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바람이 예쁘게 분다,오늘은.
 
   나는,술에 취해 종종 잘 운다.
   종종 술을 먹기 때문에 종종 잘 운다.   
   까닭없이 종종 슬퍼지기 때문에 종종 술을 마신다.
   혼자일때가 종종 있어 혼자 종종 술을 마시기 때문에 종종 울기도 한다.
   입술을 깨물고 가슴을 치며 난, 종종 잘 운다.
   감정이 격해지면 울다 지친 몸을 가까스로 일으켜세워 책장으로 간다.
   그리고 난 책을 꺼낸다.
 

  

 




  

   전혜린「그리고 아무말도 하지 않았다

   개정판의 표지라 무척 서운하다.
   유일하게 형관펜과 낙서, 밑줄이 난감할만큼 많이도
   표시된 책이다. 책은 그저 에세이라 구태여
   첫 장부터 차례로 읽을 필요가 없다.
   전혜린의 책은 '더 울기 위해' 펼치는 책 중 하나인데
   이상하게도 난 정말 더 울게 된다.
   그냥 슬퍼진다, 마구잡이로.
   


 

 

   전혜린「이 모든 괴로움을 또 다시

   전혜린의 책은 유일하게 두 번 세 번 여러 번 읽는 책이다.
   영화든, 드라마든, 책이든 몇 번씩 보거나 읽지
   않는데 전혜린은 내게 있어 좀 각별하다.
   구원이기도 했으며 실수이기도 하고 꿈이기도 하다.
   「목마른 계절」이라는 문고판으로 처음 마주한 이래로
   전혜린을 품고 산지 벌써 8년째다.
   마냥 울게 하지만 특별함을 넘어선 '유일함' 이다.

 

 

 
 

   기형도 「기형도 전집

   술에 취해, 필사를 하는 책이다.
   술에 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책을 읽어 본 적은 없지만
   어쨌든 난 허기진 사람마냥 기형도를 찾아 읽는다.
   필사는 시가 아닌 부록처럼 들러붙은 산문을 읽으며
   한 글자 한 글자 정성스레 새겨넣는다.
   따로 필사하는 노트가 없어,
   서랍 아무곳이나 열면 쨘! 하고 나타나는 편지지에.
   기형도는 박인환과 김수영 시인을 생각나게 한다.

 
 

 

  


   나도 이런 봄바람 부는 날엔 꽃나무 아래 서 있거나 앉아 있고 싶다.
   저번 주말도 그랬지만 이번 주말도 혼자다.
   안주삼아 랭보의 시집을 펼치고 씹어 먹어야지.

   베란다 창문을 활짝 열어두고.
   
   

   
 


댓글(8)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리시스 2011-04-22 01: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좀 더 밝은 책을 읽어요. 울 때는 그렇기도 하겠지만 전혜린은 밝을 때, 기분 좋을 때 읽어도 삶이 너무 스연해서 슬퍼지는 책이잖아요. 또 주말이 오는군요. 시간은 빠른데 삶은 그다지 달라지는 게 없고, 나아지는 것 같지도 않아서 불안해요. 이런저런 일들로 시끄러운 세상이지만 좋은 밤 되세요.^^

June* 2011-04-22 13:53   좋아요 0 | URL
 
 '체질'인걸요.
 오늘 49일이라는 드라마를 다운받아 보는데 대사중에 이요원이
 그러더라구요. '울 준비가 되어있는 사람' 그게 막 또, 왈칵했지 뭐예요.
 내가 좀 음습해요. 헤에.
 
 오늘의 서울은 비가 내려요.
 향이 그득히 베어있는 돌미나리에 붉은기가 가득한 고기를 한 상 가득
 차려놓고 저녁을 먹을 생각이예요. 불편한 삶이 ,
 입에 무언가를 넣을때는 가장 편하고 행복해지더라구요.
 
 좋은 주말 되어요.

 
 

stella.K 2011-05-10 11: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페이퍼를 이리 간단 명료하게 써도 여운이 남는데,
저는 왜 그렇게 질질거리며 궁상맞게 쓰는지 모르겠어요.
전혜린의 <이 모든 괴로움을...>은 나이들어 읽으면 어떨지 모르겠어요.
18세쯤 읽었던 것 같은데 그때 참 속살 떨렸는데...
그런 계집아이가 속살이 있으면 얼마나 있었겠어요?ㅋㅋ

June* 2011-05-11 11:57   좋아요 0 | URL
 
 나는, 스텔라님에게는 있는 '필력' 이란게 존재하지 않아요.
 그저 말 이어하기만 하고 있는걸요.
 전혜린을 참 아껴요. 소중하기도 하구요.
 열여덟의 스텔라님이 궁금해요. 열여덟의 저는 ,
 마냥 외로웠거든요 .. .


stella.K 2011-05-11 13:09   좋아요 0 | URL
필력은 무슨...
18세 때 그러셨군요.
저는 혼자인 것이 마냥 좋았던, 아니 적어도
혼자인 것에 그다지 신경 쓰지 않았던 때를 살았던 것 같습니다.
혼자있으면 편하긴한데 허전하고, 같이 있으면
즐겁긴한데, 왠지 불편하고 걸리적거리고.
이것이 사람의 실존 아니겠습니까?흐흐

June* 2011-05-11 18: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무살이 되었을 때 제가 가장 먼저 한 일은,
 스무살 전의 모든 관계를 끊어내는 거였어요. 철저하게 혼자이기를 자처했고
 이젠 혼자여도 괜찮을거라 생각했거든요. 물론, 그 생각은 전혀 틀리지않았어요.
 '시기' 의 만남들만 존재했을 뿐 '유일' 하다거나 '영원' 을 약속하지 않았어요.
 그래도 되잖아요. 스무살이 되었으니, 제게 필요하고 각별해질 것은
 오로지 사랑, 그거 하나였어요. 저는 사랑이 전부예요. 여전히.
 
 

stella.K 2011-05-12 11:01   좋아요 0 | URL
시기의 만남이라...
20세 때 준님은 조숙하셨네요.
저는 이제야 알겠던데.
친구는 (오래 전부터)친하게 지내서 친구가 아니라,
지금 만나고 있는 사람이 내 친구더군요.
친하게 지내는 사람도 때가 되면 멀어지고, 떠나더라구요.
만남에 집착하고, 연연해하지 말자고 생각하며 살고 있습니다.
그저 사람도 물 흐르듯, 밀물처럼 왔다, 썰물처럼 지나가는 것
아니겠습니까?
이별, 아직도 제겐 익숙치 않는 건데 내 의지완 상관없이
어느새 익숙해진 것 같기도 해요.

그래도 준님처럼 말씀하시는 분이 계셔서 좋으네요.
마지막 말. 난 상처 받기 싫어 진짜 사랑을 못하는 건지도 모르는데.
우리 친구할까요?ㅋ

June* 2011-05-12 18:02   좋아요 0 | URL
 
 
 나, 내 자신에게 굉장히 약해요.
 타인에게는 강한데 이상하리만치 내 자신에게만은 약해요.
 .. . 이거 결핍이겠지요 ? 그래도 괜찮다면 ,
 
 친구해요, 할래요. 그러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