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심한 사진의 쓸모 - 카메라 뒤에 숨어 살핀 거리와 사람
정기훈 지음 / 북콤마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를 쓴다고 다 시인이 아니듯이, 나도 사진을 찍어도 사진가는 아니다. 그런데, 누가 정립하고 할 것도 없이 굳이 지칭하자면 사진 찍기를 애호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정의 내리고 싶다. 내가 찍는 대부분의 사진에서 사람이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사람이 들어간 사진을 제대로 찍기가 무척 난감하고 어려워서이기도 하다. 의도적으로 피하고 애써 프레임 속에 사람을 넣기를 주저한다. 사람이 들어간 사진은 사람이 없는 사진보다 꽤 어렵다고 생각한다. 사람이 들어간 사진은 사람의 직간접적인 스토리가 들어갈 수밖에 없기도 하고, 또 사람의 관계와 일과 존재와 그 삶의 방식과 태도 등 여러 가지 스토리가 사진의 파사드에 들어가야 하는데 이걸 두려워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왜 두려움에 대한 회피일까. 그래서 시처럼 차라리 사람을 뺀 사물의 은유를 통해서 사람이 없어도 사람의 이야기를 하는 것이 훨씬 다가서기가 수월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직접 부딪혀서 도출할 이야기에는 사람의 살고 죽는 무수한 문제가 사진에 들어가는데 전면적인 대면이 두렵기도 하다. 문제를 회피하고 그 문제에 답을 정확히 낼 자신도 없다.

 

이 책에는 많은 사람이 등장한다. 그 많은 사람들의 주제가 이른바 노동문제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다. 이 책에 나오는 사진을 찍은 작가가 노동 신문사의 기자 출신이었으니 어쩌면 직업적 일환이기도 하고 직업으로써 카메라를 들고 취재라는 과정 속에서 녹아든 사람들의 이야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직업가이자 사진가로서의 그의 사진은 어쩌면 아주 열심히 일한 표정을 사진에서 읽을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사진작가는 노동문제에 대해 해결하겠다는 답을 내리지는 않는다. 먹고사는 문제의 난제를 부각을 시키는 일이 작가가 할 일이다. 보도를 통해서 사진을 담는 목적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사는 문제의 답을 도출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그 문제에 대하여 공감대를 얻고, 문제의 본질을 확산시키고 개인의 문제가 결코 개인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구성원들 간에 먹고사는 문제이자 각자가 근로를 하든 노동을 하든 자본주의 사회에서 반드시 무엇엔가 자신의 정서를 팔든 몸을 팔든 시간을 팔아서 급부로 받은 자본을 통해서 사는 방식에서 얼마나 공정함과 사회적인 부조화에 대한 이야기를 사진으로 말하고자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노동에 대하여 각자의 이해를 넓히고 이에 따라 선거에서 법적이며 제도적인 접근의 답을 원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오늘날 자본주의 사회는 대부분의 난제가 각자의 처지와 형편에 따라 이해가 상충될 때이다. 그래, 이해의 충돌. 공통의 협의는 보편성을 띠지만 개별적이고 파편적 이해의 관계는 상당히 충돌하는 문제들이다. 건물주가 있으면 임차인이 있고 집주인이 있으면 임차인이 있고 기업의 오너가 있으면 종업원이 있고 판매자가 있으면 소비자가 있듯이 내가 어떤 상황에 처하느냐에 따라 이해의 폭은 늘 갈리기 마련이다. 여기에서 기업주와 노동자의 관계를 사진은 통절하게 보여주고 있는 이해의 반목된 현장의 사진이라는 점이다. 흔히 사진가의 시선은 공정해야 한다고 하지만, 결코 공정하지는 않다. 삶과 업의 주관의 가치가 프레임에 담기기 마련이다. 다분히 사진은 소속과 관계와 위치와 현상에 대한 작용점이다. 그렇다고 해서 어느 사진가 중에서 기업가의 입장에서 취재하고 사진을 담은 작가는 거의 없다. 어쩌면 대기업에 하청 납품하는 사장님도 기업가이지만 그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사진은? 글쎄 잘 보이지도 않는다. 아니면 대기업가의 사장님의 사진도 만나기 아주~ 어렵다. 길거리에서 만나는 노동자의 파업은 많아 그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어도 기업가의 목소리는 같은 비중으로 다루는 것도 없다. 의아하긴 마찬가지다.

