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 클래식 호러 4
메리 셸리 원작, 세이비어 피로타 지음, 프랑코 리볼리 그림, 김선희 옮김 / 조선북스 / 2018년 7월
평점 :
절판


북극을 항해하던 빅터선장은 유빙에 걸린채 해류에 떠다니던 이십대 후반의 남자를 구조하게 되었다. 그는 선장의 도움으로 목숨도 구하고 일주일이나 휴식을 취하고는 갑자기 배안에 모든 사람들을 불러 본인의 이야기를 시작하며 이야기가 시작된다.
그는 자신을 빅터 프랑켄슈타인이라 칭했다. 빅터는 젊은 과학자였다. 그는 기적을 꿈꾸고 생명을 창조하기 위해 남들의 눈을 피해 연구에 연신 매진했다고 한다.
무덤과 병원 등에서 시체를 구해 생명을 불어 넣을 재료를 마련하고 몇차례의 실패 끝에 실험에 성공한다.
빅터는 성공의 기쁨도 잠시 창조한 생명의 무시무시한 모습에 겁을 먹고 그를 두고 도망쳐 나온다. 그리고 여관에서 고향 소식을 전하러온 친구를 만나고 사랑하는 동생이 유모에게 목이 졸려 살해 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고향에 돌아가 사체를 보게 된다.
사체에는 일반인의 힘으로 절대 만들 수 없는 멍자국이있었고 그것을 보고 본인이 창조한 괴물에 손에 동생이 사망했다는걸 깨닿게 되는데...

빅터 프랑켄슈타인은 본인의 창조물을 만들기전부터 그가 괴물임을 알고 있었다. 본인의 꿈을 이루기위해 연구에 몰두하는 모습은 칭찬할만하지만 그래서인지 왠지 꺼름직하다. 결국 성공한 괴물의 탄생 그러나 그뿐 그와 인사한번 나누지 못하고 도망치는 빅터는 참 무책임했다.
사건들이 일어나고 나중에 만난 빅터의 창조물 프랑켄슈타인은 창조주에게 버림 받은것만큼 외롭고 불행하고 비참하게 지냈음을 이야기한다.
그래서 빅터에게 한가지 제안을 하지만 결국 그 조차
들어주지 않는다. 무책임한 빅터의 모습때문인지
어릴적에도 무시무시한 프랑켄슈타인이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았던것 같은데 어른이되서도 느끼는건 비슷했던것같다.
그림같은 삽화와 함께한 프랑켄슈타인!!!
가끔 동화도 찾아봐야겠단 생각을 갖게해준 시리즈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