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착한 딸을 그만두기로 했다 - 벼랑 끝을 달리는 엄마와 딸을 위한 관계 심리학
아사쿠라 마유미 & 노부타 사요코 지음, 김윤경 옮김 / 북라이프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에는 많은 엄마와 딸이 있다. 그 중에는 이상적인 엄마와 딸도 있고, 어느 집에나 있을만한 평범한 관계의 모녀도 있다. 하지만 모든 모녀 관계가 이상적이거나 평범한 것에 드는 것은 아니다. 때론 남보다 못하다 싶은 모녀관계도 있다. 어렵고도 어려운게 사람이라고 하던가, 그건 가장 가깝다는 가족관계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가까울수록 조심해야하고 더 아껴야하는게 사람인데, 오히려 너무 편하게 대하여 상처를 주는게 가족인 것 같기도 하다. 부모가 아이를 처음에 키우며 많은 생각을 한다고 한다. 건강하게 크길, 행복하게 크길, 그 와중에 내가 못한거 다 해줘야지-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 그저 평범하게 살아가길 사람도 많다. 이런 생각이 잘못되진 않았다. 다만 그 생각이 잘못된 행동으로 이어진다면 관계가 흐트러질 수도 있다.

여기 이 책의 엄마와 딸일 수도 있고, 아빠와 딸일수도 있고, 엄마와 아들, 아빠와 아들 일수도 있다. 부모와의 관계에 있어 질질 끌려다니거나 관계거리를 조정하지 못하는 자식들을 위한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 엄마는 나를 숨막히게 해', '나는 왜 엄마말을 들어야만 할까', '왜 우리 엄마는 나를 못 잡아먹어서 안달일까?', '우리 엄마는 왜 내게 잔소리만 해댈까?' 등 이런 생각을 한다면 한번쯤 읽어보길 추천해보고프다. 부모에게서 물질적으로, 육체적으로 독립하길 바라는 사람도 많지만, 정말 필요한 건 정신적 독립이 아닐까 생각을 해본다. 얽매이지말고 얽히지 말고 나답게 살아가는 법을 배워야 하지 않을까?

책을 읽으면서 나는 부모님에게 얼마나 독립해있는지 생각해봤다. 나는 꽤 화목한 가정에서 행복하게 자랐고 부모님과의 관계에 있어서 특별히 힘들거나 지친다고 생각해본적은 없다. 다만 나도 모르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하여 되짚어보았다. 관계에 문제가 없다고 해서 마음이 없는 것은 아니고, 역시 완벽한 사람은 없기에 나 역시 부모님에 대한 잔챙이 상처 정도는 가지고 있다. 그 잔챙이도 어떻게 다루고 어루만져주냐에 따라 추억 속에 남을 스토리가 될 수도 있다.


'당신은 얼마나 나 자신으로 살고 있나요?'

때론 부모를 원망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도저히 용서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을지도 모른다. 왜 우리 부모는 나에게 그럴까를 한번쯤 고민해보고 상담을 받아볼까 생각해본 사람이라면 이 책을 읽고 차근히 생각해보는 것도 추천해본다. 그 과정에 있어 부모를 용서하진 못해도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을지도 모른다. 아무리 부모를 이해한다고 해도 스스로를 포근히 안아줄 수 있는 정신적인 여유가 없다면 이해한다고 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부모에 대해 부담감을 가질 필요는 없어요. 당신은 '착한 아이'였지요?

누가 뭐래도 엄마는 분명 행복한 마음으로 당신을 기르셨을 거예요. 그것만으로도 효도는 충분합니다.'

평범하게 자랐어도 고민하게 되는게 내가 부모에게 잘하고 있는가? 효도를 제대로 하고 있는지를 생각하게 된다. 나 역시 부족하진 않은지 남들만큼은 해드리고 있는지 생각해본다. 그런 생각에 가장 위로 되는 말이 책 안에 있더라. 난 아직 부모가 되어본 적은 없지만, 소라를 키우면서 아이가 생기면 비슷한 부분이 있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소라에게 딱히 무언가를 받고 싶었던 것은 없다. 잘 자고, 잘 먹고, 아프지 말고 건강하게 오래오래 내 곁에 있어주는 것 - 내가 바라는 것은 단지 이것뿐이다. 우리 부모님도 나에게 그런 생각을 하며 키우셨고, 지금도 그렇게 나를 바라보고 계신게 아닐까.

한 번쯤 부모와의 관계를 되짚어보고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