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몸으로 느끼는 오감재즈 - 재즈라이프 전진용의 맛있는 재즈 이야기
전진용 지음 / 다연 / 2018년 11월
평점 :
절판


재즈에 대해 궁금했고 재즈에 대해 가장 쉽고 재미있게 역사와 더불어 어떻게 발전하고 성장해왔는지에 대해 적혀있는 책이었다.

재즈는 유럽인들이 신대륙 식민지 개척부터 씨앗이 발아해 아프리카에서 흑인들을 강제로 끌고와서 노예로 착위하면서 재즈의 슬픈 역사가 시작된다고했다. 유럽계 백인과 흑인사이의 혼열아를 일명 크리오요라고 하는데 이들이 재즈발전에 중심적이 역할을 한다고 했다. 노동요처럼 일하면서 노래부르던것이 새로운 음악의 형식으로 발전하며 제1차 세계대전과 대공황을 거쳐 뉴올리언스의 크리오요를 주축으로 발전하는데 이 결과물을 재즈라 칭했고 백인의 전통적인 음악과 흑인 특유의 리듬감과 감성이 결합되어 탄생한 음악이라고했다.

작가는 사람들이 어떻게하면 재즈와 친해질까라고 끊임없이 고민했다고 했는데 책을 읽다보면 그의 노력이 느껴졌다.
한국인이 받아들이기 쉽게 한식에 비유하며 설명하고 있었고 여러 아티스트의 명연주곡과 대표앨범들 페이지가 따로 있었으며 마인드맵을 이용하여 요약정리해서 그가 이야기한 인물들의 내용을 한번더 짚고 넘어가고 있었고 읽으면서 더 쉽고 편하게 받아들이는데 많은 도움을 받았던것 같다.

쿨재즈, 스윙재즈, 보사노바, 삼바 등에 대해 조금 어려울 수 있는 장르에 대한 설명을 이야기로 통해 접하게 되어 기억에 가장 많이 남았고, 남들과 다른 방식으로 연주하다 흥하게 된 케이스나, 색다른 시도로 여러가지 코드로 변주하며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만든 인물 등 너무 많은 아티스트에 관한 정보로 읽는 내내
즐거웠었다.
특히 작가가 추천해준 사람들의 노래를 들으며 책을 읽었는데 설명에서 느낄 수없는 그들만의 느낌을 노래를 들으며 더 잘 이해 할 수있던것 같아 이점도 참 좋았던것 같다.
마약과 인종에 대한 차별등을 많이 받은 아티스트에 관한 이야기도 많아 씁쓸했고 이런 상황에도 자신만의 음악생활에 혼신을 다한 모습들에 대단함을 느꼈다.

비밥과 하드밥의 차이라던지 어디선가 들어본적있는 블루노트에 관한이야기들을 읽으며 상식이 넓혀지는 느낌이 들었고 맨뒤에 따로 기본 재즈 용어정리로 읽으면서 이해하지 못했던 단어들에 대한 보충설명이있어 참 친절한 책이란걸 다시한번 감탄했었다.

재즈에 대한 장르가 생각보다 어렵지 않고 자유로운 음악임을 책을 읽으며 다시한번 느끼게 되었고, 재즈에 대해 도전해보고 싶은 생각도 갖게 해준 책이었다.
개인적으로 너무 재밌게 읽었기에 재즈에 대해 호기심이 있는 사람에게 강추하고 싶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