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 러브 ㅣ 안전가옥 앤솔로지 7
표국청 외 지음 / 안전가옥 / 2021년 5월
평점 :
사랑에도 빛깔이 있다면 내가 가진 사랑은 어떤 빛깔일까? 재미있는 상상과 탐구를 통해서 사랑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내린 책을 만났다. 실험적인 작품을 출간하는 것으로 유명한 출판사인 안전가옥에서 나온 [ 뉴 러브 ] 라는 단편집이 바로 그것이다. 이 책에는 총 5가지의 단편이 실려있는데 모두 [ 사랑 ] 을 주제로 펼쳐지지만 이야기 하나하나가 대단히 개성있고 독창적이다. 롤 플레잉 게임 속 캐릭터나 인공 지능과 같은 혁신적인 분야에서부터, 인간의 어두운 심리까지, 매우 다채롭고 맛깔나는 음식을 담은 도시락 같다는 느낌이 드는 [ 뉴 러브 ] 속으로 들어가 본다.
우선 첫 번째 이야기 [ 장군님의 총애 ] 는 게임 속 등장인물들이 단지 NPC (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할 수 없는 캐릭터 ) 로만 존재하는게 아니라 인간처럼 사고하고 말하고 행동한다면 어떨까? 하는 상상에서 비롯된 이야기이다. 이 소설이 대단히 흥미롭다고 느낀 이유는, 가끔 잘 만들어진 만화를 보거나 게임을 하다보면, 가상 공간 속 캐릭터에 불과한 등장 인물이 정말 멋있거나 매력적이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기 때문이다. 만약에 그런 멋진 캐릭터들이 서로에게 반한 다면? 그래서 게임 속 만들어진 규칙을 어기고 자신들만의 세계를 창조하려 든다면? 발칙하지만 즐거운 상상으로 쓰여진 단편이라 그런지, 이 [ 장군님의 총애 ] 는 정말 흥미진진 그 자체였다.
“ 동진은 언제나 자신이 사랑하는 캐릭터들과 대화해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다.
애니메이션을 볼 때도 게임을 만들 때도, 작품 바깥에 있는 사람이 아니라
작품 속 존재들과 고통하는 인물로서 함께 하고 싶었다 ”
두 번째 이야기 [ 나의 새로운 바다로 ] 는 한 특별한 벨루가 [ 하얀색 돌고래 ] 이야기이다. 이름이 벨카인 그녀는 다른 벨루가와는 다르게 인간과도, 그리고 벨루가와도 소통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녀에게는 인간 엄마가 있어서 그녀가 벨루가 무리에게서 받은 데이터를 과학자인 엄마에게 모아서 전송을 해주기도 한다. 활발하고 개성있는 주인공 벨카에게 앵지라는 벨루가가 사랑 고백을 한다. 그러나 어느날 앵지가 불법 어업을 하던 어선의 그물에 붙들리고, 앵지를 잃을 수 없었던 벨카는 힘껏 그물을 찢다가 크게 다치고 마는데.....
이 이야기는 비록 과학이 연루되어 있는 이야기지만 다른 어떤 이야기보다도 내 마음을 따뜻하게 만들었다. 마치 눈 앞에서 돌고래 간의 사랑과 그들의 생각보다 발전된 문명을 감상한 느낌이랄까? 이 이야기를 읽으면서, 앞으로 과학이 더욱 더 발전하면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 나는 엄마에게 멋진 미소를 한 번 보여주고 바다로 향했다.
어디에도 속해 있지 않으면서 동시에 어디에든 속할 수 있는 세상으로.
나의 새로운 바다로 ."
다른 어떤 이야기보다도 흥미로웠던 이야기가 바로 네 번째 이야기 [ 사람의 얼굴 ] 이었다. 이 글의 주인공인 서희는 자칭 타칭 싸이코패스 (?) 라고 부를 수 있을 만큼 감정이 없고 무엇보다 표정을 짓지 못하는 사람이다. 그러나, 표정을 짓지 못하는 그녀는, 아이러니하게도, 다른 이의 표정에 탐닉한다. 그녀는 매우 탐욕스럽게 다른 이의 표정을 자기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 노력한다. 중학교를 졸업할 무렵 스물 두 가지, 대학에 입학할 즈음에는 서른 개가 넘는 표정을 지을 수 있게 된 그녀. 남에게 돌이키지 못할 상처를 주면서까지 다양하고 충격적인 표정을 이끌어내어 자기 것으로 만들었던 서희. 그런데 한 성형외과 의사가 된 그녀 앞에 아영이라는 한 직원이 등장하는데, 아영은 세상 모두가 매혹될만한 흔치 않은 표정을 가진 사람이었다. 서희는 아영의 표정을 자기 것으로 만들기 위한 무시무시 한 계획을 세우는데...
자신에게 결핍된 무엇가를 향해 끊임없이 허덕이던 한 여자를 그려낸 소설 [ 사람의 얼굴 ]. 표정을 짓지 못하는 소녀 서희의 뭔가 무시무시한 무표정이 내내 연상되었고 다른 사람의 표정을 따라하기 위해서 근육 하나하나를 분석하는 그녀의 날카로운 옆모습이 상상되는 소설이었다. 꿈에서도 만나고 싶지 않은 서희지만, 어쩐지 가엾게도 느껴지는 그녀... 오늘따라 내가 다양한 표정을 가졌다는 사실이 얼마나 다행스러운지..
" 검은 개가 컹 하고 짖었다. 서희는 등을 돌려 달아나기 시작했다.
어디를 향해 도망치는지도 알지 못한 채 끝도 없이 이어지는 골목을 배회했다.
(...) 서희는 이럴 때 어떤 표정을 지어야 하는지 알지 못했다. 다만 몹시 배가 고팠다. "
사람들은 아름답고 완벽한 그리고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치는 사랑 이야기에 열광한다. 그래서인지, 영화로도 드라마로도 그리고 이렇게 소설로도 다양한 사랑 이야기가 시청자와 독자들에게 계속 전달되어 오고 있는 듯 하다. 우리의 삶을 살게 하는 것도 사랑이요, 반대로 죽을 수 있게 만드는 것도 사랑인 듯 하다. 사랑이 과연 무엇일까? 이 질문에 명확한 답을 내릴 순 없지만 흥미로운 답변을 내고 있는 것이 바로 이런 [ 뉴 러브 ] 와 같은 책이 아닌가 싶다. 오늘 색다른 사랑 이야기에 젖어들고 싶다면, 이 책으로 빠져들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