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음을 인터뷰하다 - 삶의 끝을 응시하며 인생의 의미를 묻는 시간
박산호 지음 / 쌤앤파커스 / 2025년 10월
평점 :
"죽음은 우리가 직면하는 유일한 진실이다"
죽음을 생각하는 순간, 온갖 두려움이 몰려온다.
상상하기도 싫은 단어이기에 평소에는 잘 입에 올리지 않는
단어 "죽음" 그러나 표지에 적혀 있는 저 문장이 가리키듯
인간이라면 누구나, 언젠가는, 죽음을 맞이할 수밖에 없다.
그것이 운명이다. 우리는 삶을 생각하듯, 죽음을 고민해야 한다.
이 책 <죽음을 인터뷰하다>의 작가 박산호씨의
다른 인터뷰집인 <다르게 걷기>를 얼마 전에 읽어봤는데
저자가 상당히 핵심을 찌르는 질문을 잘 던지고 관련 인용 자료를
풍부하게 제시한다는 느낌을 받았었는데, 이 책도 마찬가지였다.
책 속에 인용되는 책들과 영화들이 궁금하고
내가 묻고 싶은 질문들을 저자가 한다는 느낌이 들었다.
이 책은 “죽음”을 다루는 분야에서 일하는 5명의 인물들과
인터뷰를 한 일종의 대담집이다. 그들은 직업과 삶에 대해
그리고 그것을 관통하는 “죽음”이라는 주제에 대해서 아주 허심탄회하고
솔직한 의견을 내고 있다. 한 분 한 분과의 대화가 너무 밀도 높고
흥미로워서 마치 도장처럼 마음에 새겨진다.
내 경우에는 연로한 엄마와 시댁 어르신들이 계시기에
준비하는 마음으로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따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요양보호사이신 이은주 선생님과 저자의 대화가
매우 흥미롭게 다가왔다. 그대로 뇌로 흡수되는 느낌....
이은주 선생님은 논픽션 작가이자 일본어 번역가이기도 하고
동시에 요양보호사로 활동하고 계신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일을 대하는
태도가 조금 인문학적(?)이 지 않은가? 하는 느낌을 받게 되었다.
돌봄을 받는 어르신들을 “뮤즈”와 “제우스”라고 부르고 있고
“프로메테우스적 돌봄”을 지향한다고 한다.
말하자면 인간에게 불을 가져다준 프로메테우스의 경우처럼
본인에겐 고통스러운 돌봄 노동이 결국 타인에게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언제나 기억한다고...
이외에 다른 4명의 인터뷰도 굉장히 깊이가 있었고
"죽음"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해주었다.
아무래도 현장에서 일해본 분들이라서 그런지 이분들의
한마디 한마디가 매우 진실되게 다가온다.
치열하게 사는 사람이 죽기도 잘 죽는다 - 장례지도사 유재철 선생님
펫로스 증후군으로 인한 지극한 슬픔은 인간으로서 당연한 것
- 펫로스 상담사 조지훈 선생님
선행을 하고 사랑을 베푸는 일은 결국은 자기 자신을 위한 일이다 - 홍성남 신부님
죽음은 폭력이고 누구에게나 두려운 것임은 당연하다 - 호스피스 의사 김여환 선생님
저출산에 기대 수명은 늘어난다. 한국인이라면 모두
우리 사회가 아주 빠른 속도로 늙어가고 있음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문득 우리가 "노령 사회"와 "죽음"에 얼마나 잘 준비를 하고 있는지
에 대한 의문이 생겼다. 이런 시점에서 반드시 한번은 읽어봐야 할
책이 바로 <죽음을 인터뷰하다>와 같은 책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책을 읽다 보면 "죽음"이라는 마냥 두렵기만 한 대상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 약간의 감이 온다. 이 책을 통해서 일종의
위안과 마음의 평화를 좀 얻었다. 나의 반려묘가 이 세상을 떠난 후에도
다시 만날 수 있을 거란 희망을 얻었고 내세란 것이 있을 수도 있겠다..
라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죽음"을 여러 각도에서 살펴볼 수 있게 해준 책
<죽음을 인터뷰하다> 죽음을 피할 수 없는 인간의 운명에 대해서
좀 더 깊이 있고 다양하게 고민해 보고 싶은 독자들에게 추천한다.
* 출판사에서 받은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리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