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가난을 어떻게 외면해왔는가 - 사회 밖으로 내몰린 사람들을 위한 빈곤의 인류학
조문영 엮음 / 21세기북스 / 2019년 6월
평점 :
<우리는 가난을 어떻게 외면해 왔는가>는 연세대학교의 '빈곤의 인류학' 이라는 수업에서 진행한 '청년, 빈곤을 인터뷰하다'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책으로 만든 것이라고 한다.
그 프로젝트의 내용은 연세대학교의 학생(청년)들이 사회의 빈곤 문제 주제로 고민하는 반빈곤 활동가 10명을 만나 직접 인터뷰한 것이라고 한다. 이 책에 소개된 빈곤한 사람들로는 용산참사, 홈리스, 복지수급자, 장애인, 노점상, 쪽방촌 주민 등 단순히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을 넘어선 그야말로 사회적 약자들이라고 할 수 있다.
빈곤이 사회적 문제라는 것은 명징한 사실이다. 그것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은 단 하나, 빈곤하지 않은 사람들 뿐이다. 한국 사회에서 소수자는 곧 빈곤할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을 뜻한다. 외주에 외주를 받는 하청 노동자들, 몸이 불편한 장애인들, 시골에 사는 사람들 등등. 그들은 사회적으로 계층 상승을 꿈꾸지도 못하는 위치에 있다.
반면 연세대학교 학생들의 경우는 대부분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 없이 자란 경우가 많을 것이다. (통계에 의하면 경제 수준이 높을 수록 학습 수준도 높다는 것이 팩트이니) 그런 면에서 두 부류의 사람들이 마주치는 점이 이 책이 탄생하게 딘 시발점이 되었을 것이다.
태어났고, 그냥 살아간다고 사람이 아니다. 최소한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여유가 있어야하는 것이 진짜 삶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우리 사회에서 가장 빈곤하고 가장 소외받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담고 있다. 그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새삼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언제나 정치 이야기는 자유와 평등을 기준으로 서로 다투곤 한다. 내 생각으론 한 개인의 빈곤이란 개인 노력의 문제만은 아니라는 생각을 하곤 한다. 사회적 문제로 개인이 빈곤해질 여지는 충분하다. 이 책을 읽으며 그러한 부분에 대한 생각도 다시 한 번 하게 되었다. 여러모로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는 좋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