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뚤어진 또라이의 작가 일지
김영돈 지음 / 다연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책을 좋아하고 읽으려 노력하는 사람 그뿐이지 아직은 내 생각을 글로 표현할줄아는 글쓰기가 가능한 사람이 아니다.
그래서 항상 글을 쓰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만 잔뜩 가질 뿐이었다.
그래도 독서가는 책으로 배움을 찾는다고 나름 실천하려고
온갖 글쓰기 책을 많이 섭렵하듯 읽었었다.
읽기전엔 막연히 이 책도 내가 읽던 그런 책일거라 생각했다.
물론 글쓰기에 대한 독려로 가득찼지만 평소 접하던 그런 방법들은 아니었다.

작가는 총 5장으로 강연하듯 이야기를 했다.
1장은 작가로써의 인생을 돌아보고 정리하는 법이라는데 그가 책을 펴내고 겪었던 혹은 독자들이 겪을 주변인들의 반응과 대처법(?) 인간관계 정리법 등이 써있었다.
2장은 진심을 다해서 쓰는것의 중요성과 작가로써 사람들의 메신져가 되어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본인의 경험을 사소하게 넘기지 말고 글로 풀어내는 방법과 나로써 주제를 찾고 내 책을 최고의 상품이 되게하는 작가만의 기름칠하는 방법을 제시 해주었다.
3장은 작가로써 책을 내고도 본인이 가지고있는 직업을 더 본인답게 살아가고있는 유명인 11명을 소개하고 있었다.
4장은 책을 내기까지의 실제적 방법( 아픈날 주제 선별법, 본인이 쓰고자하는 경쟁도서 분석하기, 타깃설정과 제목의 중요성, 목차설계법 등) 구체적인 내용들이 서술 되어있었다.
5장은 본인이 쓰고 있는 진이로 대입하며 독자의 이해를 쉽게 정리하고 있었다.

제목이 삐뚤어진 또라이의 작가일지이자
저자의 '필명'이자 '호' 처럼 본인을 삐또 김영돈이라 칭하고 있었는데 읽다보니 자유분방한 그의 말투가 느껴지는것 같았고 책읽는 내내 그가 좋아하는(?) 강연듣는 느낌이었다.
어려울 수 있는 내용들을 본인이 좋아하는 혹은 대중적인 작가들로 예를 들어줘서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편했던것 같다.
접하기쉬운 책이지만 내가 내기엔 까마득히 멀기만한 출판의 길을 쉽게 다독여주는 글을 읽고 인생의 목표를 새로 정비한 기분이 들었다.
언젠가 내글을 쓰고 나서 선배이야기 듣듯 다시 읽어보고 싶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