 

이 책 제목이 소심한 사진의 쓸모라고 했는데, 하지만 여기의 사진들은 결코 소심하지도 않고, 특히 사진의 쓸모에 대해서는 여기 사진은 어디 신문에 기고된 사진이기에 그 목적에 걸맞는 쓸모가 다 있다. 신문에 사진이 빠지면 안 되듯이 말이다. 현장에 직접 나간 갈등의 순간, 눈물과 불공정함과 부조리한 삶의 아픔에 대해 취재라는 형식으로 침투된 작가는 결코 소심하지 않다. 앞서 서두에서 밝혔듯이 나 정도는 돼야 소심하다 할 수 있고 내가 찍는 사진의 쓸모는 대체 이해조차 할 수없는 난해한 추상화처럼 일그러져 있는 현상을 찍고 있으니 더더욱 쓸모는 없다. 그럴지도 모르겠다. 나는 사진과 직업을 철저히 분리하며 사진을 찍었다. 직업이 직업이니 만큼 나도 현장에 나가서 카메라 들고 현장을 누비며 회사의 현장 사진을 사진 작품처럼 얼마든지 담을 수 있다. 그러나 난 현장에 나가서 사진을 찍고 싶지 않다. 회사 내 건설현장의 스토리야 찾으면 얼마든지 발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물론 이 현장에서 일하는 인부들이나 현장의 관계자 전부 다 업무적으로 안다 해서 난 그들에게 카메라로 사진을 잡고 싶은 마음은 없다. 이른바 다큐멘터리 사진은 자신의 업과 직접 관계한 곳에서는 다른 누구보다도 접근이 허락되어 있거나 가까이 접근이 용이하다마는 나는 현장에 나갈 때는 카메라를 의도적으로 가지고 가지 않는다. 자신의 업을 이용해서 자신의 사진 작업을 취하고 싶은 마음도 없다. 하려면 한도 끝도 없는 사진들일 것이 뻔하기도 하고 카메라를 의도적으로 너무 가까이 들이대는 것도 어쩌면 일종이 간섭이 될지 모르겠다는 생각을 한다. 나는 사진 기자도 아니기 때문이기도 하고 하기야 작업 현장에는 관계자가 아니면 아무나 출입도 할 수 없으니까 얼마나 신분상 쉽게 업무차라는 핑계를 대기에도 적절하다. 그러나 나는 카메라 들고 설치는 것은 작업자들에게 예의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너무 깊숙히 개입된 사진을 나는 담을 수가 없다. 소심과 쓸모에 대한 사진은 나에겐 참 어려운 주제이다.


댓글(32)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20-02-17 14:0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사람을 사진에 담을 땐 양해를 구해야 돼서... 초상침해 운운할까 봐요... 저는 일부러 사람 없이 풍경만 찍게 되더라고요.
사람을 넣을 땐 주로 뒷모습을 넣죠. 이 정도는 소심한 저도 허용할 것 같아서죠. 그런데 사람의 뒷모습이라도 있고 없고의
차이가 있더라고요. 풍경만 있는 게 좋은 경우도 있지만 사람의 뒷모습이 풍경을 살려 주는 효과를 내는 경우도 경험했어요.
(제가 공자 앞에서 문자 썼네요. ㅋ)

유레카 님 정도는 사진가입니다. 사과가 안 팔린다고 해도 사과를 팔고 있으면 사과 장수인 것처럼요. ㅋ

yureka01 2020-02-17 15:22   좋아요 0 | URL
네 초상권에 예외가 있는데
확실하게..공익적 목적이나 공공의 다수를 위한 사진이라면
초상권은 제외 됩니다.
대표적인게 방송의 영상과 신문등 언론의 사진입니다.
즉 기자가 촬영하는 사진과 영상에는 초상권이 적용되지 않는게 일반적인 법률이거든요..
공익적 목적을 위한 사진은 초상권 동의도 구할 필요도 없죠..
여기 사진은 이책의 저자가 기자였으니 가능했지요..

