서는 하성란의 변화를 느낄 수 있다. 전번에 봤을 때 기억에 남는 작품은 표제작인 '푸른 수염의 첫번째 아내' '별 모양 얼룩' '저 푸른 초원위에' '기쁘다 구주 오셨네' 정도였는데 이 중 뒤쪽의 두 작품은 이것이 하성란이다, 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하성란스러운 작품이었다. 그리고 이번에 읽어서 기억에 가장 남는 작품은 '오 아버지'였다. 하성란의 자전적 서사라고 해설은 말하고 있는데 아주 맘에 드는 표현이다. 그리고 이 소설(?)은 아주 진솔하고 투명하다. '새끼손가락'의 경우에는 자못 유쾌하기까지 하다. 평소 하성란스타일로 진행되던 이야기는 급작스런 유턴을 시도한다. 약간의 오컬티즘까지 섞인 재미있는 이야기다. 물론 처음 읽었을 때 기억에 남던 작품들도 여전히 훌륭했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