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든·시민 불복종 (합본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41
헨리 데이비드 소로 지음, 이종인 옮김, 허버트 웬델 글리슨 사진 / 현대지성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못다 한 숙제처럼 항상 읽어봐야지 읽어야지 했던 소설이었는데 드디어 완독하게 되었다.
 
고전을 읽을 때마다 느끼는 바지만 '사람 사는 건 굉장히 비슷해서 고민하는 바도 좀처럼 달라지지 않는다'라는 것이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도끼 한 자루 들고 편안한 호수 옆에 살아가는 것도 꽤나 괜찮은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는 것이었다.
 
톨스토이, 간디, 루터 등의 많은 영감을 주었다는 소로의 이야기는 평가가 굉장히 갈린다고 하는데 개인적인 소감으로는 내면으로 굉장히 깨어있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살아가는 시간대가 100년이 넘게 차이 나지만 틀린 말이 하나도 없어서 읽는 구절구절 인덱스를 붙여가며 읽었고 필사를 하며 다시 읽고 싶은 이야기들이 굉장히 많이 담겨 있던 올해 중에 가장 인상적인 책이었다.
 
사계절을 월든이라는 호수 곁에서 보내면서 생태학적 관찰했던 것도 굉장히 의미있었으며 이 기록들 덕분에 월든의 모습을 책 한 권으로 상상하며 그 시간을 함께지내게 해주었고, 2년이라는 기간 동안 그곳에 지내면서 살아낸 이야기들은  관찰자이자 생활자로써 감내한 여러 부분의 이야기들이 자신으로부터 터져 나왔지만 독자로 하여금 자신들을 되돌아보게 하며 사람들에게 영감과 깨달음을 전해주지 않았나 생각이 들었다.

많은 부분들이 기억에 남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가난에 관한 이야기였다. 새 옷의 필요성은 우리가 생각을 달리하면 전혀 필요하지 않은 부분이라는 것과 집이라는 커다란 생필품이 어떻게 필수품으로 자리 잡게 되었는지 되돌아 생각해 보는 과정들이었다. 
여러 부분에서 각 환경적 요인이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우리에게 굉장히 과잉된 욕심이 필수적으로 자리하고 있다는 건 인정할 수 있었다. 경험보다 지식을 우선시하고 내적 욕심이 과잉을 불러내는 현실에 실제 생활을 하며 사람들에게 이렇게도 살아갈 수 있다고 메시지를 전해준 건 정말 획기적인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었고, 살아가며 무언가 아차 싶었던 부분을 스스로 깨닫게 하는 문구들이 굉장히 기억에 남는다.

누구든 가난하지 않게 살아갈 수 있지만 가난한 사람은 가난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이야기, 안락함에 대한
기준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끔 만들어줬던 것 같다.

이외에도 의, 식, 주 그리고 독서와 배움에 대한 이야기, 시민 불복종에서는 선거를 앞둔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정의, 권리, 그리고 투표의 중요성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있어서 이 시기에 꼭 필요한 책이 아닌가 싶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파랑 2022-01-15 08:1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도끼 한자루 들고 호수 옆에 산다니 왠지 살인사건(?)이 연상되기도 합니다 ㅎㅎ (농담입니다~) 많은 가르침이 있는 에세이인가 보네요~!

러블리땡 2022-01-16 02:59   좋아요 1 | URL
엇 ㅋ살인사건 ㅎㅎㅎ 넵 저는 그냥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이야기라고 생각했는데 진짜 너무 좋은 이야기들이 많아서, 나쁘게 보면 한량 같은 작가님이 부럽기도 하고, 넓디 넓은 식견에 감탄하기도 하고, 진짜 여러 생각을 하게 해줬던 책이라 진짜 좋았어요 ㅎㅎ 그리고 가장 중요한건 가독성이 진짜 좋았어요 제가 가독성을 굉장히 중요하게 보거든요 ㅠ 프랑켄슈타인보면서도 느꼈던 건데 현대지성 번역 너무 좋아요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