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한국을 읽다 - 빅데이터로 본 우리 마음의 궤적
배영 지음 / 아날로그(글담)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한국을 읽다>는 "혐오, 불안, 행복, 분노, 여가, 비혼, 저출산, 혼밥, 명절, 김영란법, 적폐, 갑질, 누진제, 가짜 뉴스, 대학, 북한, 취업, 미세먼지,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 등 현재 한국 사회에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20개의 이슈 키워드를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한 책이다.

읽기 전에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 흥미를 느꼈다. '빅데이터'라는 기준이 있다는 것은, 하나의 주제에 대한 분석을 할 때 개인의 통찰력보다는 '객관적인 자료'를 증거로 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이 책이 근거로 제시하는 '빅데이터'의 기준은 크게 'SNS'와 '뉴스 기사' 두 가지이다. 예를 들어 '혐오'가 주제인 경우, '혐오'라는 키워드가 SNS에서 언급되는 양이 기간별로 어떻게 변화하며 해당 키워드가 들어간 글의 내용은 어떤지 살핀다. 뉴스 기사의 경우에도 '혐오'가 들어간 기사의 양은 얼만큼 되며, 그것들이 다루는 내용은 어떤지 등을 분석한다.

'빅데이터'라는 기준은 개인의 통찰력보다는 객관적인 증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에, 이 책이 주제들을 풀어가는 방식에 큰 기대를 했다. 하지만 내용물은 다소 실망스러웠다. 빅데이터들이 그 자체만으로 가치가 있을 수 있겠지만, 결국은 그것을 분석하는 사람이 어떻게 해석하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 책이 주제들을 분석하는 방식과 깊이는 너무도 얕고 조악했다.

단적으로 작가는 '여성혐오'를 미소지니misogyny의 개념이 아닌 '여성을 싫어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글을 썼다. 실제로 작가가 여성혐오의 개념을 명확히 인지했을 수는 있겠지만, 그렇다고 해도 현재 한국 사회에서 여성혐오의 뜻을 '여성을 싫어하는 것'이라고 인식하는 것은 큰 오류다. 그런 가정 속에서 '지금, 한국'에 대해 말하는 것은 심하게 말하면 아무런 의미도 없다.

더불어 이 책의 '빅데이터'가 기반으로 하는 SNS가 트위터라는 것도 아쉬웠다. 각 SNS별로 특징과 특성이 다른데, 하나의 SNS만으로 그 키워드들을 분석하는 것은 명백히 오류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든다.

이것이 가장 큰 이 책의 아쉬운 점이었고, 그 외에도 키워드들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깊이가 다소 부족하다는 것이 너무 아쉬웠다. 이 책의 근원이 '신문 칼럼'이었기 때문에 분량의 한계로 내용들을 깊이 있게 다루지 못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지만, 그것은 결국 변명일 수밖에 없다. 빅데이터라는 고급 재료를, 가장 싼 라면에 다 때려 부은 듯한 느낌의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