물론공익적 목적으로 찍은 사진도 개인적으로 활용할려면 피 찰영자의 동의도 구해야 하는건 별개문제죠..

개인적인 작품활동..등을 위한 예술적 활동은 해당사항이 없다고 하죠..

그러니 예전엔 초상권이 없던 시절엔 마구 찍어도 가능했던 게 이젠 불가능으로 바뀌게 되었지요..

함부로 사진 찍으면 멱살 드잡 당하는 ~~~무서워요 ㅎㅎㅎㅎ

stella.K 2020-02-17 15:3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혹시 말씀하신 그 책인가요...?ㅋ

yureka01 2020-02-17 15:36   좋아요 0 | URL
아..다른 책이랍니다.^^..

stella.K 2020-02-17 18:10   좋아요 1 | URL
큭, 그렇군요...ㅋㅋ

yureka01 2020-02-18 22:04   좋아요 0 | URL
^^.사진 시집이랍니다..사진과 시의 조합..

2020-02-17 17:5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2-18 22: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2-18 23: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2-19 09: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강옥 2020-02-18 07:1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요즘은 촌로들도 초상권을 알아요
함부로 사진 찍다간 클나죠
시장 상인들도 뭐라고 해요. 물건이나 사고 찍거나 하라고 ㅎㅎ

텔레비전 화면에서 취재경쟁하는 사진기자들 보면 참 불쌍해요
카메라 두세개씩 목에 걸고 뛰는 걸 보면 목디스크가 걱정되기도 하고 -

yureka01 2020-02-18 22:05   좋아요 0 | URL
오래전에는 사진찍는데 부담이 없었거든요..
이젠....함부러 카메라 들이 댓다간 ㅎㅎㅎㅎㅎ

카스피 2020-02-18 18: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ㅎㅎ 저도 좁은 공간에서 사진을 찍다가 웬 분한테 자기 사진을 찍냐고 멱살잡이 당할뻔 했어요^3^

yureka01 2020-02-18 22:06   좋아요 0 | URL
카메라도 철저히 동의를 구하고..
동의를 구했다고 해서 마음대로 포스팅은 안되죠..
포스팅까지 동의를 구해야 가능한거라서 발표하는 건 별개로 동의가 필요하니까요..
제가 동의 구하지 않아도 되는 사진들을 찍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카스피 2020-02-27 21:59   좋아요 1 | URL
흠 제 경우는 사람을 찍으려고 한것이 아니라 장소(ㅎㅎ 곧 폐점하는 삐에로 쇼핑 open시저)를 찍으려고 한 것인데 워낙 사람이 많다보니 의도치않게 사라밍 찍힐수 밖에 없더군요.

yureka01 2020-02-28 09:07   좋아요 0 | URL
그럴땐 기다려야죠..사람들이 지나가는 타이밍이 무리를 이루니까요..
기다리면 비는 때가 왔을 때 잡는거죠...^^..

2020-02-19 11:4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2-19 12: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2-19 18: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2-19 21: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2-21 18: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2-21 22: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2-21 22: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2-21 23: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2-21 23: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2-21 23: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2-22 00: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2-22 08: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shink68 2020-02-22 20:2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조심스럽지요.

yureka01 2020-02-23 19:47   좋아요 0 | URL
사진찍을 때 인물이 들어간다면.....꼭 동의 구하는 순서지키고자 합니다..

2020-02-23 01: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2-23 19:4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